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제 인테리어 글이 나와서, 아파트 방을 특이하게 사용하는 분들

인테리어 조회수 : 2,953
작성일 : 2015-12-16 14:31:40
아파트의 구조는 다 비슷하잖아요. 그 비슷비슷한 조건 안에서, 조금 특이하게 다르게 사용하시는 분들
아이디어 공유해 주세요. ^^

보통은, 20평형이든 30평형이든 방이 세개고 4인 가족이다 할 때,
안방은 부부용, 방1은 큰아이 방2는 작은아이...  거실은 가족실 개념으로 TV 있고...
이게 제가 생각하는 평균, 평범이고요. 

여기에서, 거실을 서재화해서 사용하시는 분들도 있고,
방 하나를 옷방으로 전용해서 사용하시는 분들도 계실테고요. 
이런 것 외에도, 좋은 아이디어가 있거나, 나는 좀 다르게 사용하고 있어, 하시는 분들 
아이디어 공유해 주시면, 인테리어할 때 힌트로라도 좀 써먹어 보려구요. ^^

우선 저는, 4인가족(부부, 동성의 초등 아이 둘)/30평대 확장형 아파트구요. 
안방을 아이들 방으로 내주었어요. 안방에 딸려있는 드레스룸을 아이들 옷장으로 쓰고 있고요, 방에는 싱글 침대 2개와 아이들 책장이 들어가 있어요. 
저희집 구조가 판상형과 비슷한데 약간 다르게 생겨서요, 두번째로 큰 방의 방문이 거실을 향해 나 있어요. 
그래서 저는 그 방문을 떼어 버렸고요. (거실과 연결되어 확장의 개념으로.)
제가 책이 아주 많아서 두번째로 큰 방의 4면을 모두 책장으로 메웠어요. 창문이 있는 쪽과 피아노가 놓인 곳을 제외한 나머지 벽면에는 천정에 닿아있는 책장을 짜 넣었고요, 창문 쪽 벽면에는 창문 아래 높이까지 책장을 넣어서, 창문 아래 책장에는 아이들 장난감을 수납했고요. 원래 이 방에 붙박이장이 있었는데 철거해 버렸고요. 방 한가운데 폭이 120에 길이가 2미터 조금 넘는 책상을 넣었어요.(혹시 아이들이 방을 분리하기 원할 때를 대비해서 테이블은 세로로 긴(60*208)테이블 두개를 붙여서 넣었어요.) 테이블을 넣기 전에는 이 방이 그냥 책의 보관용 서고 정도의 역할을 했는데, 책상을 넣고 나서 부터는 충실하게 서재 및 공부방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어 만족스럽고요.
현관문과 가장 가까운 제일 작은 방이 저희 부부의 침실이예요. 저희 아파트가 부엌이 같은 평형의 다른 아파트들보다 조금 작은 대신 방들이 큰 편이라, 부부 침실에는 퀸사이즈 침대를 넣고 문을 중간에 두고 ㄱ자 형태의 붙박이 장을 짜 넣었어요. (총 11자 정도) 세개의 방들 중 가장 작은 방인데 장롱까지 넣고보니 침대 하나로 꽉 차는 방이 되었지만 오히려 아늑한 느낌이라 잠이 잘 온다는 장점이 있네요. ㅎㅎ

일반적인 집에 다들 있는 화장대가 없고요.(저는 화장을 잘 안해서... 제 화장품은 그냥 욕실 장에 다 넣어두었어요. 남편것도.) pc 대신 노트북을 쓰니까 고정되어 있는 컴퓨터 책상이나 아이들 공부용 책상(벽에 붙어있는 책상이나 h형 책상)이 없어요. 서재 테이블을 넣기 전에는 식탁에서 공부를 했고요. 




다른 분들도 아이디어 공유나 집 소개좀 해 주세요. ^^
IP : 1.227.xxx.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굿아이디어
    '15.12.16 4:28 PM (61.82.xxx.167)

    아이들이 어릴땐 애들 물건이 제일 많으니 안방을 아이들방으로 사용하면 수납도 편하고 살림도 편하죠.
    그러다보면 부부가 사용하는방이 작아지고 수납공간이 부족하거나 부부 살림이 이방저방 따로 보관되기도 하고요.
    결국엔 안방은 안방대로 필요하고 애들방 또한 안방만큼 크면 문제될게 없는데 아이들방이 작아 문제죠.
    원글님 공간을 참 효율적으로 잘 짜셨네요.
    근데 원글님네집 구조는 아이가 하나라면 문제 없는데 아이가 둘이면 첫아이가 고학년이 되면 방을 분리해줘야해서 결국 다시 다른집처럼 부부가 안방을 사용하고 아이들이 각자 작은방을 사용하게 되요.
    저흰 남매를 키우는집이라 그냥 부부살림은 안방에 아이들 살림은 각자 아이들 방에, 부엌 살림은 부엌에 용도에 따라 있는게 편한거 같아요.
    옷이나 책은 자주자주 정리해서 각자 물건 각자방에 챙겨놔줘야 편하고요.
    책상과 책꽂이 노트북도 다 자기방에 따로 갖고 있어야 되요.
    애들이 어릴땐 옹기종기 모여 생활하지만, 초등 고학년만되면 각자 독립된 공간에서 사생활(?)을 보호 받기를 원해서 한집에 있는 가족이지만 각자의 영역이 중요하더군요.

  • 2. 32평
    '15.12.16 5:52 PM (218.55.xxx.60)

    32평 방3 화장실2 구평면이예요 (2베이)
    남편,저 고등아이1 3식구입니다.
    안방-남편방 (공부공간이 꼭 필요하고 새벽출근 늦은 귀가에 예민한 편이라 집에서는 푹 쉬라고 젤 넓고 좋은 방 주었어요.)
    작은방1 - 아이방 .확장해서 넓음.
    작은방2 - 잡다구리한 거 넣어둬요.
    거실 - TV 쇼파 없고요. 넓은 식탁을 두고 식탁 격 책상으로도 써요.10자 장농과 서랍장을 두었어요.
    식탁에서 노트북으로 이것 저것 하고 옷정리도 자주 하고요. 안방(안주인의 방) 처럼 써요.

    잔 살림이 나와있지 않고 단순한 분위기입니다. 주방씽크대에도 올려져 있는 것이 거의 없어요.
    쓸고 닦는 것을 자주 하지는 않지만 혹 손님이라도 온다면 금방 치울 수 있어요^^

  • 3. 저희도
    '15.12.16 7:45 PM (203.242.xxx.1)

    저희도 32평 아이는 한명인데 짐이 많지 않아서 그런거 단순하네요
    안방 - 맞벌이라 씻고 화장하고 옷 갈아 입는게 한번에 되는게 편해서 기존 드레스룸에 화장대 그대로
    사용하고 드레스룸과 안방 사이의 미닫이문은 철거하고 한쪽면 전체를 옷장으로 짜서 3식구 옷
    다 보관해요. 다른방에는 전혀 옷장이나 서랍장이 없고요. 반대쪽면은 책상으로 되어 있고 드레스룸과
    안방문 사이에 책상이 있어요. 컴퓨터랑 프린터등도 올려져 있고 아이 공부할때 쓰기도 하고,
    1인용 리클라인쇼파도 있어서 책도 보고 바닥에는 놀이방매트도 깔려 있어서 아이가 장난감
    가져와서 놀기도 하고 다양하게 사용중이네요.
    작은방1 - 여기는 안방 맞은편이라 아이가 쓰는데 싱글침대, 책상, 장난감 수납장만 있어요.
    여기도 책상이 있어서 숙제 같은건 혼자서 여기서 하기도 하네요
    작은방2 - 제일 작은 방인데 더블침대, 협탁 이렇게 있고 부부 침실로 사용중이네요.
    거실 - 4인용 쇼파랑 벽걸이 티비, 에어컨 정도만 있고요
    주방- 주방이 거실이랑 쭉 연결되게 뚫여 있는 집이랑 거실에 긴 식탁을 놓고 거기서도 공부도 하고
    밥도 먹고 뭐 이러네요.
    쓰다보니 저희집은 아이방이랑 저희방 때면 다 가족실 개념이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6434 딸아이. 허탈합니다. 65 ... 2016/01/06 29,590
516433 습관성 손목 긋는 사람 4 .. 2016/01/06 2,096
516432 예비 고2..일본어 선택했다는데... 3 성깔마녀 2016/01/06 1,254
516431 견적서 같은데 회사도장 어찌 삽입하나요? 14 경리 2016/01/06 4,745
516430 새우먹어서 배가빨간 조림국물멸치를 샀는데... 1 ... 2016/01/06 1,083
516429 하루밤에 3킬로... 2016/01/06 1,167
516428 로맨스 소설가는 어떻게 되는건가요? 9 [o 2016/01/06 2,072
516427 문용식 “김한길, ‘피해자 코스프레’ 그만 두라” 47 미친넘 2016/01/06 2,490
516426 대북확성기 방송은 반드시 재개된다. 1 ooo 2016/01/06 514
516425 푸켓 호텔 좀 추천 부탁해요 7 후리지아 2016/01/06 1,800
516424 영화 "귀향"을 이제 알았어요. 많이들 봐주세.. 4 홍이민이 2016/01/06 1,297
516423 not A merely because B 이게 맞나요? 11 해석 2016/01/06 1,263
516422 영유아 공약. 표 받아먹고 돈 안내는 박근혜씨... 2 쥐꼬리월급 2016/01/06 755
516421 수분감으로만 충만하고 오일성분 거의없는 수분크림 없나요? 4 .. 2016/01/06 2,094
516420 어제 식당에서 진짜 맛있게 먹은 반찬이 있는데 1 ㅇㅇ 2016/01/06 1,777
516419 돈 일억오천을 잃은 후 마음이 안정이 안돼요ㅜ 42 . 2016/01/06 27,573
516418 북한 수소탄 실험 방사능 걱정 안 되세요? 9 방사능 2016/01/06 2,575
516417 마포공덕 [신영지웰] 오피스텔 살기 어떤가요? 질문 2016/01/06 2,346
516416 중학생 남아 가방은? 2 경기 2016/01/06 1,675
516415 결혼과 돈의 권력 구조에 대해서 생각해 봤어요 9 고스트캣 2016/01/06 4,464
516414 연말정산 서류 쓸때 주소를 꼭 주민등록등본에 올려진 주소 써야 .. 연말정산 2016/01/06 599
516413 "아베 측근 '미국내 소녀상 확산저지' 美정부에 요구&.. 3 샬랄라 2016/01/06 950
516412 노량진 수산시장은 유독 지저분한 것 같아요. 9 노량진 2016/01/06 3,073
516411 우체국알뜰폰요금제때문에 난리~ 26 샤샤 2016/01/06 7,618
516410 오리백숙은 얼마나 삶나요? 1 12 2016/01/06 8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