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클래식 연주곡에는 왜 제목이 없나요?

컥~ 조회수 : 1,357
작성일 : 2015-11-01 17:51:32
캐나다 사는 아짐이어요.
나이 탓인지.... 읏흠... 몇 년 전 부터 점점 클래식 음악에 흥미를 가지고 있답니다.
그래봤자 많이 알려진 클래식 위주라서 아직 얕은 수준입니다.
해서, 클래식 왕초보라서 궁금한게 많은데 
질문 하면 척! 답글 달리는 82쿡이니,  궁금한 점 해결할 수 있을 것 같아 질문드려요.

대중 팝들은 다들 제목이 있잖아요.
오페라에 나오는 곡들도 대부분 제목이 있는 것 같고요.
예를 들면, 공주는 잠 못 이루고, 그대의 찬 손, 별은 빛나건만 등등.
그런데 오페라가 아닌 악기 연주곡들은 제목이 없는 것 같아요.
이번에 조성진씨(?)가 연주한  피아노 연주곡 처럼 제목 대신 
'Piano Concerto in E miner Op.11'이라던지
'Adagio in G minor'
'Caprice No. 24 Op. 1'  
'Clarinet concerto II. Adagio'  
'Jazz Suite No.w, Waltz II' 뭐, 대략 이런 것들이요.  
어느 곡이던 곡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이 있고
그 곡의 함축적인 내용이 제목이라고 생각하는데
굳이 제목을 정하지 않는 이유가 있는지 궁금하네요.  
IP : 70.68.xxx.93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ㅇ
    '15.11.1 6:02 PM (219.240.xxx.151)

    제목 있는것도 있어요..근데 장르별로 수많은 곡을 쓰기때문에 번호로 적는듯하네요. 고전후반-낭만시대에 표제곡들이 유행처럼 돌아서..그때즈음 제목가진 곡들이 좀 있고요...예를들어 베토벤 환희의 송가, 리스트 종달새 등등...

  • 2. ㅌㅌ
    '15.11.1 6:02 PM (1.177.xxx.198)

    잘 모르지만 제가 아는 한도 내에서는..
    음악의 역사를 보면 고전시대와 낭만시대로 넘어가는데
    고전 시대에는 아직 제목을 정하는 문화가 없었고
    낭만 시대에 들어와서 제목을 붙이는 문화가 생겼다고 알고 있어요..
    그러니 고전시대의 곡들은 제목이 없이 번호만 나와있죠..

  • 3. ㅌㅌ
    '15.11.1 6:06 PM (1.177.xxx.198)

    물론 쇼팽의 곡들은 낭만곡이지만 제목보다는 작품 번호로 쓰는게 일반적이다 보니..
    제목을 따로 붙이지 않고 작곡을 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드네요

  • 4. ~~
    '15.11.1 6:25 PM (58.140.xxx.11) - 삭제된댓글

    제목이 붙여져 작곡된 곡들은 표제음악이라고 분류돼요.
    그 외에 작곡된 이후에 사람들이 붙인 별명으로 더 유명해지는 곡들도 있고,
    성악곡들 중에는
    가사의 첫 줄이 제목처럼 알려지기도 하고
    처음부터 제목이 붙어 있는 곡들도 물론 있고요.

  • 5. 우렁된장국
    '15.11.1 6:43 PM (5.254.xxx.118) - 삭제된댓글

    조용필의 친구....
    우리는 이 곡의 제목을 보고 이 곡이 친구에 관련한 노래란 걸 단박에 암시할 수 있지만
    그 외는 알 수 있는 게 전혀 없습니다. 그 곡이 몇 년도에 작곡됐고, 조용필의 몇 번째 작품이며
    어떤 악기로 구성된 스타일의 음악이고 장조이냐 단조인가 알 수가 없죠.

    Piano Concerto in E minor Op.11 라고 하면 우리는 구분이 어렵다고 느껴지지만
    당시는 이런 분류를 통해, 그 곡이 어떤 악기의 연주이고 장/단조의 음악이며
    그 작곡가의 몇 번째, 또 어느 시기에 작곡한 건지 바로 유추할 수 있었기에 편리했죠.

    두번짼. 당시 오래전 작곡가들은 음악을 만들어도 자신의 음악이 아니었습니다.
    왕이나 귀족의 음악였죠. 그러니 굳이 제목을 붙일 이유가 없었기도 했고요.

    그래서 베토벤 하나를 예로 들때,, 운명교향곡이나 비창소나타이니...
    이런건 베토벤이 붙인 게 아닙니다. 상업성을 띤 출판업자가 붙이거나,,, 유명한 평론가가
    난 이 곡을 듣고 이런 느낌을 받았다 해서 글을 쓴 게 유명해져. 그런 부제가 붙은 것이죠.

    클래식은 절대음악입니다. 작곡가가 어떤 의미나 감정을 이입해서 작곡하는 게 아니기에
    엄밀히 말하면 그 곡의 느낌을 연상하는 제목이 필요 없기 때문이기도 하죠.

    물론 그 이후 (바로크, 고전주의,낭만주의)부터는
    작곡가도 누구에게 헌정할 필요도 없기에
    자신의 음악으로서 긍지를 가지고 큰 애착을 가지고 제목을 붙여나가는 경향이 강해지긴 했죠.
    표제음악도 본격 성행하기 시작했고요.

    그래서 외국이나 본토에선 우리나라나 일본처럼 베토벤 운명교향곡.. 이렇게 칭하지 않습니다.
    베토벤 5번 교향곡이라고만 칭하거나, 베토벤 5번 교향곡 그리고 부제는 운명이다..
    이런식으로 언급하지 우리나라처럼 그렇게 부르지 않죠.
    단 그 시절이라도 가사가 붙은 성악곡에는 제목이 붙어있었지만요.

    또 모짜르트만 해도 작품번호(쾨헬)가 600단위가 넘습니다.
    이 많은 곡을 현재의 우리가 공감하기 쉬운 제목으로 붙여놓고 대신 현재의 표기법이 사라졌다면
    우리는 그 제목을 보고 알 수 있는 게 하나도 없다는 거죠. (악기, 장르, 연대, 등등)
    위에도 언급했지만 당시 클래식음악은 절대음악으로 작곡가의 어떤 감정이나 사상을 이입시키는 음악이 아니라
    제목 또한 무의미하고요.

    그 곡을 들으니 사랑의 느낌이 느껴진다고요? .. 그건 어느 개인의 생각이죠.
    작곡가는 그런 느낌으로 작곡한 것도 아니고
    다른 사람이 듣기엔 사랑이 아닌 고독으로 느껴질 수도 있는 그런 절대음악인데....
    거기에 현재의 대중음악처럼 제목만 붙이고 현재의 표기를 생략했담녀
    어떠한 가치의 의미가 없었을 뿐더러 혼란만 가중됐겠죠.

    참고로 저는 클래식 전공자도 아니고,
    이런저런 연유로 사실 클래식을 열심히 안 들은지도 이젠 15년이 돼갑니다.
    오래전 제가 한창 좋아할때 제 흐릿 기억 속의 개념으로 말씀드린 것이니,,,,, 너무 신뢰하진 마세요. ㅎ

  • 6. 아하
    '15.11.2 9:48 AM (70.68.xxx.93)

    그렇군요.
    그렇다면 어떤 한 곡에 대해서 듣는 사람마다 해석을 달리 할 수도 있는 것이겠군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7583 오마이뉴스 레알영상-인천 경기 교육감 청와대앞 1인시위 1인시위 2015/11/03 760
497582 동네가게 카드수수료 반값인하는 누가 누가 했는가? 새벽2 2015/11/03 749
497581 고3 수능 보고 운전면허 시험 볼건데요 49 수능후 2015/11/03 1,609
497580 미국에 삶은밤 가능할까요 5 ㅇㅈ 2015/11/03 1,102
497579 남친 지갑 속에,, 7 ,, 2015/11/03 3,526
497578 히든싱어 김진호보고 그윽한 표정에 꽂혔어요 ㅋㅋ 3 ... 2015/11/03 1,485
497577 컴퓨터 바이러스 때문에 미치겠어요 7 ..... 2015/11/03 1,433
497576 한국경제 주필 “위대한 탈출, 분량 줄었다고 왜곡이라 할 수 있.. 1 세우실 2015/11/03 820
497575 대만 로얄 닛코 타이페이랑 오쿠라 호텔 중 에 어디가 나을까요?.. 대만 2015/11/03 1,160
497574 라ㅇ나 치아보험 가입해도 될까요? 8 치아보험 2015/11/03 2,057
497573 구두쇠 부모 두신분 5 ㅁㅁ 2015/11/03 2,524
497572 혼자 제주도 왔어요 49 여행중 2015/11/03 2,730
497571 82에선 왜 이리 빠릿함을 강조하는지...솔직히 부유층은 빠릿할.. 32 ㅇㅇ 2015/11/03 5,083
497570 현금영수증 발급 안해주는데 어디로 신고하나요? 1 ... 2015/11/03 1,333
497569 살면서 도움되는 명언이나 깨달음 있었다면 13 알려주세요 2015/11/03 4,668
497568 교육부에 항의 전화했어요!! 6 1234v 2015/11/03 1,458
497567 예전 MBC 스페셜 승가원의 아이들 기억나세요? 하하33 2015/11/03 7,718
497566 '무학산 살인사건 공개수사 전환' 1 .. 2015/11/03 1,599
497565 재환씨 노래 와우~ 4 무도 2015/11/03 1,710
497564 압구정동 현대.한양.미성아파트 2 misskf.. 2015/11/03 2,425
497563 '위안부 해결’ 없었던 한일 정상회담, 명분도 실리도 잃었다 4 왜불렀냐 2015/11/03 792
497562 책을 많이 읽는 사람들은 우월감을 느끼나요? 48 ㅇㅇ 2015/11/03 4,188
497561 쓰레기통에 버려진 신생아 물고 병원으로 달려간 개 12 ~~ 2015/11/03 4,704
497560 외국어 이 방법이 정말 효과가 있나요? 14 씽씽 2015/11/03 3,897
497559 (초1)겨울에도 수영 보내나요? 4 열매사랑 2015/11/03 1,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