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공부도 취직도 다 돈이네요

씁쓸 조회수 : 2,830
작성일 : 2015-10-23 17:08:07

언제는 안그랬겠냐만은...

저는 30중반 대기업 직장인이예요.

30초반까지 고시하거나 석사하느라 취업 못했던 친구들...

32-33살에 행정고시 붙기도 하고 7급 공무원,

공기업, 노무사, 세무사, 교사된 경우가 많은데...

30넘어서까지 계속 공부만 한다는건 그만큼 집에서

뒷받침이 된다는 얘기잖아요. 아시다시피 공부하는게

뭘 크게 돈을 안써도 돈이 꽤나 많이들고...

그친구들이 했을 피눈물나는 노력도 분명 존중하지만

결국 조금 늦어도 열심히해서 되는 사람은 되나봐요.

서른 초중반까지 백수로 지내다가 하루아침에 정년보장되는

직업을 갖게된 지인들... 많이 부럽네요.

제가 열심히 벌어서 우리아이한테는 그런 버팀목이 되는

부모가 되야겠다 생각해요ㅎㅎ

물론 빨리 취직하면 좋겠지만 살아보니 인생이 뜻대로

안되는거라, 최후의 보루라도 있음 든든할거 같아요.

IP : 203.226.xxx.158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음 근데요.
    '15.10.23 5:19 PM (211.48.xxx.173)

    시작이 늦으면 경제적으로 그 끝이 더 약할 수도 있습니다.

    시작이 늦은 것도 무시할 수 없어요.

  • 2. 원글
    '15.10.23 5:23 PM (203.226.xxx.158)

    그거야 당연한거라고 생각해요. 일찍붙으면 제일 좋죠. 근데 저도 상위권대나왔지만 요즘 대학 5년이상은 기본이고 석사했고하면 30에나 겨우 자리잡지않나요? 30초반이 엄청나게 늦은 나이는 아닌듯해서.. 그리고 대기업다니거나 자영업하다 30후반, 40중반부터 손놓게되는거 생각하면 늦어도 정년보장되는 길로 가는게 맞는거 같아요. 세상이 너무 험해져서요...

  • 3. 끄덕끄덕...
    '15.10.23 5:56 PM (1.254.xxx.88)

    울남편 20년 전에 34세인가 35세부터 박사 끝내고 취직했어요. 그떄까지 박사하던 친구들도 몇명있었구요..
    그떄 공부를 그만큼 안했다면 여태 직장에 있을까.싶습니다. 그나마 그정도 공부해놓으니 월급도 많이 올라가구요...

  • 4. 대기업 다니면
    '15.10.23 5:59 PM (211.48.xxx.173)

    대기업 다니면 30대 후반에도 실직하게 되는 일이 종종 높나요?

  • 5. 한편으론
    '15.10.23 6:01 PM (66.249.xxx.249)

    일찍취업해서 10년에 10억 찍는 재테크 잘하는 분들도 많더라구요. 비교는 상대적인거죠. 저같으면 빨리 취업하고 재테크 열심히할듯해요. 공부오래한 사람들 경제적으로 돈 굴리는거 잘못해요. 눈이 덜 트여서.
    어떻게든 월급쟁이 오래 붙어있을 고민밖에 안하는거죠.탈출하려는 생각은 못해요.

  • 6. ..
    '15.10.23 8:21 PM (119.192.xxx.73) - 삭제된댓글

    안해보셔서 그런 말씀 하시는 거예요. 서른에 붙으면 모를까, 서른 넘어서 고시, 공무원 등에 매달리고 있으면 엄청 불안합니다. 그나마 금수저 정도 되면 망해도 집에서 처리해주겠지만 그 정도는 아니고 집에서 지원만 겨우 해줄 정도라면 딴거 하지도 못하고 정말 죽고 싶은 생각 하루에도 몇 번씩 들어요. 거기다 인생이 제일 젊을 때 칙칙하게 가고 불확실함에 불안한거 무시 못하고요... 잘된 경우, 집에서 지원 든든하게 해준 경우만 보셔서 그렇지 중간에 집 힘들어지고 나이는 많고 부모님 아프시기라도 하면 가책이 말할 수도 없어요. 남의 일이라고 너무 맑게, 긍정적으로만 보시는 것 같아요. 사람이 너무 불안하면 공부도 잘 안됩니다. 그 스트레스 안 당해보셔서 그래요. 그리고 뜻이 정말 있으셨으면 벌어가며 공부하는 사람도 많아요. 폐인된 분들은 시야에서 사라지니 이런 생각하시는 듯.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7066 내일 (월요일) 평촌에서 인천공항까지 운전해야해요.. 9 공항가는길 2015/11/01 1,414
497065 해외 거주자 운전면허 갱신 4 이곳 2015/11/01 2,754
497064 고혈압은 병이아니다 49 고혈압 병아.. 2015/11/01 5,958
497063 구이용 소고기(한우) 보관 질문! ddaa 2015/11/01 964
497062 비판은 공방으로 축소, 해명은 앵커 멘트로 공식화 샬랄라 2015/11/01 968
497061 싱가폴 마리나베이샌즈 호텔 가볼만 할까요? 13 여행 2015/11/01 5,627
497060 전기장판 저는 이렇게 써요 24 전기장판 2015/11/01 21,714
497059 아기들 다툼에 엄마가 중재하는것 어디까지일까요... 2 ... 2015/11/01 920
497058 과목에 따라 다르겠지만 그래도 요즘 과외 시세 어떤가요? 2015/11/01 942
497057 외모 강박...심하다 3 ㅇㅇㅇ 2015/11/01 1,766
497056 뮤직비디오를 봤는데 제가 궁금했던 동네가 나오는것 같아서요 어딜까 2015/11/01 652
497055 도시 이름 여쭤요. 7 .... 2015/11/01 1,462
497054 미드 로스트룸 무서운 장면 혹시 있나요? 4 ㅇㅇ 2015/11/01 1,266
497053 1년 전 한 통의 전화가 상주터널 대형참사 막았다 3 샬랄라 2015/11/01 2,614
497052 편의점 티머니충전할 때 폰케이스 씌운채로 되나요? 1 ... 2015/11/01 624
497051 저도 실비보험 질문이요 1 11월 2015/11/01 687
497050 국정화와 감금 서민 2015/11/01 553
497049 아이폰 유저분들 색상 혹시 뭐쓰시나요~? 9 .. 2015/11/01 1,706
497048 쿠션 팩트 추천해주세요 2 화장 2015/11/01 1,851
497047 오늘 동물농장 5 ... 2015/11/01 1,853
497046 여러분들 자녀들이 이렇게 나선다면 .... 2 .... 2015/11/01 1,012
497045 “믿고 싶어하는 역사 만드는 건 위험천만” 1 샬랄라 2015/11/01 515
497044 틱장애 치료는 어느 병원으로 가야하나요? 4 괴롭다 ㅠㅠ.. 2015/11/01 2,112
497043 모범생 친구한테 받았던 상처.. 9 ... 2015/11/01 3,294
497042 일방적으로 잘해주는 사람 거절 어떻게하나요 2 ㅇㅇ 2015/11/01 1,6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