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다음의 질문에 답해 보세요 - 교학사 출제 한국 근현대사 문제

길벗1 조회수 : 1,489
작성일 : 2015-10-26 15:49:56
 

만약 교학사의 역사 교과서 자습서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출제되어 있다면 여러분들은 어떤 반응을 보일까요?


다음의 가상 인터뷰에서 밑줄 친 ‘대통령’의 설명으로 옳은 것은?


기자 : 구미의 이곳에는 왜 오신 거죠?

관광객 : 위대한 ‘대통령’의 생가이기 때문이죠. 이곳은 우리에게는 성지입니다.


① 국민들에게 자립, 협동, 자조의 정신을 함양하기 위해 새마을 운동을 전개했고, 우리나라 산업화의 초석을 닦았다.

② 우리나라를 OECD 회원국에 가입하게 했으나, IMF 금융위기로 우리나라 경제를 위기로 몰아 넣었다.

③ 5억불을 북한에 송금하여 북한과의 관계 개선을 도모하고 남북간에 6.15 합의를 도출했다.

④ 고졸 학력의 변호사 출신으로 드라마틱하게 대통령이 되었으나 가족들의 뇌물수수 비리로 고초를 겪었다.

⑤ 한반도 대운하 사업을 추진했으나 국민들의 반발에 부딪혀 4대강 사업으로 축소하여 시행했다.


여러분들은 몇 번을 정답으로 적으셨나요?

많은 분들이 위 문제가 무엇을 패러디 했는지 잘 아실 줄 압니다. 위 문제는 금성 출판사 고등학교 한국사 자습서 P246에 나오는 만경대에 온 사람들과 기자간의 가상 인터뷰 문제를 대상만 바꾸어 놓은 것입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49&aid=000...

여러분들은 금성출판사 자습서 P246의 문제가 문제가 없다고 생각합니까? 저것을 두고 검인정 역사교과서가 좌편향되었다고 주장하는 것이 무리일까요?

“가상 인물들이 나누는 대화일 뿐인데 이런 것을 문제 삼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하는 새민련 의원이 정상으로 보이십니까? 과연 교학사가 위와 같은 문제를 출제했다면 새민련 의원은 “가상 인물들이 나누는 대화일 뿐인데 이런 것을 문제 삼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말할까요? 아니면 “박정희를 우상화 하고 민주주의에 역행하는 것으로 대한민국 학생들이 배우는 자습서가 아닙니다”고 항변할까요?


역사교과서의 국정화가 최선의 대책이라고 저도 보지 않습니다만, 현재의 검인정 역사교과서가 좌편화되어 있고, 다양성도 결여하였음으로 개선책은 필요하다는 것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국정화를 반대하는 야당이나 진보진영도 현재의 검인정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대책이나 대안을 제시하여야 설득력이 있다고 봅니다. 그렇지 않으면 현행 검인정 역사교과서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국정화를 하겠다는 정부나 여당에게 밀릴 수밖에 없습니다.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검인정 역사 교과서의 개선책은 무엇입니까? 국정화 외에 다른 좋은 대안이 있으면 제시해 보기 바랍니다.


IP : 118.46.xxx.145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5.10.26 3:54 PM (218.159.xxx.13)

    118.46.xxx.145
    복사해온거네요. 오늘 돈 버느라 바쁜 국정충

  • 2. 길벗1
    '15.10.26 3:58 PM (118.46.xxx.145)

    내가 쓴 글인데 누구 글을 복사해 왔다고 하죠?
    저는 기본적으로 제 스스로 글을 쓰지 남의 글을 복사해 오지 않습니다. 간혹 좋은 글이 있어 남들에게도 일독을 권할 경우는 그 출처를 분명히 표기해 놓죠.

  • 3. 샬랄라
    '15.10.26 4:45 PM (125.176.xxx.237)

    2년 전 칼럼을 다시 읽는 이유

    http://news.joins.com/article/18924651

    원글님 한 번 보세요.

    민주제도도 완벽하지는 않지만 그래도 다수의 뜻에 따라 수정이 가능하고
    독재정치는 더 설명안해도 되겠죠.

    검인정교과서가 문제가 있는 것은 당연합니다.
    그래서 계속 수정을 보는 거죠. 그리고 그래서 여러종류죠.
    검인정교과서가 완벽하다는 생각
    그것이 좀 이상한 생각합니다.
    어떤 책이 완벽하면 그건 경전보다 더 우수할 것 같습니다.

    그러나 국정은
    더 설명한 필요가 있을까요?

  • 4. 길벗1
    '15.10.26 5:07 PM (118.46.xxx.145)

    샬라라/
    아마 2014년 교학사 사태가 나지 않았다면 이번 국정화 논쟁도 생기지 않았을 것입니다.
    검인정이 다양성을 위해 필요하다면, 교학사 교과서가 나왔을 때 진보진영이 훼방을 놓아서는 안되죠.
    자신들의 검정 교과서는 출판되어도 되지만 다른 역사관을 가진 필진의 교과서 출판은 안된다는 것이야말로, 독재이며 독선이고, 당야성을 훼손하는 일이죠.
    저는 국정이든, 검정이든, 교학사든, 금성출판사든 모두 완벽하다고 생각하지 않습니다만, 검정이 다양한 역사관을 학생들에게 소개할 수 있어 좋다는 말도 성립되지 않는다고 봅니다.
    어차피 학생들은 한 가지의 역사책만을 선택(사실은 선생이 결정하죠)할 수 밖에 없어 한 쪽 사관에 치우친 필진의 역사관으로 서술된 역사를 배울 수밖에 없습니다. 차라리 다양한 필진이 참여하는 국정 교과서가 오히려 학생 입장에서는 다양한 역사관을 접할 기회를 갖게 되죠.
    검인정이 당야한 역사관을 접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말은 환상이라고 보죠. 특히 우리나라 검인정ㅇ은 좌편향 일색이고, 다른 시각의 역사교과서 출판을 방해하는 상황이라면 더구나 검인정이 다양성을 담보한다고 할 수 없죠.

  • 5. 샬랄라
    '15.10.26 5:13 PM (125.176.xxx.237)

    김무성 "사주들이 관심 가져야" 모기업에까지 압력
    http://media.daum.net/politics/others/newsview?newsid=20151019200104569

    베트남, 유엔 권고 받아들여 '국정교과서 폐지'
    http://www.viewsnnews.com/article?q=125040

  • 6. 샬랄라
    '15.10.26 5:24 PM (125.176.xxx.237) - 삭제된댓글

    박근혜, 실수하고 있다
    http://media.daum.net/editorial/column/newsview?newsid=20151017134624927

    ■ 지난해 1월에 있었던 일 하나뉴욕 타임스는 지난 13일 한국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비판하는 사설을 썼다. 지난해 1월에도 ‘정치인과 교과서’라는 제목의 사설을 쓴 적이 있다. 이 때 외교부는 뉴욕총영사 명의의 반론문을 냈다.

    “한국은 역사 교과서를 민간 출판사가 출간하고 전문가들이 독립적, 객관적으로 검정을 하고 있어 정부가 전혀 개입하지 않고 있다…박 대통령이 특정 정치견해를 반영하도록 교과서 수정을 강요하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일본은 일본정부가 교과서에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도록 하는 검정기준을 갖고 있지만 한국은 그런 게 없다.”

  • 7. 샬랄라
    '15.10.26 5:25 PM (125.176.xxx.237)

    박근혜, 실수하고 있다

    http://media.daum.net/editorial/column/newsview?newsid=20151017134624927

    ■ 지난해 1월에 있었던 일 하나

    뉴욕 타임스는 지난 13일 한국 역사 교과서 국정화 방침을 비판하는 사설을 썼다. 지난해 1월에도 ‘정치인과 교과서’라는 제목의 사설을 쓴 적이 있다. 이 때 외교부는 뉴욕총영사 명의의 반론문을 냈다.

    “한국은 역사 교과서를 민간 출판사가 출간하고 전문가들이 독립적, 객관적으로 검정을 하고 있어 정부가 전혀 개입하지 않고 있다…박 대통령이 특정 정치견해를 반영하도록 교과서 수정을 강요하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일본은 일본정부가 교과서에 정부의 견해를 반영하도록 하는 검정기준을 갖고 있지만 한국은 그런 게 없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6483 사람들의 욕심이 문제인듯 2015/10/30 567
496482 애인있어요 진짜 재밌긴 한데.. 7 산은산물은물.. 2015/10/30 2,284
496481 동성친구 모임,그룹이 없어요 3 tsjeod.. 2015/10/30 1,855
496480 남편의 화내는 패턴.. 2 ㄷㄷ 2015/10/30 1,601
496479 김치낸장고와 스텐김치통. 5 김치냉장고 2015/10/30 2,005
496478 허리디스크는 대학병원,전문병원중 어디로 가는게 나을까요? 3 ㅠㅠ 2015/10/30 1,108
496477 이영애 진짜 미인인것같아요. 49 .. 2015/10/30 6,937
496476 following 의 형용사인가요 부사인가요. 부탁합니다.그리고.. 1 영어 질문 2015/10/30 840
496475 자랑계좌? 2 차근차근 2015/10/30 1,292
496474 중3 성적바닥 집앞 고등학교가 최선일까요? 1 고등입학 2015/10/30 1,593
496473 유교보수 경상도 남자랑 결혼하면 하루 65분 집안일 더 한다 12 소녀도시락 2015/10/30 2,956
496472 결혼기념일 선물... 2 2주년 2015/10/30 1,035
496471 둘째아이의 비교하고 질투심 어찌하나요? 7 그냥 2015/10/30 1,153
496470 강아지산책요 5 푸들해 2015/10/30 1,088
496469 경북 출신 남성과 결혼하면 가사노동 65분 더 한다 2 참맛 2015/10/30 958
496468 미국식 소뼈 국물 이용법 아시나요? 2 ... 2015/10/30 955
496467 반 아이가 자살을 하고 싶다는데 8 2015/10/30 2,370
496466 이불커버 제작하는 곳 아세요? 2 비구름 2015/10/30 3,252
496465 각종 커뮤니티 범죄 순위래요. 82도 있네.. 2015/10/30 867
496464 꿀도 상하나요? 꿀맛이 좀 이상해요. 3 2015/10/30 2,286
496463 100g에 835원 괜찮은 가격인가요? 2 생강 2015/10/30 699
496462 성지순례 예고글이라네요 1 성지순례 2015/10/30 5,669
496461 연 끊고 지내는 자식에게 유산주길 원치않는 어른. 가능한가요??.. 6 .... 2015/10/30 3,444
496460 3년을 이사날만 기다리며 와신상담했는데 4 답답 2015/10/30 2,268
496459 극명하게 대조되는 남과 북의 실상 2 `~~~~~.. 2015/10/30 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