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파킨슨병 환자 보호자분께 조언부탁드립니다.

.. 조회수 : 3,160
작성일 : 2015-12-03 08:48:57

진단받고 정기 치료가 시작되면 병원 방문이 얼마나 잦은 지 여쭙니다.


어머니가 최근 이상 증세를 많이 보이셔서 병원에 모시고 가려고 하는데

어머니는 수도권, 저는 3시간 거리의 지방입니다.

일단 수도권 인근 대학병원 신경정신과로 모시고 가는데 병원을 중간에 바꾸면

안그래도 거동을 어려워하시는 환자가 더 힘드실 것 같아

MRI등 정밀 검사가 필요한 경우 검사 자체를 지방거점 대학병원에서 시작할 지 고민입니다.


국내에 있는 자녀는 저 하나라 진단이 나는 경우,모시고 내려가려고 하는데

월 1회 정도 정기 병원 방문이라면 수도권 병원에서 선택해 시작하고,

자주 방문이 필요하다면 제가 사는 지역에서 시작할까해서요.


오늘 병원예약이라 어제 올라왔는데, 그새 더 진전이 있어 교과서적으로 거의 모든 증상을

보이시는 관계로 마음이 많이 무겁네요.

오늘 바로 정밀 검사에 들어가는 경우를 고려해 미리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IP : 123.215.xxx.16
1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15.12.3 8:54 AM (59.16.xxx.47)

    저희는 지방에서 서울대병원 다니고 있어요 5년째인데
    6개월에 한번씩 진료 받고 약 한꺼번에 받아와요
    다행히 진행은 더 안되고 활동 잘 하고 계세요

  • 2. 희망
    '15.12.3 8:57 AM (211.235.xxx.253) - 삭제된댓글

    저희친정엄마도 동일병으로 진행중이신데요
    파킨슨병 진단받고 별다른 치료는 없어요 약물로 치료받고 계신데
    2달에 한번꼴로 병원가서 진료받고 약타오시는게 다입니다.

    처음 진단받을때에 각종검사를 하긴해요 정말로 파킨슨병인지를 확인하는거니깐요
    추후에 검사는 아직까진 받지않으셨네요

    저희엄마는 초기에 손떨림으로 발견해서 4년됐네요
    젤 중요한건 환자본인이 견뎌내셔야해요 정상인이었다가 발병이후에 우울감으로
    많이 고생하셨거든요 맘대로 움직여지지가 않아서요 걸음도 그렇고 오른손으로 멀할수가 없으니깐요

  • 3. aaa
    '15.12.3 8:59 AM (119.196.xxx.247) - 삭제된댓글

    저희는 한 10년 되셨는데...지방에서 삼성병원으로 다니고 있습니다.
    보통 3개월에 한번씩 진료 받고 약 한꺼번에 받습니다. 2년에 한 번 정도 검사를 받을 때는 진료 전 1-2 전에 연달아 올라와야 할 때도 있기는 하지만 날씨가 안 좋거나, 이번 여름처럼 메르스 때문에 굳이 환자가 의사를 만나야 할 필요가 없을 때는 서울에 사는 가족이 대신 병원 가서 의사 만나고 약 받아오기도 합니다.
    아직 확진을 받으시지 않은 단계면 상황이 허락하는 한 가급적 서울대병원, 아산병원, 삼성병원 등으로 오면서 검사와 치료를 시작하시길 권합니다. 어느 지역이신지는 모르겠으나 아직 지방이랑은 좀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특히, 파킨슨은 환자와 잘 맞는 약을 선택해야 하는데 적어도 환자가 약에 적응하는 시기까지는 서울에서 치료받는 것이 좋으실 듯합니다.

  • 4. 희망
    '15.12.3 9:00 AM (211.235.xxx.253)

    저희친정엄마도 동일병으로 진행중이신데요
    파킨슨병 진단받고 별다른 치료는 없어요 약물로 치료받고 계신데
    3달에 한번꼴로 병원가서 진료받고 약타오시는게 다입니다.

    처음 진단받을때에 각종검사를 하긴해요 정말로 파킨슨병인지를 확인하는거니깐요
    추후에 검사는 아직까진 받지않으셨네요

    저희엄마는 초기에 손떨림으로 발견해서 4년됐네요
    젤 중요한건 환자본인이 견뎌내셔야해요 정상인이었다가 발병이후에 우울감으로
    많이 고생하셨거든요 맘대로 움직여지지가 않아서요 걸음도 그렇고 오른손으로 멀할수가 없으니깐요

  • 5. ㅁㅁㅁ
    '15.12.3 9:12 AM (119.196.xxx.247)

    저희는 한 10년 되셨는데...지방에서 삼성병원으로 다니고 있습니다.
    보통 3개월에 한번씩 진료 받고 약 한꺼번에 받습니다. 2년에 한 번 정도 검사를 받을 때는 진료 전 1-2 전에 연달아 올라와야 할 때도 있기는 하지만 날씨가 안 좋거나, 이번 여름처럼 메르스 때문에 굳이 환자가 의사를 만나야 할 필요가 없을 때는 서울에 사는 가족이 대신 병원 가서 의사 만나고 약 받아오기도 합니다.
    아직 확진을 받으시지 않은 단계면 상황이 허락하는 한 가급적 서울대병원, 아산병원, 삼성병원 등으로 오면서 검사와 치료를 시작하시길 권합니다. 어느 지역이신지는 모르겠으나 아직 지방이랑은 좀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특히, 파킨슨은 오진도 많고, 확진 후엔 환자와 잘 맞는 약을 선택해야 하는데 적어도 환자가 약에 적응하는 시기까지는 서울에서 치료받는 것이 좋으실 듯합니다.
    파킨슨은 사실 치료는 어렵고, 진행을 약과 운동으로 지연시키는 것이 관건입니다. 저희는 10년 지났지만 (물론 본인은 무척 힘든 시간을 견디셨겠으나) 시간에 비해 진행이 더뎌 아직 혼자 스스로 일상적인 생활 다 하고 계십니다. 떨림이 있고 동작이 좀 느리긴 하지만 아직까지는 모든 일을 혼자 다 하세요. 의사도 아주 모범적인 케이스라고 할 정도인데, 약도 약이지만 매일 걷기 운동을 거르지 않으십니다.

  • 6. ..
    '15.12.3 9:19 AM (123.215.xxx.16)

    답변 모두 감사드립니다. 우울감과 식욕이 극심하게 저하되는 것, 기억력 저하 등이 염려되어 우울증 의심으로 정신건강의학과를 예약했는데, 자세히 여쭈니 손떨림, 몸의 경직 등도 느끼기 시작하셨는데 말씀 안하셨던 거였네요. 좀 더 일찍 감지했어했는데... 제가 마음을 추스리고 좋은 결정 해야겠지요. 감사합니다.

  • 7. ㅁㅁㅁ
    '15.12.3 9:22 AM (119.196.xxx.247) - 삭제된댓글

    아, 그리고 신경정신과가 아니라 '신경과'로 가셔야 합니다.

  • 8. ..
    '15.12.3 9:28 AM (123.215.xxx.16)

    예. 우울증이라고 생각해 신경정신과를 예약한 것인데 병원 선택해서 다시 진료예약을 해야할 것 같네요.
    감사합니다.

  • 9. 파킨슨
    '15.12.3 9:57 AM (220.80.xxx.236)

    신경정신과가 아니라 신경과로 예약하셔야해요

  • 10. 저도
    '15.12.3 10:14 AM (152.99.xxx.69)

    저도 파킨슨병 초기증세인 엄마와 같이 살아요
    약 1년 전부터 다리를 미세하게 떠는 증상이 있었고, 6개월전부터 삼성의료원에 다니면서 약 드세요
    석달에 한번씩 가서 약타오는데 증상이 심하지는 않아서 그냥저냥 유지는 하세요
    자주 갈일은 없을 거 같고, 처음에 진단받고자 비싼 검사를 한 거 같은 기억이 있네요
    의사가 진단해서 뭔가(?) 써주면 그날부터 약값이랑 병원비가 확 싸져요
    뭔가 정부 보조금이 나오는가봐요
    힘내세요 ㅠ
    저위에 10년넘게 일상생활 하신다는 분 댓글보고 부디 우리 엄마도 그정도만 유지하시면 좋겠다는 생각도 들고
    희망이 생겨서 기쁘네요

  • 11. ...
    '15.12.3 10:21 AM (114.108.xxx.86)

    저희 엄마도 파킨슨 앓고 계세요.
    엄마는 잘 이겨내고 계시지만 제가 우울증에 걸릴것 같이 괴로웠다가 지금 좀 나아졌어요.
    제가 보기엔 서울에 유명하다는 병원에서 진료 받으시는게 좋겠어요. 초기엔 갈일이 별로 없어서요.

  • 12.
    '15.12.3 10:31 AM (223.62.xxx.69)

    신경외과로가세요 정신과아녜요 저희시어머님도 10년전 파킨슨진단받으시고 약복용 중이신데 시간마춰 꾸준이 드시는게 관건입니다 혼자계셔도 그걸잘하시느냐가중요 ᆢ 치매가같이온분은 옆에서 챙겨드려야하죠 파킨슨이 대부분우울증과 식욕부진을 동반하더라구요 초기에 음식거부하셔서 애먹었습니다 그래서식욕촉진제도 거의매일같이드시는데 식사잘하시고지금 90세 잘보내고계세요

  • 13. ㅁㅁㅁ
    '15.12.3 4:55 PM (147.46.xxx.199)

    오늘 신문에 간단한 기사가 혹시 도움이 되실까 싶어 링크 남겨봅니다.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5&no=1144360

  • 14. ..
    '15.12.3 6:30 PM (39.7.xxx.35)

    감사합니다. 본인이 받고계신 충격에 비하면 한없이 작을텐데도 마음추스리기가 힘드네요.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512338 흰머리 염색 안하시는 분들 외모는 포기하신 건가요? 41 염색 2015/12/23 9,455
512337 2015년 12월 23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5/12/23 579
512336 대전 사시는분들 봐주세요~ 11 음음 2015/12/23 1,844
512335 SBS보다 규모 큰 미디어기업은 ‘아웃소싱업체’ 외주파견업 2015/12/23 674
512334 남편이 칼귀인데요... 5 메리크리스마.. 2015/12/23 2,731
512333 츨산하고 똑바로 못 걸어요..ㅜㅜ 7 몸뚱아리 ㅜ.. 2015/12/23 1,965
512332 남편이 이시간까지 연락도 안되고 집에 안들어 왔어요. 3 건강최고 2015/12/23 1,399
512331 아기가 먹다 남긴 음식 엄마가 꼭 먹어야하나요? 30 2015/12/23 3,715
512330 호주 잘아시는 분 도와주세요~ 10 부탁 2015/12/23 1,348
512329 모텔로 잡아끄는 상사에게서 도망쳐 집으로 온 딸. 49 ... 2015/12/23 29,792
512328 밤9시에 먹을만한것.. 뭐가 좋을까요? 출출할때 2015/12/23 547
512327 저도 딸아이 결혼문제로 복잡하네요 4 Lemon 2015/12/23 3,423
512326 사진) 올 해의 사진 1회 - 2 장 1 김봉규 선임.. 2015/12/23 979
512325 이런 경우에도 주식증여가 되서 세금을 내야 하나요? 1 주식 2015/12/23 982
512324 햄버거가 영양가 있는 음식이에요? 2 유러피언 2015/12/23 1,833
512323 lpg보일러,,기름보일러,,어떤게 나을까요 //// 2015/12/23 1,296
512322 개 시골로 보낸다는 말... 25 인간의 이기.. 2015/12/23 4,784
512321 계약서 변경, 도움 좀 주세요 1 전세 2015/12/23 501
512320 아들키우는 재미가 생각보다 크네요 14 마미 2015/12/23 4,324
512319 이 시간까지 야근을 한다는 게 정상인가요?? 25 zzz 2015/12/23 4,924
512318 시한부암에걸리거나 치매에 걸린다면 5 나네모 2015/12/23 1,797
512317 해경 세월호 청문회에서 말맞추기 의혹 .. 2015/12/23 531
512316 해외로 여행다녀오신분들께 도움부탁드려요 13 여행 2015/12/23 2,426
512315 전세 만기 전 나갈 경우.. 2 메밀차 2015/12/23 997
512314 힘든 일로 의욕이 없고 반정신나간상태 벗어나려면..어떻게 하면 .. 3 휴... 2015/12/23 1,4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