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기업 임대업 글을 읽고 생각난 일본 기사예요.

임대업 조회수 : 2,958
작성일 : 2015-09-30 09:47:26

그 글을 읽어보니 대기업 임대수요로 기존 아파트값이 더 오를수 있을거라 생각했는데, 수요자 입장에서는

집값이 보합인 상태에서는 유지비>임대료 인 상황이 되서 임대하는게 여러모로 편리하게 되서

집값 하락이 될수도 있는거군요.

2015년 1월 8일 일본 비즈니스 저널에 실린 기사라네요.

우리나라도 일본을 많은 면에서 따라가고 있는것 같으니 읽어볼만한 기사인듯해요.


원문은 http://biz-journal.jp/2015/01/post_8513.html 에.. 있어요.



100만엔 대에서 아파트를 산다고? 엄청난 부동산 시장 붕괴, 주택 단지의 대형 쓰레기...

激安공단 아파트의 일례. 엘리베이터가없는 4 층에 일반적으로 300 ~ 500 만엔으로 판매하는 곳을 120 만원이라는 과감한 가격을 붙이고, 35 년 모기지 지불할 때 "매달 3543 엔"을 납부.


집 근처에 있는 중고 아파트가 얼마에 매물로 나와 있는지를 조사한 수 있을까? 충격적인 데이터를 소개하자.

 리크루트가 운영하는 부동산 정보 사이트【스모】에서 수도권에서 500만엔 미만의 중고 아파트 (40 평방 미터 이상)를 검색하면 1개의 도와 3개의 현에서 총 200 건이 넘는 물건이 검색됩니다. 그 내역을 살펴보면 도쿄도 6 건, 치바현 97 건, 가나가와 현 48 건, 사이타마 현 63 건이다.

 500만엔 미만의 것이면, 필시 외진 장소 또는 너덜너덜한 방이 틀림 없다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이것이 상당히 보통이다.

 최저가는 치바현 남서부에있는 2LDK · 47 평방 미터의 건물에서 180 만엔. 준공 40 년이 넘는 오래된 물건으로, 옛 일본 주택 공단 (현 UR 도시기구)에서 고도 성장기에 개발 한 이른바 공단 아파트이다. 가까운 역에서 도쿄 역까지 쾌속으로 약 60 분 거리. 남향 발코니를 갖춘 5 층 건물의 최상층에 일조 · 조망 모두 양호. 물론 벽지나 화장실도 새로 리모델링 되었다. 그러나 결정적인 단점은 엘리베이터가없는 것이다. 같은 단지 내에서도 매물로 나와있는 물건은 많지만, 3 층 이상은 외면 당하고 팔리지 않어, 점점 가격이 내려 갔다는 것이 사실인 것 같다.

 이제 이런 비인기 아파트가 일본에 넘쳐 돌아가고 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부동산 정보 사이트에서 검색 할 수있는 것은 어디 까지나 판매자의 「희망 주택 가격」이며, 「실제 계약 가격」이 아니라는 것이다. 경쟁 물건이 많은 가운데, 하루 빨리 현금화하려는 판매자는 파격 할인에 응하기도한다.

 즉, 180 만엔에 매물로 나와있는 물건의 실제 계약 가격은 150만엔까지 떨어질지도 모른다. 실제로 단지 이름으로 검색 해 보니 조금 전에 다른 동 4층에서 같은 크기의 방이 120만엔까지 인하된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리폼 필요). 도쿄 시내로 통근 가능한 아파트가 겨우 100만엔 대 전반에서 살 수 있는 시대가 되어 버린 것이다.

지난해 11 월 30 일자 사이트 기사 "신축 단독 주택 가격 붕괴, 수도권에서 1천만 엔 대도 급증. 앞당겨 구입 결정에 주의" 에서도 언급했듯이, 아베노믹스 의 역사적인 금융 완화에 따라 시세가 회복하고 있는 곳은 도심의 일부나 인기 역세권 뿐이다. 조금 외곽에 눈을 돌리면, 여전히 처절한 부동산 가격 하락의 현실을 목격하는 것은, 중고 맨션(우리나라의 아파트)의 세계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모기지 금리가 전례없이 낮은 수준이므로, 더 적은 상환 금액으로 내 집 구입 가능하게 되었다. 1992 년에 18 세 인구의 피크를 기록했던 에코 베이비 붐 세대들(베이비 붐 세대의 자식들)은 20년 이 지나면서 내 집  구입 적령기에 달했다. 투자자들은 자산운용처를 혈안이 되어 찾고 있다. 원래라면 부동산이 급등해도 이상하지 않은 조건을 갖추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거와 같은 부동산 거품은 일어나지 않았다. 지금 아베노믹스에 의해 일어나고 있는 도심의 부동산 상승은 2007 년 전후의 미니 버블보다 더 규모가 작은 '미니 버블'이라고 부를 정도의 것에 지나지 않는다.

 한편, 인구가 도심에서 교외로 유출되는 도넛화 현상이 역전되어, 도심의 변두리에서 부동산 시장이 붕괴하는 "역 도넛화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그 원인은 이미 일본에서 주택 공급 과잉을 겪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총무성이 5년마다 실시하고 있는 주택 · 토지 조사에 의하면, 13년의 전국 주택 총 6063만호 중 820만 가구가 빈집으로, 빈집 비율은 13.5 %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20%를 넘는 것도 시간 문제라고 되어 있으며, 노무라 종합 연구소의 추산에 따르면 2040 년에는 빈집 비율이 43% 에 이른다고한다.

 일본의 총인구는 2008 년부터 감소세로 돌아서, 지난 몇 년간 매년 26만 명의 중소 도시 규모의 인구가 계속 감소하고있다. 2015 년부터는 세대수의 감소도 시작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베이비 붐 세대가 본격적으로 노인 요양시설과 고령자용 서비스 주택에 입소 할 무렵에는 거리 빈집 투성이 상태에 빠지는 것은 이제 누구 눈에도 분명 할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왕성한 기세로 신축 아파트와 단독 주택이 공급되고 있다.

 지금 논의되고 있는 빈집 문제의 초점은, 오래되어 방치된 주택을 "대형 쓰레기"로, 어떻게 행정을 지원하고 효율적으로 처리 할 것인가 하는 것이다. 즉, 일본인이 오랜 '소중한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던 부동산이, 이제 가전 제품이나 가구 등 일반 소비재와 같은 위치가 내려갔다는 것을 의미하고있다.

 어떤 고급차도 10년이 지나면 매입 가격은 거의 제로에 가까워지는 것과 같이, 집이 남는 시대의 아파트와 단독 주택도 결국은 자산 가치가 현저히 내려 간다. 

 4000만엔(4억원)의 아파트가 20 년 만에 반값이 되면, 2000만엔(2억원)의 평가손을 안고 팔아 버리지만, 500 만엔의 아파트는 비록 자산 가치 제로가 되어도 대출상환만 없다면 임대료 분의 거주 가치를 계속 즐길 수있다(?).

 그러나 뭐니 뭐니해도 가장 유익한 것은 염가 임대 주택에 사는 것이다. 예를 들어, 아파트는 소유하고 있어도 관리비 · 수선 적립금(참고로, 우리나라에서는 수선적립금이 1~3만원 정도이지만, 일본의 수선적립금은 아파트 관리비보다 같거나 조금 비쌉니다.)에 재산세 등의 비용이 들고 이것이 만만치 않다. 매물해도 정기적인 수선비는 필요하다. 처음에 이야기한 180 만엔 공단 아파트의 경우 관리비 · 수선 적립금만으로 매월 약 2 만엔(20만원. 이 경우 관리비가 10만원이면, 수선비 적립금이 10만원 정도 됩니다.) 걸리는 점을 감안하면 동종의 방을 임대 3 ~ 4 만엔(3~40만원)에서 빌리는 것이 유리한 것은 틀림 없다. 빈 방은 해마다 늘어나고 있으니까, 그것은 실현 가능할 것이다.

 계약금 500 만원 내고 또한 매월 10 만엔의 모기지를 35년간 계속 지불히는 생활과 비교해 보라. 아무리 '좋은 집'을 손에 넣어도 가처분 소득이 낮은 빠듯한 생활은 사는 재미도 반감될 것이다. 그만큼의 돈으로 가족 여행이나 하는 것이 더 재미있지 않은가. 

300 만엔의 별장을 구입하여 유지하는데 고생하는 것보다 1박에 1 만엔의 여관에 300박하는 편이 유리한 것이 아닐까.

 일본인도 이제 "상자물건(아파트) 지상주의 '의 굴레에서 해방되는 시대가 왔다고 생각하지만, 과연 당신은 어떻게 생각할까. 
(글 = 양지咲嗣/ 자유 기고가)

IP : 101.235.xxx.67
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실버타운
    '15.9.30 9:51 AM (175.113.xxx.180) - 삭제된댓글

    반년전에 실버타운을 두어 곳 (나름 고급인 곳) 둘러봣엇는데요. 아직 제 나이가.
    그 곳 들어갈 나이는 아니지만.

    확실히 느낀 건. 이전의 고급주택 유지하느니. 확. 모든 걸 줄여야겟구나 싶었답니다
    아무리. 고급지게 살았어도. 70넘으면. 상류층0.3프로. 입주아줌마 두고 운전사 두고 지낼 형편아니고선.
    주어지는 공간은 20평 남짓이 다더라구요.
    크게 서비스 차별화 되는 거라곤. 식판을 본인 앞에 가져다줍니다 라고 씌여진 실버타운 팜플렛.

  • 2. 실버타운
    '15.9.30 9:52 AM (175.113.xxx.180) - 삭제된댓글

    반년전에 실버타운을 두어 곳 (나름 고급인 곳) 둘러봣엇는데요. 아직 제 나이가.
    그 곳 들어갈 나이는 아니지만.

    확실히 느낀 건. 이전의 나름 있는 집 어르신들 고급주택 유지하는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확. 모든 걸 줄여야겟구나 싶었답니다
    아무리. 고급지게 살았어도. 70넘으면. 상류층0.3프로. 입주아줌마 두고 운전사 두고 지낼 형편아니고선.
    주어지는 공간은 20평 남짓이 다더라구요.
    크게 서비스 차별화 되는 거라곤. 식판을 본인 앞에 가져다줍니다 라고 씌여진 실버타운 팜플렛.

  • 3. ...
    '15.9.30 10:36 AM (118.38.xxx.29)

    조은정보, 감사합니다

  • 4. 애엄마
    '15.9.30 11:39 AM (168.131.xxx.81)

    일본에서 산 적이 있습니다
    40년된 공단주택 금하나 없이 좋은데 노인이 늘어나니 계단으로 다닐 수가 없습니다 ㅜㅜ 할머니들 거의 기다시피 올라가요 주변이 전부 팔구십세 . 애들 있는 집도 짐과 애들 데리고 오르내리려면 죽음이고 . 그래서 유학생까지 차례가 됐겠지요

    고령화 시대는 엘리베이터가 필수!
    그리고 동경역 1시간 통근이면 차비가 엄청 나요

  • 5.
    '15.9.30 11:41 AM (116.125.xxx.51)

    앞으로 자산은 어떻게 꾸려야할지 고민스럽네요.
    생각을 많이 해봐야겠어요

  • 6. ㆍㆍ
    '15.9.30 3:34 PM (14.32.xxx.48)

    엘리베이터 필수라는 말이 와 닿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98276 오래된 아파트 배관공사 해보신 분 3 김사랑 2015/11/05 5,422
498275 데니아낮은 검정스타킹 어디서 사세요?? 10 스타킹 2015/11/05 5,019
498274 근데 주위사람들 보면 애고 어른이고 가정환경 정말 중요해보여요 1 런천미트 2015/11/05 1,728
498273 최몽룡, '나는 김정배 방패막이..위의평가가 좋다더라' 靑 개입.. 5 청와대개입 2015/11/05 1,096
498272 비염에 평강한의원 청비환 효과있을까요? 12 조언좀 2015/11/05 12,688
498271 경상도 지역 셋째아이 성비 ㅠㅠ 7 영남 2015/11/05 2,623
498270 자기가 배우고 싶어서 배우는 공부는 참 재미있는것 같아요.. 1 ... 2015/11/05 989
498269 실비보험 가입 한 달 만에 보험청구해도 되나요? 5 병원 2015/11/05 3,760
498268 입주자 대표, '경비원에 갑질 논란' 해명..˝묵례만 시켰는데 .. 8 세우실 2015/11/05 2,232
498267 장윤정 엄마는 딸이 1억 기부했다고 저러는거죠??? 31 너무해 2015/11/05 19,441
498266 다들 뭐해드세요? 중딩 아이 있는집 아이디어좀 주세요... ㅠㅠ.. 17 반찬이 똑같.. 2015/11/05 2,041
498265 유명 축구선수 아들이 학교폭력 가해자인데 억울하다네요. 사진 좀.. 27 ... 2015/11/05 18,251
498264 지금 cgv 에서 러브레터해요. 라임앤바질 2015/11/05 627
498263 선배님들! 어린이철학이나 토론.하는게 도움되던가요? 1 .. 2015/11/05 594
498262 전우용님 트윗 2 짐승과가축들.. 2015/11/05 739
498261 꿈꾸고 복권사서 당첨된 분들 계세요?^^ 3 . 2015/11/05 1,859
498260 유학생 컴퓨터 정보 도움좀 주세요. 2 cc 2015/11/05 620
498259 역사에 관심 많은 어느 여고생의 똑부러지는 목소리 2 ........ 2015/11/05 2,308
498258 좀 제발 -- 워킹주부?/전업주부 관련 대결구도 안 세웠으면 ... 6 이상함 2015/11/05 1,048
498257 생리 하나 때문에 3주를 고생해요 6 이런저런ㅎㅎ.. 2015/11/05 2,356
498256 용인 벽돌사건 이대로 묻히는건가요? 49 학교종 2015/11/05 2,276
498255 유재열이 좋아하는 시 - 11월(고은) 은빛여울에 2015/11/05 829
498254 김무성 ˝최몽룡 교수 제자들, 스승 사상의 자유 막았다˝ 5 세우실 2015/11/05 1,299
498253 보니까 40대이후부터 다들 외로워보여요 49 주변 2015/11/05 5,843
498252 캐나다(미국)에서 한국방송 실시간 봐야되는데요(엄마때문에ㅜㅜ) 3 ㅇㅇ 2015/11/05 1,7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