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제 점심식사 횟집 위화감 글, 그리고 책의 중요성을 느꼈습니다

// 조회수 : 4,000
작성일 : 2015-10-23 13:28:23
어제 점심시간에 횟집간 자녀가 선생님들로부터 위화감을 준다는 경고를 받았다며, 
그 선생님의 말이 정당한지를 묻는 글은 지워졌나요?

어제 그 일을 계속해서 생각해봤습니다.
만약 내 아이가 나에게 그것이 부당한 일이냐고 물으면 어떻게 설명을 해줘야 좋을지... 
감성적으로는 그 일이 위화감을 주기 충분한 행동이라고 생각하면서도 
이성적으로는 어떻게 설명해야 할까 말빨이 딸린달까, 고민했거든요. 

그런데 책 속에서 뭔가 답을 찾았습니다 ㅎㅎㅎ 

이래서 인문학이 위대하다고 하나봐요.

움베르트에코 <연어와 여행하는 방법>입니다.

어린 주인공은 부모님한테 아이스크림 두개를 양손에 먹고 싶다며 조르지만 어른들은 사주지 않습니다.
어린 주인공은 이해하지 못합니다. 가격이 똑같은데 파이는 사주면서 왜 아이스크림 2개는 안 사주지?
어른이 된 주인공은 깨닫습니다. 

(본문입니다)

두개의 아이스크림은 부절제를 의미하게 때문이었다. 어른들이 내 청을 거절했던 이유도 바로 거기에 있었다. 
한 번에 두 개의 콘을 먹는 행위는 볼썽사나운 행위, 가난한 자들에 대한 모독이자 거짓된 특권과 부를 과시하는 행위였다. 
버릇업는 아이들이나 한꺼번에 두 개의 콘을 먹었다.


(본문 끝)

그리고 소비의 천박함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움베르트 에코의 글은 참.. 좋네요. 
여유가 되시는 분들은 이 책을 읽어보기를 권합니다. 
(근데 끝을 어케 맺습니까?) 

아무쪼록 인문학이 필요한 이유(?)를 새삼 다시 느꼈습니다. ㅎㅎ 

IP : 222.110.xxx.76
2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5.10.23 1:31 PM (76.113.xxx.172)

    인간의 욕심의 끝을 보여줄 수 밖에 없는 자본주의에 제동을 걸어주는 장치가 바로 인문학이죠.
    오죽하면 인문학이 죽으면 나라가 망한다고 했겠어요.
    (요즘 우리나라 돌아가는 꼴을 보면 인문학을 죽어가게 만든 벌을 받는 듯.)

  • 2. ㅎㅎ
    '15.10.23 1:32 PM (121.165.xxx.34) - 삭제된댓글

    끝을 어떻게 맺는지 모르시니 인문학 책을 더 많이 읽으셔야 할듯 ㅎㅎ
    농담이어요 ㅎㅎ

    그래요, 절제, 중용 적당함 이런 교육이 필요해요

    책 추천 감사해요

  • 3. 아...
    '15.10.23 1:33 PM (110.47.xxx.216)

    소비에서도 약자에 대한 배려를 생각하는 것이 인문학이었군요.
    그래서 사람은 배워야 한다는 거였어요.

  • 4. ...
    '15.10.23 1:45 PM (119.192.xxx.115)

    좋은 글 감사해요.
    저도 배우고 갑니다.
    소비에서도 약자에 대한 배려를 생각할 것.

  • 5. 정말
    '15.10.23 1:55 PM (175.194.xxx.161)

    감사드립니다..
    저도 말발이 달려서 뭐라해야 하나 그랬거든요..^^

  • 6. 이글
    '15.10.23 2:10 PM (211.114.xxx.99)

    좋아요~~^^

  • 7. ....
    '15.10.23 2:15 PM (118.219.xxx.36)

    좋은 글 감사합니다 이래서 사람은 죽을때까지 배워야 하나봐요^^

  • 8. 밀랍고릴라
    '15.10.23 2:20 PM (166.48.xxx.23)

    가을날 정말 좋은 조언을 얻네요
    움베르토에코 꼭 기억할께요

  • 9. 가을
    '15.10.23 2:25 PM (114.202.xxx.133)

    감사합니다.
    마음이 평화로워집니다.
    절제의 소비..새기겠습니다.

  • 10. 배려
    '15.10.23 2:25 PM (221.139.xxx.195) - 삭제된댓글

    움베르트에코 참고합니다

  • 11. 배려
    '15.10.23 2:26 PM (221.139.xxx.195)

    움베르트에코 참고합니다

  • 12. 그러네요.
    '15.10.23 2:55 PM (1.235.xxx.72)

    배려없는 소비였네요.
    어젠 그 글 원글님이 뭐가 잘못이냐고 따지는 듯해서 쪼금읽다 관뒀거든요.. 제가 스트레스받을거 같아서.
    원글님 감사해요.

  • 13. 감사합니다.
    '15.10.23 3:13 PM (61.247.xxx.61)

    움베르트에코 [연어와 여행하는 방법] 저장합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 14. 저도
    '15.10.23 3:26 PM (115.137.xxx.79)

    책 제목 기억할게요.
    좋은 글 고마워요~^^

  • 15. 유스
    '15.10.23 3:30 PM (39.7.xxx.14)

    참 좋은 글 입니다

    눈에 보여지는 사실과 현상을 판단하기를넘어서
    깊이 생각하고 질문하며 답을 찾는 과정 .....
    그렇게 살 지 못했으니 이제 그렇게 실고 싶어요

  • 16. .....
    '15.10.23 3:35 PM (110.11.xxx.146)

    소비의 천박함....참 좋은말이네요. 그리고 절제는 도덕성과 더불어 가장 중요한 덕목 중 하나예요.
    이 두가지를 얼마나 적절히 자녀에게 인지시키느냐...에 따라 자녀의 인생이 바뀌는 겁니다.

    자기돈 가지고 뭘 어떻게 쓰건 무슨 상관이냐....라고 떠드는 사람들...다시 한번 생각해보세요.
    남의 쓴소리 자체가 듣기 싫으면 본인과 자녀가 어떤 인간인지 죽을때까지 모르고 욕먹다가 죽는거죠.

  • 17. 감사
    '15.10.23 3:46 PM (117.111.xxx.9)

    꼭 읽어 보려고 저장합니다^^

  • 18. 감사해요
    '15.10.23 3:47 PM (210.105.xxx.253)

    어제 저도 그 횟집에서 점심 먹는 학생 어머니 글 읽고 답답함을 느꼈는데..
    이렇게 깔끔하게 말씀해 주니 좋으네요.

    저희 아이는 아직 부절제라는 개념도 없는 어린 아이지만
    잘 가르쳐야겠습니다.

  • 19. //
    '15.10.23 4:08 PM (222.110.xxx.76) - 삭제된댓글

    청소년과 관련된 글을 쓰는게 직업인데(원고지에선 끝을 잘 맺어요 큭)

    뭐가 잘못인지 모르는 - 이런 사례들을 종종 만납니다. 특히 학생들에게서요.

    (거짓말인지 진짜인지 모르나 충분히 개연성은 있어보이는) 어떤 과고에서는 한 학생이 공리주의와 다수결에 입각해 장애인을 죽이면 안되냐며, 토론을 했다고도 하고,

    남녀가 평등하지 않다고 이야기하는 선생님에게
    남성도 차별당한다고요, 선생님 입장만 고수하지 마세요. 선생님 지방대 나왔죠? 라고 했다고도 합니다.

    이런 사례들을 보면서 학생들에게 인문학을 가르치는 일이 정말로 중요한 것을 느낍니다.


    (또 끝은 어떻게 맺는단 말입니까?)

  • 20. ..
    '15.10.23 5:53 PM (126.11.xxx.132)

    뭐라고 답은 해 줘야 되는데 생각은 안 날때가 많았는데...좋은 답변인것 같습니다.

  • 21. ...
    '15.10.23 7:09 PM (46.165.xxx.196)

    그것은 사람에 대한 예

  • 22. 부절제ㆍ소비의천박함
    '15.10.24 2:05 PM (112.152.xxx.85)

    위화감이라는 단어보다 훨씬예의있고
    엄격한 단어이면서 숭고하기까지 느껴지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8652 비오틴 솔가꺼 vs 컨트리라이프꺼 1 머리털 2015/11/06 2,238
498651 오전에 채널 cgv 에서 시세계를 하더라구요.. 내용중 질문.... 5 신세계 2015/11/06 814
498650 당뇨 진단후 여러가지 후속조치 11 당뇨 2015/11/06 3,734
498649 요즘 영화들은 왜 다 화려하기만 하고 알맹이가 없을까요? 23 ㅇㅇ 2015/11/06 3,097
498648 매실씨는 어떤 효능땜에 베개 만드나요 1 효과가..... 2015/11/06 1,882
498647 영어독서법등을 가르칠때 필요한 스킬등은 어디서 배울까요 미래 2015/11/06 596
498646 진중권 "각하는 아픈 분. 21세기에 유신 푸닥거리&q.. 3 샬랄라 2015/11/06 1,260
498645 혼자여행가는데11월말 드뎌 2015/11/06 982
498644 고층아파트 짜증나네요 4 2015/11/06 3,410
498643 갤럽 "朴대통령 지지율 10주만에 최저치..국정화 영향.. 6 이래서 연예.. 2015/11/06 1,341
498642 임시정부 법통, 박정희가 지웠다. 1 상해 2015/11/06 648
498641 맥시멈 2억 -내 집 마련 ㅠㅠ 1 미리 2015/11/06 2,451
498640 50대 부장급은 다 나가라 임원급도 30% 짐싼다 삼성 구조조정.. 13 난리났네 2015/11/06 10,588
498639 돼지고기 다짐육 1주일 째 김냉보관 1 조조 2015/11/06 1,557
498638 양복걸이 잘 쓰게될까요? 2 .... 2015/11/06 904
498637 70이 가까운 엄마랑 구정에 11박 12일로 해외여행, 어느나라.. 14 ... 2015/11/06 2,886
498636 그녀는 예뻤다 불안해서 못보겠어요. 48 .. 2015/11/06 4,519
498635 이사 고민중 국정교과서 .. 2015/11/06 1,035
498634 다양성·평등…“캐나다를 닮은 내각” 1 세우실 2015/11/06 781
498633 애낳으면 일하고싶은맘이 없어질까요.. 10 직장 2015/11/06 2,546
498632 수년 전에 나온 아가타 목걸이 -이 제품은 순은인가요? 7 ㅇㅇ 2015/11/06 2,552
498631 기본코트색상 블랙? 그레이?어느게 나을까요? 9 multi 2015/11/06 2,943
498630 부산 해운대 근처 괜찮은 호텔 추천 부탁드립니다 4 .... 2015/11/06 1,778
498629 제가 바로 집안의 골치덩어리 대졸백수에요. 32 백수 2015/11/06 16,626
498628 감기초기증상인데 뭘 먹으면 좀 나아질까요? 8 아프다 2015/11/06 1,6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