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부자아빠 가난한 아빠책중에

ㅇㅇ 조회수 : 1,839
작성일 : 2015-12-30 11:30:36

꽤 오래전에 유행했지만

그때 읽은거 중에 기억에 남는게


부자아버지는 학력이 별로인데

회계사,변호사등 정말 잘배운 사람들이

자기 아버지 밑에서 일하는거 보면서

아버지의 어떤 능력때문에 저런 상황이 가능한가


아버지는 남들은 차마 감수할수 없는

어마어마한 리스크와 그에 따른 스트레스를

견디는 능력이 탁월했다고..

모험에 따르는 정신적 부담을 견디는 능력

그걸 책임지는 정신력..


그리고 또하나

자신이 35세가 넘어서면서

세상의 변화를 더이상 쫓아가지 못하고

뒤쳐지기 시작했다고 느끼기 시작했다고..


근데 저 두개는

제가 그후 10여년간 개인사업과 직장생활등을 하면서

깊이 공감하는 말이 되었네요..


35세이후 정말 새로운 것에 대한 호기심이 줄고

늘 알던길 익숙한 것만 찾게 되고...

IP : 58.123.xxx.9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2.30 11:39 A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맞아요..
    당장에는 월급 통장에 돈 모이고, 안정적이라 결혼도 하고 아이도 낳지만,
    35 되면 이제 자기는 쓸만큼 쓴 오래된 가전이나 비슷해요.
    반짝반짝 예쁘고 교육도 자신보다 많이 받고, 열정도 만땅으로 충전받은 신상품 가전이 줄 서 있거든요.

    하지만, 도전하는 사람들은
    35 이 되도록 도전과 고난의 연속이에요.
    그런데, 어느 순간 빛을 발하기 시작하고, 그 이후는 용암 같아요.
    안에 뭐가 들었는지 모르지만 끝없이 뭐가 나오는 것 같아요.
    능력도 폭발하게 되고, 물론 돈이 직장인 10년 일해 모을 거 1년 만에 모으고요.
    이 사람들 확실한 특징은 리스크, 스트레스.. 에 강하다는 점은 있어요.

  • 2. 리스크,스트레스에 강한 사람이라...
    '15.12.30 11:46 AM (222.101.xxx.223)

    생각이 많아지네요

  • 3. 저는
    '15.12.30 12:00 PM (125.182.xxx.27)

    그말이기억나요
    시스템을만들어라
    내가기계의부속품이되지말고자유인이되고
    돈을만드는시스템 ....

  • 4. ..
    '15.12.30 12:08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그외 들어가는 인건비 등 자기가 가격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 5. ..
    '15.12.30 12:10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그외 들어가는 인건비 등 자기가 가격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라는 얘기가 되죠.

  • 6. ..
    '15.12.30 12:11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그외 들어가는 인건비 등 자기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라는 얘기가 되죠.

  • 7. ..
    '15.12.30 12:12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라는 얘기가 되죠.

  • 8. ..
    '15.12.30 12:13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인 거죠.

  • 9. ..
    '15.12.30 12:14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된 구조인 거죠.

  • 10. ..
    '15.12.30 12:16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재벌 개혁이 왜 필요한지 보여주는 거죠.

  • 11. 그냥
    '15.12.30 12:18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라고 하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재벌 개혁이 왜 필요한지 보여주는 거죠.

  • 12. 그냥
    '15.12.30 12:25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재벌 개혁이 왜 필요한지 보여주는 거죠.

  • 13. 그냥
    '15.12.30 12:26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 14. ..
    '15.12.30 12:35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40대, 50대에 회사에서 잘리고 상처입으니 퇴직금으로 돈벌리는 시스템 갖기 위해
    자영업을 시작하지만 10에 9명이 망하고 있어요.
    리스크,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것은 20, 30대가 더 강하므로
    시작하려면 애초에 젊어서 시작하는 게 맞다고 봐요.
    장사하려면 30살 이전에 해라.. 이런 말이 리스크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나이에 시작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죠.

  • 15. ..
    '15.12.30 12:38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40대, 50대에 회사에서 잘리고 상처입으니 퇴직금으로 돈벌리는 시스템 갖기 위해
    자영업을 시작하지만 10에 9명이 망하고 있어요.
    작은 규모로 시작해서 리스크와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시간과 도전을 거쳐야 하는데
    목돈으로 한방에 돈을 벌려는 과욕이 부른 참사.
    리스크,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것은 20, 30대가 더 강하므로
    시작하려면 애초에 젊어서 시작하는 게 맞다고 봐요.
    장사하려면 30살 이전에 해라.. 이런 말이 리스크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나이에 시작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죠.

  • 16. 그냥
    '15.12.30 12:52 PM (118.216.xxx.224) - 삭제된댓글

    그게 생산수단을 갖는다는 말이지요.
    자본가가 되는 겁니다.
    전문직은 지식과 면허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고,
    자본가는 아예 공장을 지어 상품가격을 자기가 책정하고,
    지출로 들어가는 인건비 준 비용가격 마저도 책정하는 신?적인 위치에서
    자기 이익을 책정할 수 있구요.
    상인들도 자기만의 노하우와 판매방식으로 준 생산수단을 갖게 되는 거죠.
    한마디로 자본가에 근접할 수록 돈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 부자가 되죠.
    노동자들이 공장을 갖는 것은 어렵고,
    그나마 공장 만큼은 아니라도 준 자본가가 될 수 있는 것으로는
    자영업이 있고,
    그에 버금 가는 것이 부동산 투자가 있지요.
    우리나라는 점점 자영업이 뿌리 내리기 어려운 구조로 변해가는데,
    결국 대다수가 가난한아빠로 살 게 되는 구조인 거죠.
    재벌과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에서,
    점차로 재별, 재벌2, 3세, 자영업이 공생하는 구조로 변하면서,
    재별 2,3세들이 막강한 자본력을 바탕으로 자영업의 파이를 갉아먹고 있어요.

    40대, 50대에 회사에서 잘리고 상처입으니 퇴직금으로 돈벌리는 시스템 갖기 위해
    자영업을 시작하지만 10에 9명이 망하고 있어요.
    작은 규모로 시작해서 리스크와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시간과 도전을 거쳐야 하는데
    목돈으로 한방에 돈을 벌려는 과욕이 부른 참사. 사실 에너지가 딸려서 2번 도전하기도 힘든 나이.
    리스크, 스트레스를 감당하는 것은 20, 30대가 더 강하므로
    시작하려면 애초에 젊어서 시작하는 게 맞다고 봐요.
    장사하려면 30살 이전에 해라.. 이런 말이 리스크나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이 있는 나이에 시작해야 한다는 말이기도 하죠.

  • 17.
    '15.12.30 1:43 PM (183.101.xxx.9)

    스트레스에 강하다기보다 견디는거 아닐까요
    스트레스가 엄청날거 빤히 아는데도 덤비고
    죽을거같아도 도망안가고 포기안하고 버티기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4518 표창원 아내.. 33 톡톡.. 2015/12/30 26,735
514517 윤정수네 청소기 트리 2015/12/30 2,513
514516 부모가 저를 못찾게 하고 싶어요 6 escape.. 2015/12/30 3,693
514515 입던 옷 어디에 걸어두시나요? 15 입던옷 2015/12/30 5,797
514514 mbc 연기대상자 후보들이 왜이리 많은가요? 7 지성 2015/12/30 1,583
514513 뻥이오 뻥 ㅇㅇ 2015/12/30 481
514512 양키캔* 어떤향 좋으세요?? 13 워머로‥ 2015/12/30 2,529
514511 냉장고를 부탁해에 나왔던 삼치렐라 있잖아요 1 궁금요리 2015/12/30 974
514510 순자산 10억이면 대한민국 부자 1%라는데 22 jtbc 2015/12/30 18,106
514509 팍팍 빨리 결정하고 잘 버리는 사람이 부러워요. 4 요즘 2015/12/30 1,825
514508 남자에게 인기많은 레이양 몸매 2 몸매 2015/12/30 2,687
514507 지루성 두피는 방법이 없나요? 12 ㅁㅁ 2015/12/30 4,290
514506 라코스테 신발 ᆢ편한가요? 힐못신음 2015/12/30 1,228
514505 표창원 교수님 10 링크 걸어 .. 2015/12/30 2,485
514504 생톳 냉동 보관 가능한가요? 3 bitter.. 2015/12/30 1,508
514503 스타벅스 하양이 빨강이 그게 뭐예요? 2 저기요 2015/12/30 4,879
514502 새 구두를 신으면 복숭아뼈가 아파요 4 ㅠㅠ 2015/12/30 8,322
514501 시어머니 환갑 선물 조언 부탁드릴게요~ 1 ㅇㅇ 2015/12/30 2,601
514500 미국은 무슨 약점을 잡고 있길래 6 ㅇㅇ 2015/12/30 1,707
514499 패딩 이월상품 정말 저렴하네요. 30 ... 2015/12/30 22,887
514498 경구피임약 추천해주세요 ㅁㅁ 2015/12/30 918
514497 맛있는 김치를 맛있다고 못하는 7 김치 2015/12/30 2,288
514496 고등남학생 코트 2 ^^ 2015/12/30 1,087
514495 하나고, 공익제보 교사에 ‘낙제점 보복’ 의혹 5 샬랄라 2015/12/30 812
514494 혈압이 150~120틀려요 7 엄마 2015/12/30 1,7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