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에서 담근 차, 건강에 좋을까요?

궁금 조회수 : 1,100
작성일 : 2015-10-14 07:39:51
베이킹도 베이킹이지만
요새 피클, 차 등 집에서 담가보면서
사용되는 어마어마한 설탕량에 놀라곤 해요.
적게 쓰면 맛이 안나더라고요.

얼마전 귤이랑 레몬, 생강 등에
나름 유기농 흑설탕으로 차 담갔는데요.
들어간 설탕 양을 아니 먹기 겁나지만
맛날 걸 아니 또 먹고 싶고 그러네요.

과일 설탕 동량..
그럼에도 불구하고 좋은 천연 재료 쓴 것이니
뭔가 건강에 도움이 될까요?
아님 결국엔 설탕을 잔뜩 먹는 꼴일까요?
문득 궁금해서 우문 올려봅니다.
IP : 92.109.xxx.55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remy하제
    '15.10.14 8:07 AM (112.167.xxx.141)

    청의 목적중 하나는 제철에 나오는 것을 잘 보관해서 오랫동안 손쉽게 먹기 위한 것입니다.
    영양적인 면을 본다면 청으로 만들기보다는 말리거나 건조해서 다려먹는게 더 좋겠죠.
    그것보다는 요즘처럼 식재료가 풍부할때는 제철에 나오는 것을 그때그때 먹어주는게 좋구요.
    청의 시작이었던 매실은 기호식품이라기 보다는 약리효과도 있어서 많이 퍼졌지만
    그 바람을 타고 온갖 것을 다 청으로 만들면서 의미가 좀 퇴색되었죠..
    청귤은 기사를 잘 살펴보면 청귤이란 품종이 따로 있습니다.
    제주도 토종 품종이며 현재 시중에 나도는 것만큼 생산되지도 않습니다..
    대부분은 덜 익은 귤을 파는데 제주신지 귤협회인지에선
    이것을 판매금지 시켰는데 붐을 타고 판매해서 구속되고 문제가 되었지요.
    남해안 일부지역에선 정책적으로 청귤을 판매해서 제주에서도 고민중이라고 하는데
    하여간 청귤은 품종이 따로 있습니다.
    그것이어야 맛도 좋고 향도 좋은데 덜 익은 귤은.... 아무래도 그렇겠죠..
    레몬은 일년내낸 나옵니다..
    싱싱한거 조금씩 사서 그때그때 즙을 짜서 쓰는게 훨씬 맛있구요,,
    생강도 역시 설탕에 재운 것보다는 그때그때 사서 다려먹거나 우려먹으는게 좋습니다..

    청의 문제점 중의 하나는 당을 과다로 흡수하는 것, 맞습니다.
    그에 비례해서 재료의 성분도 손쉽게 흡수할 수 있긴 하지만
    아무래도 잘못하면 과다섭취가 되는건 맞습니다.

    일부에선 청이 발효되면서 어떤 성분이 생긴다고 하면서
    각종 검사자료를 내밀긴 해도....
    그게 워낙 극소량이라.. 그거 먹으려고 설탕물 먹기엔.....

    대신 청량음료보다야 100배는 나으니까 잘 만드셔서 활용하면 좋긴 좋습니다..^^;;

  • 2. ....
    '15.10.14 8:24 AM (115.23.xxx.191)

    생강시럽을 만들까 했는데 그냥 건조시켜 달여 먹어야겟네요..

  • 3. 첫 댓글 말씀처럼
    '15.10.14 8:58 AM (220.84.xxx.9)

    아이들 청량음료 대용으로 ㅠㅠ 마시고 있어요

  • 4. ..
    '15.10.14 10:03 AM (58.29.xxx.7)

    30여전부터 매실청을 담그다가
    지금은 조금만 담급니다
    그 설탕량에 놀라서요
    요즈음
    별별 청을 다 담지요--그 설탕량
    그러고는 효소라고 합니다
    그러나 효소 아니라고 했습니다
    아주 미묘한 사안이라 확실하게 이야기 하기 힘들다고 합니다

  • 5. 첫댓글님
    '15.10.14 4:47 PM (92.109.xxx.55)

    사실 저는 한국이 아니라 ^^; 귤 안나는 나라에 사는데요. 세일해서 팔길래 얼른 사서 담갔거든요. 하지만 주신 말씀 대부분 공감합니다. 저는 특히 탄산음료 안 마시는 사람인데 ㅠㅠ 쩝. 말리는 차 쪽으로 더 생각해 봐야겠네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37081 위경련약 어떤게 효과좋은가요? 4 ㅠㅠ 18:20:40 71
1737080 돈의 주인은 따로 있다는 생각 가끔해요. 평생재산 홀.. 18:19:15 167
1737079 젊은 사람들, 사람 아기인지 동물 아기인지 말좀 해줘요 4 Quee 18:16:22 313
1737078 날씨 어플 어디가 잘 맞나요? 1 ㅇㅇ 18:12:33 150
1737077 스벅 프리퀀시~ 레몬 18:11:06 146
1737076 이번주 전국 최대 200mm 폭우 예상, 기상도 영상 2 몸에좋은마늘.. 18:05:54 955
1737075 강선우 이불을 참 참하게도 덮어주네요ㅋㅋㅋ 14 ........ 18:00:21 1,143
1737074 친정엄마의 심리 11 ㄱㄱ 17:53:11 932
1737073 충북 사람들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17:52:58 393
1737072 저뒤에 최성해 이제 들어왔.. 17:51:52 231
1737071 직장생활의 고단함.. 다들 어찌 견디세요? 7 언제까지 17:51:43 752
1737070 김앤장 파트너 변호사 연봉이 10억 가량이군요 1 ㅇㅇ 17:47:39 626
1737069 "10분에 한번씩 욕 문자"…강선우 갑질의혹에.. 26 이걸 쉴드?.. 17:47:36 1,621
1737068 사람의 최고 스펙은 8 ㅁㄵㅎㅈ 17:39:09 1,125
1737067 소상공인 부담경감크레딧 결과는 언제 나오나요? 2 ㅇㅇ 17:34:54 254
1737066 대딩 실습 면접에 검정와이셔츠 안될까요 9 Q 17:29:48 323
1737065 예쁜 커피잔 추천해주세요. 1 ㅇㅇ 17:29:35 171
1737064 강선우 17 ... 17:27:17 1,679
1737063 나이먹고 자식없고 전업이면 32 허무 17:24:15 2,606
1737062 공부 못하는 아이 입시...어떤 마음으로 지켜보셨나요 18 d 17:21:14 1,066
1737061 케이팝 데몬헌터스에 그 사자보이즈… 18 17:18:27 1,477
1737060 웨지우드 알렉산드라 실물 어떤가요? 웨지우드 17:16:55 174
1737059 배우이름 좀 찾아주세요 8 ... 17:07:39 739
1737058 가난한집 며느리인데, 눈높고 뒷목잡게 하는 시모. 27 가난이 죄 17:04:10 3,142
1737057 우체국금융개발원 예금 상담직 콜센터 업무 강도 어떨까요? 3 ... 16:58:53 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