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지역 난방 쓰시는분 제발 좀 알려주세요

난방 조회수 : 3,049
작성일 : 2015-12-20 11:44:16

같은 지역 살다가 올봄에 이사했는데요

이곳은 전부 지역난방입니다.

싱크대 아래 난방기를 틀어놓고 주방쪽에 온도조절기가 있어요

그전 아파트는 20년되 아파트에 동향고층이라 난방을 해도 전혀 따뜻하지가 않아서 난방 거의 안하고

온수매트 켜고 살았거든요. 겨울철 난방비는 10만원 미만 나오고 대신 전기료가 6만원정도 나왔나 그랬어요

기본 관리기 들어가는게 많아서 겨울철에 최고로 많이 낸 관리비는 27-28정도 냈었습니다.


이번에 이사한곳은 샷시도 두껍고, 집이 남향이라 무척 따뜻하더라구요

온수매트 안 꺼내고 난방을 11월에 첨 했습니다.

온도 조절기에 절약모드 달모양 기본모드 해모양 으로있는데 절약모드 달모양 으로 계속 두고, 밤에만 들어오게끔

켜놓거나 정말 추울때나 23도 올렸습니다. 온도조절기에 불이 들어오면 난방이 돌아가는데 밤이나 저녁시간에만 올리고

그외 낮시간이나 저 혼자 있을때는 온도 낮춰서 불이 안들어 오게 했거든요


저는 온도조절기에 불이 안들어오면 난방이 안도는걸로 알았어요.

그런식으로 조절했어도 낮에 무척이나 따뜻하고 참 좋다라고 생각했는데요

오늘 관리비 나온거 받아보고 정말 놀랐네요


난방비만 20만원이 넘어요. 동일 세대는 다들 7만원선인데 저희집만 최고인 20만원

전년도  난방비도 함께 비교해서 나오는데 그때도 8만원선...


이곳 지역난방 산지가 15년째인데 난방비 20은 최고로 많이 나온 금액입니다.

관리실에 물으니 딱히 답변을 속시원히 들을수 가 없네요. 쓴만큼 나온거다라는데요


무서운거 11월에는 온도조절기 온도를 낮춘경우가 많은데 12월 추울때는 하루종일 온도 높였던 날들이 많아요

담달은 아마도 이번에 나온거 배는 나올것 같은데요.

제가 이걸 잘못 사용하고 있는건지요

그전 집은 거실에 있던 온도조절기가 고장이 나서 싱크대 아래 조절 밸브를 잠갔다가 열었다가 했었거든요

현재 저희집 싱크대 아래 난방 조절기는 전부다 열려져 있는 상태구요

거실에 부착되어 있는 온도조절기로 온도만 올렸다 내렸다가 하고 있어요.

소리 들어보면 온도 조절기에 불이 켜지면 난방 돌아가는 소리가 나는데...


진짜 너무 아깝고, 다른 관리비를 합치면 40만원 가까이 되는데..제가 뭘 잘못해 놓은거 같은데 아닌가요?

난방비 줄일수 있는 방법 좀 알려주세요. 제발

IP : 112.154.xxx.98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dd
    '15.12.20 12:06 PM (118.220.xxx.196)

    밸브를 전체 다 열어놓고 난방을 돌리면 많이 나와요. 밸브 다 잠그고 난방 할 곳만 밸브 열어 난방합니다.

  • 2. ...
    '15.12.20 12:12 PM (121.131.xxx.179)

    남향이면 낮엔 끄고 밤에만 타이머로 해보세요.
    방마다 밸브 잠그는건 문닫고 아예 안쓰는방 아니면
    비추고요.

  • 3. 빨간톱니 확인
    '15.12.20 12:33 PM (175.118.xxx.46)

    방마다 들어가는 양 조절밸브는 주로 사용하는 공간은 많이 나머지는 반만 또는 닫아놓고
    숫자로 표시되는 계량기 주변 메인밸브 중
    아래 밸브는 나가는 밸브니 다 열어 놓고
    위에 있는 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조금씩 열며 계량기 속 빨간톱니가 돌아가는 속도를 확인하세요
    남향이고 따뜻한 편이면 거의 돌아가나 싶을 정도로 천천히 돌아가게 조절해놓고 밤낮 구분없이 일정하게 사용하는게 좋아요

  • 4. ...
    '15.12.20 12:50 PM (112.151.xxx.184)

    온도로 조절하는 것 보다는 타이머로 하는게 나중에 사용량 예측하기에 편하구요..
    불 들어올때만 난방 돌아가는게 맞는지 먼저 확인하세요. 보통은 맞겠지만...
    저희도 지역난방이지만 절약모드 달모양 이런거 없거든요. 그렇게 했을때 어떻게 동작하는지는 써보지 않으면 모르죠..

    당분간은 계량기등으로 사용량 매일 확인하면서 스스로 사용량을 조절해가는거 말고는 딱히 방법이 없을것 같네요..
    윗분 말씀처럼 밸브는 반쯤만 열어놓는것도 필요하네요..

  • 5. 혹시
    '15.12.20 1:30 PM (112.152.xxx.13) - 삭제된댓글

    난방기가 고장난거 아닐까요?
    저희집은 싱크대 아래에 있는 난방기(정확한 이름을 모르겠네요)가 고장나서 분명히 꺼져있는데도 바닥이 따뜻하면서 계속 난방이 돌아가더라구요.
    관리실에 연락했더니 부품이 고장난거라고 교체해야 한다고 해서 고쳤어요.
    혹시 불이 안들어오는데도 바닥이 따뜻하면 관리실에 연락해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2006 예비 고3 겨울방학때 과탐 인강으로 공부해도 될까요? 1 겨울비 2015/12/21 973
512005 피부과시술 어떤것들 받는게 좋나요? 1 토닝말고 2015/12/21 1,145
512004 우체국택배 왔는데 고래고래 소리지르네요? 15 이거뭐죠 2015/12/21 3,113
512003 노무사보다 법무사따기가더힘들죠? 4 다리 2015/12/21 4,664
512002 ‘직장 내 괴롭힘’에 날개 꺾인 새내기 노동자 ‘끝나지 않은 고.. 세우실 2015/12/21 603
512001 시댁에서 산후조리중이에요 9 감사 2015/12/21 3,167
512000 갑상선 조직 검사.. 왜 이렇게 불안할까요.. 7 ㅜㅜ 2015/12/21 1,919
511999 적금 추천좀 해주세요 1 .. 2015/12/21 713
511998 새로생긴 유치원.. 어떨까요? 2 ,, 2015/12/21 635
511997 요거트 만들기 실패했어요 3 fr 2015/12/21 1,648
511996 나태한 사람보다는 좋은자극을 주는 사람끼리 만나야 하는것 같아요.. 1 ㄹㄹ 2015/12/21 1,058
511995 싱크대바닥에 붙이는?? 1 뭐드라 2015/12/21 886
511994 건강을위해 뭐하시나요? 1 자유 2015/12/21 581
511993 미용실 바꿔야할까봐요 어떤 펌을 해야할까요? 3 이제그만 2015/12/21 1,075
511992 허리와 무릎 안 좋으신 분들.. 제 경험담 26 .. 2015/12/21 6,984
511991 김현주 스타일이 저한테 잘 어울릴까요? 3 추워요마음이.. 2015/12/21 1,704
511990 집앞에 큰마트가 생겼어요 이럴때 어찌 대처하나요? 9 마니웃자 2015/12/21 4,048
511989 땅콩회항 승무원 미국소송 관련기사 질문요 9 ㅇㅁㅇ 2015/12/21 1,619
511988 음식물 쓰레기를 일반 쓰레기 봉투에 버리면 벌금내나요? 4 --v 2015/12/21 24,281
511987 신음식이 땅기는 증상 왜그럴까요 주기적으로 2015/12/21 398
511986 초등 2. 엄마랑 문제집 vs EBS 인강. 뭐가좋을까요?? 3 ... 2015/12/21 1,527
511985 전기포트 어떤걸 사야할까요? 커피 2015/12/21 454
511984 꺼진 눈밑 필러 맞으신 분들 조언좀 부탁드려요 2 피부과 성형.. 2015/12/21 2,301
511983 살이 정말 안 빠지네요. 17 .. 2015/12/21 4,142
511982 20 만원짜리랑 200 만원짜리 코트랑 보기에 차이 많이 나나요.. 49 코트 2015/12/21 5,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