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상속법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요

.. 조회수 : 1,066
작성일 : 2015-10-21 19:54:52

부부 중 한 사람이 죽으면 남은 재산을 배우자와 남은 자식들이 나눠야 된다고 하는데 부부가 일군 재산을 왜 자식과 함께 나눠야 되는지 모르겠어요.


제 생각에는 부부 중 한 사람이 죽으면 살아 있는 한 사람에게 재산이 넘어가고,

 나머지 한 사람이 죽었을 때 자식에게 상속되는게 맞는거 같은데...제 생각이 이상한가요??


법이 이렇게 만들어진 이유가 있을 것 같은데 궁금하네요. 혹시 아시는 분 계세요??



IP : 1.240.xxx.25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우렁된장국
    '15.10.21 8:10 PM (5.254.xxx.218) - 삭제된댓글

    부부는 무촌이지만, 혈연관계가 아니기에 등돌리고 도장찍으면 남남돼죠.
    하지만 혈연관계는 그게 아니잖아요.
    그래서 상속법에선 직계(존,비속 포함)을 최우선 순위로 두고
    배우자는 특별한 위치에서 존비속과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죠.
    어떤 상황에서도 상속은 직계가 최우선이 되어야함은 기본이고 이게 틀어지면 많은 혼란만 야기하겠죠.

    원글님이 그런 부분 맹점이 있다 생각하듯,
    원글님 방식으로인들 당장 여러 맹점을 만들어낼수있어요.
    그래서 이런저런 맹점을 최소화해서 민법이 개정된거겠고요.
    유류분이란 제도가 오래전에 생겼고 적자관계에선 상습권리가 상호간에 없어지듯...
    앞으로도 맹점이 계속 보완돼가겠죠.

    만약 원글님이 A 집안으로 시집와서 살다가 남편이 죽었어요.
    원글님 생각대로 그 재산이 A집안의 자녀들과 나누는게 아닌
    배우자인 원글님한테 100% 갔는데요.

    이후 원글님이 맘을 바꿔 다른 남자B를 만나 시집을 갔다쳐봐요
    그 과정에서 자녀들이나 시부모와 큰 분쟁이 생겨 자식들과도 인연을 끊고 살고요.

    그럼 A집 재산은 고스란히 B집안으로 다 흘러가버리는거고
    정작 A 집안 대를 이어갈 직계비속 자녀들은 빈털털이가 돼겠죠.

  • 2. ..
    '15.10.21 10:24 PM (1.240.xxx.25)

    친절한 댓글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맹점은 잘 알겠는데요... 사별 후 재혼은 특별한 경우인데 일반인들의 경우 자식과 분쟁이 생길 우려가 있을 것 같아요. 개인적인 생각으로 30-40년 이상 같이 살면 좀 예외로 해줬으면 싶기도 하구요...

    지금 법대로라면 자식이 많을 수록 배우자의 비율이 낮아지는데...배우자의 비율을 자식수와 관계없이 정해놓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드네요.

  • 3. ....
    '15.10.21 10:48 PM (121.150.xxx.227)

    자식이 어린경우 그 배우자가 재혼하고 얼마 있다죽으면요.엄한놈한테 재산 다 가고 자식은 알거지 되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7514 도올 김용옥선생의 강의를 듣기 힘든이유가.. 8 쩝.. 2015/11/03 2,568
497513 집옆 회사에서 저희빌라에 주차를 해요 16 ... 2015/11/03 4,237
497512 세계 최대 교원단체도 “국정화 철회하라” 2 샬랄라 2015/11/03 756
497511 뽁뽁이를 창틀에 붙일수 없나요? 3 그냥 친구 2015/11/03 1,547
497510 역사학자 전우용님 트윗 4 아모레불매 2015/11/03 1,419
497509 발리 우붓지역 리조트 추천부탁드려요. 12 호텔 2015/11/03 2,725
497508 세계 국가 치안(안전한 나라) 순위 39 국제기구평가.. 2015/11/03 9,460
497507 세월호 특조위 다음달 14~16일 청문회 개최 2 후쿠시마의 .. 2015/11/03 590
497506 아르간 오일 브랜드 추천 부탁드려요. 5 건조한피부 2015/11/03 2,261
497505 오늘 오랫만에 서울가는데, 낮에 추운가요? 겉옷 뭐 입을까요? 4 .... 2015/11/03 1,730
497504 2015년 11월 3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1 세우실 2015/11/03 843
497503 정신줄을 잠시 놓아 둘때 8 쑥과 마눌 2015/11/03 2,106
497502 한미, 북핵 '선제타격' 공식화…日자위대·사드 원론적 답변(종합.. 4 후쿠시마의 .. 2015/11/03 949
497501 제가 싫으니 아이에게 퍼부어대는 남편 28 유치해 2015/11/03 6,521
497500 어린이집에서 5살아이 하반신 마비 32 에휴 2015/11/03 17,435
497499 웃는 얼굴 만들기 2 생각바꾸기 2015/11/03 1,947
497498 지금 이 시간 난방하시나요? 10 .. 2015/11/03 3,026
497497 자고 일어나면 국정화 교과서 결정나는거네요? 1 제대로 된 .. 2015/11/03 852
497496 통조림 꽁치는 왜 나오는건가요? 2 궁금한데 2015/11/03 2,390
497495 도로명인지 뭔지 가뜩이나 머리아픈세상에.. 29 열받아 2015/11/03 4,478
497494 힘쓰는 일하면 치질이 도지는 느낌 8 힘전 2015/11/03 2,184
497493 아이가 유치원에서 머리를 다쳤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6 runga 2015/11/03 1,713
497492 뒤늦게 공부 시작해보신분 있나요?? 5 고민 2015/11/03 2,573
497491 남편이 매일 술마셔요 49 ggbe 2015/11/03 2,933
497490 제 사정으로 베이비시터 하루 쉬면 일당은 줘야 하는거죠? 19 .. 2015/11/03 5,2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