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여기분들은 대부분 전업주부인가요?

궁금 조회수 : 2,259
작성일 : 2015-10-16 21:31:02

저는 상위권대에서 석사(경제학)까지 했고 좋은직장 다녔는데 너무 힘들어서


한번 쓰러져 응급실 실려가고나서 그만뒀어요. 지금은 아이없는 서른초반 전업주부이고요.


사실 제주변에도 다들 학력이 좋은데 결혼해서 계속 일하는 친구들은 교사, 공무원뿐이예요.

인터넷에서는 다들 맞벌이가 많네 어쩌네 하는데 실제로 제주변에 결혼하고나서 일하는 비율이


20%정도예요. 다들 학교좋고 전직장 좋았는데 아이키우면서 다니기에 진짜 너무 힘들다는 의견들...


다른 직군들(의사, 연구원, 노무사, 회계사, 세무사)은 서른 초반-중반인데 결혼할 생각이 없어요.


아이 낳는것도 별로 원하지않고 지금 일이 너무 힘들어서 일하고 노후대비하는것만도 벅차다고...


저는 개인적으로 석사따기가 너무 힘들었고(나중에 알고보니 제가 너무 힘든 학교, 세부전공을 했더라고요)


체력이 바닥난 상황에서 직장다니다보니까 (집까지 왕복 3시간) 체력이 과부하였던거 같은데...


가장 큰 문제는 제가 뭔가를 해야할거 같다는 생각이 자꾸 들어요.


뭔가 직업을 가지고싶고 경쟁이 적고 비교적 편안한 직장을 다니고 싶다는 생각...


생각해보니 정말 공무원밖에 답이 안나올듯한데... 다른 전업분들은 준비하는거 있으신가요?


서른중반에 아이가지려면 이제 남은시간이 몇년 없는데.. 공부를 다시 시작해도 체력이 받쳐줄까


고민만 많아지네요...


결혼전에 결혼하고나서 직장 그만두는 여자들 속으로 욕했는데 이게 제 일이 될거라곤 생각조차 못했네요.

의외로 여자들이 결혼하고나서 "왜 뭔가를 계속 해야되? 그냥 아이 잘키우고 살림 잘하면 되지"하면서


직업을 다시 가지는걸 고려조차 안하는 케이스들이 많네요. 가방끈도 긴 사람들이...


그래서 82에서 가볍게 얘기 들어보고싶어요. 다른분들은 준비하거나 생각중인게 있으신지...



IP : 175.211.xxx.245
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그래서
    '15.10.16 9:39 PM (66.249.xxx.253)

    전 애 안낳고 딩크로 살려구요. 사람마다 자기 상황에 맞춰살면되지 않나싶어요. 자기 상황모르고 다가지려하는 건 욕셈이죠.

  • 2. 의외로가 아니라..
    '15.10.16 9:51 PM (37.58.xxx.114) - 삭제된댓글

    여자들 스스로 자기들이 결혼하고 나서 "왜 뭔가를 계속 해야되? 그냥 아이 잘키우고 살림 잘하면 되지" 하는 사람들 정말 많아요. 가방끈 길고 짧은 건 큰 유의차 없는 거 같구요.

  • 3.
    '15.10.16 9:59 PM (218.54.xxx.98)

    많이 배워서 그래요

  • 4. ㅇㅇ
    '15.10.16 10:06 PM (223.62.xxx.121)

    30초반이면 너무 어려요.
    전 결혼을 안해서 그런지 한번도 일을 안하고 백수가 된다는건 생각해본 적이 없는데..
    30초에 은퇴라면 너무 빠른듯.
    아직은 뭐든 시작할 수 있을꺼에요.
    아이돌이나 피겨스케이터 같은 것만 아니라면.
    그리고 40 다되어 결혼 안한 사람들 천진데 이미 결혼도 하셨고 안정되셨으니 다른 걱정은 없죠 뭐.

  • 5. 우선순위
    '15.10.16 10:08 PM (175.197.xxx.193) - 삭제된댓글

    전 아이를 너무 원했기 때문에 원글님 나이에 아이 둘 낳아서 길렀어요.
    아이를 낳아 기르는 건 창작 행위와 비슷해서 충족감을 줘요.
    그래서 아이 낳고 나서 가정에 몰두했고 제 선택에 후회 없어요.
    아이들이 좀 크고 나니 이제 뭔가 시작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원글님의 우선순위를 어디에 두느냐를 판단하시고
    일과 아이, 둘 다 추구하신다면 그걸 받쳐줄 여건을 마련해보세요.
    아이를 될 수 있으면 일찍 낳아서 키우고 삼십대 중반부터 커리어를 다시 시작해도 괜찮은 것 같은데
    임신도 사실 사람 마음대로 잘 되는 일이 아니라서...

    임신, 육아도 사실 적절한 나이가 지나면 하기 힘든 일이고
    공부와 커리어에 때가 있다는 말도 맞아요.
    그러니 그걸 병행하려면 돈이 들어요. 육아나 생활 관리를 대신해줄 사람이 필요하니까요.

    어떤 선택을 하든지 희생이 따르고 인생에 계획대로 되는 일은 많이 없어요.
    그러니 자기가 뭘 원하는 사람인지 생각해 보시고 그걸 따르세요.

  • 6. 우선순위
    '15.10.16 10:10 PM (175.197.xxx.193) - 삭제된댓글

    전 아이를 너무 원했기 때문에 원글님 나이에 아이 둘 낳아서 길렀어요.
    아이를 낳아 기르는 건 창작 행위와 비슷해서 충족감을 줘요.
    그래서 아이 낳고 나서 가정에 몰두했고 제 선택에 후회 없어요.
    아이들이 좀 크고 나니 이제 뭔가 시작해야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원글님이 우선순위를 어디에 두느냐를 판단하시고
    일과 아이, 둘 다 추구하신다면 그걸 받쳐줄 여건을 마련해세요.

    임신, 육아도 사실 적절한 나이가 지나면 하기 힘든 일이고
    공부와 커리어에 때가 있다는 말도 맞아요.
    그러니 그걸 병행하려면 돈이 들어요. 육아나 생활 관리를 대신해줄 사람이 필요하니까요.

    어떤 선택을 하든지 희생이 따르고 인생에 계획대로 되는 일은 많이 없어요.
    그러니 자기가 뭘 원하는 사람인지 생각해 보시고 그걸 따르세요.

  • 7. 우선순위
    '15.10.16 10:11 PM (175.197.xxx.193)

    전 아이를 너무 원했기 때문에 원글님 나이에 아이 둘 낳아서 길렀어요.
    아이를 낳아 기르는 건 창작 행위와 비슷해서 충족감을 줘요.
    그래서 아이 낳고 나서 가정에 몰두했고 제 선택에 후회 없어요.
    아이들이 좀 크고 나니 이제 다시 뭔가 하고 싶은 마음도 생기네요.

    원글님이 우선순위를 어디에 두느냐를 판단하시고
    일과 아이, 둘 다 추구하신다면 그걸 받쳐줄 여건을 마련하세요.

    임신, 육아도 사실 적절한 나이가 지나면 하기 힘든 일이고
    공부와 커리어에 때가 있다는 말도 맞아요.
    그러니 그걸 병행하려면 돈이 들어요. 육아나 생활 관리를 대신해줄 사람이 필요하니까요.

    어떤 선택을 하든지 희생이 따르고 인생에 계획대로 되는 일은 많이 없어요.
    그러니 자기가 뭘 원하는 사람인지 생각해 보시고 그걸 따르세요.

  • 8. ...
    '15.10.16 10:36 PM (39.7.xxx.96)

    전문직 아니고서야 일반 직장맘들 힘든건 사실이에요.
    그래도 대기업정도면 복지나 연봉빨로 버티기도 합니다. 요즘은 애낳았다고 회사 그만두는 경우는 오히려 보기 드문... 그래도 애낳고 회사에 올인하기는 힘든 경우가 많고, 남자들보다 중도포기기 많긴하죠. 전 다닐수 있는데 까지 다니고. 내 의지와 상관없이 그만두게 된다면 아이에게 손 덜갈 때까지 전업하고, 전공과 다른 일 해보고 싶어요. 10년이상해봤으니 인생 한번뿐인데 다른 일도 해보고싶어요

  • 9. ..
    '15.10.17 9:16 AM (114.206.xxx.40)

    저도 서울대 나와서 집에서 아기보고 있어요ㅎㅎ
    아기가 지금 3살인데 전 나이도 많은터라 마흔되기전에 재취업하고 싶은데 아이 떼놓고 직장 다닐 생각하니 발이 안떨어지네요. 아기 유치원 갈때쯤 파트타임잡 구하고 싶은데 가능할런지도 모르겠구요.
    아기보고 살림하는게 체력적으로 힘들어서 오전시간만 아기 봐주시는 이모님 오셨었는데 얼마전 이모님 관두시고 저랑 둘이 있으니 아기가 너무 착해지고 달라진걸 3일만에 느꼈어요. 그러고나니 결정이 더 힘드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7888 [국정교과서 고시 강행] 벼랑에 몰린 민주주의…불통·비밀주의 속.. 세우실 2015/11/04 638
497887 보내는 것이 더 좋을까요? 4 중학생 기숙.. 2015/11/04 793
497886 졸리♥피트, 판박이 쌍둥이 7 이쁘당 2015/11/04 4,309
497885 호주 같이가기로 했는데 불만투성이 딸. 3 .... 2015/11/04 1,898
497884 젤리 타입 영양제 - 실온에 보관했고 달라붙어 있는데... 1 건강 2015/11/04 835
497883 저도 향수 추천부탁드려요~ 12 사고파 2015/11/04 2,696
497882 음식 시킬때 어떻게 시키세요? ... 2015/11/04 673
497881 1억 대출은 무리일까요ㅡ? 15 2015/11/04 3,955
497880 욕실 바닥 청소 비법좀 알려주세요~ㅠㅠ 16 물때박멸 2015/11/04 5,767
497879 생애 첫 염색.. 무슨 색으로 하면 어색하지 않을까요? 3 염색 2015/11/04 1,060
497878 구글 직장 어떤가요? 7 2015/11/04 2,498
497877 2015년 11월 4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2 세우실 2015/11/04 806
497876 역사는 권력의 전리품이 아닙니다 2 샬랄라 2015/11/04 921
497875 "일본 외무상, 한일 협의서 위안부 소녀상에 문제제기&.. 2 미일동맹 2015/11/04 846
497874 7세여자아이 걱정맘 2015/11/04 753
497873 삼성발 구조조정 감원태풍 끝나면 후덜덜하겠네요. 49 감원태풍 2015/11/04 19,146
497872 황 총리의 궤변에 담긴 국정화의 본질 1 샬랄라 2015/11/04 794
497871 오늘 강원도여행가는데 옷차림은 어느정도가? 5 이른아침 2015/11/04 1,514
497870 벨기에 원전서 소규모 폭발 사고 1 40년 가동.. 2015/11/04 1,529
497869 요즘 여중고생들 대부분 안경빼고 렌즈끼고 다니나요? 48 렌즈 2015/11/04 2,401
497868 죽지는 말자 이렇게 다짐을 합니다.... 49 내 팔자.... 2015/11/04 6,172
497867 40대 후반에 스키배워서 타는것 어떤가요? 11 스키 2015/11/04 2,831
497866 브랜드 구두가 보세 구두에 비해 확실히 발이 편한가요? 3 구두 2015/11/04 2,470
497865 이제 곧 초등1학년 되는 아이에요. 1 봄봄 2015/11/04 926
497864 뒤통수 맞은 후 그 인간이 싫다. 10 과거 호구 2015/11/04 4,7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