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인터뷰] 김종대 -전쟁 위기, 60~70일 정도 지속될 것-

전문가가 필요해 조회수 : 929
작성일 : 2015-08-21 16:23:24

http://www.sisatong.net/content_4/59522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2&aid=000...


김종배의 시사통에 나온 김종대의 인터뷰 일독 내지는 들어보세요

전문가들 의견이 필요한 시점인듯.



김종배 : 문제는 제가 궁금한 게 북한이 어제, 22일 오후 5시까지가 되겠죠, 48시간이었으니까? '48시간 내에 대북 심리전 방송을 중지하지 않으면 군사적 행동을 개시하겠다'고 이미 선언을 해버린 상태에서, 그렇다고 우리 군이 대북 심리전 방송을 그만둘 수도 없는 것 아니겠습니까?

김종대 : 못 그만두죠. 그만둔다고 하더라도 북한의 협박에 의해서 그만둘 수는 없는 것 아니겠습니까?

김종배 : 바로 그 점 때문이잖아요. 그러니까 '48시간 내'라고 하는 것이 오히려 역으로 48시간 동안은 최소한 48시간 동안은 심리전 방송을 그만 못 둔다는 얘기가 되는 건데. 이렇게 되어버리면 그 이후가 어떻게 될 것인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다, 이런 얘기가 성립되는 거잖아요?

김종대 : 물론, '48시간 이내'라고 하면서 북한이 우리 김관진 안보실장에 보낸 전통문에 나와 있는 얘기 아닙니까, 거기에는 유엔사 장성급 회담이나 아니면 남북 김양건, 김관진 정도의 대화 접촉이나, 이런 걸 통해서 '우리도 자제를 하고 싶으니 대화를 하자' 이렇게 문을 열어둔 거란 말이죠.

김종배 : 바로 그건데요. 이 국면에서 남북 핫라인이 가동될 가능성은 어떻게 보세요?

김종대 : 핫라인이 가동된다는 징후는 아직까지는 전혀 없었습니다. 그런데 북한이 대화에 희망을 거는 이유가 있는 것 같아요. 이건 매우 특별한 이유라고 볼 수가 있는 건데, 저번에 지뢰 사건 났을 때 한미 양국의 대응에 매우 특이한 점이 있었습니다. 보통 때, 예컨대 전쟁 위기까지도 갈 수 있는 연평도 포격 도발이나 이런 것들 생각해보면 유엔이 개입 안 했거든요? 유엔사령부가 전혀 개입 안 했어요. 그때 제가 취재해본 결과, 2010년 11월 23일에 남북 간 포사격 교전이 벌어졌는데, 우리 합참에서 유엔군 사령관이죠, 월터 샤프 대장한테 총 11번 전화했습니다. 그 때마다 되돌아온 답변은 '한국 정부가 알아서 해라. 한국 정부의 자위권 차원에서 할 일이지 우리한테 쏠까요, 말까요 물어보지 마라' 이거였습니다. 전쟁이 날지도 모르는데. 그런데 이번 지뢰 사건은 전쟁이 날 만한 상황도 아니었는데 유엔사령부가 조사도 하죠, 대북 접촉 제안도 하죠. 또 미 국무부가 이를 뒷받침하는 성명을 발표하죠. 모든 우리 측 조치보다 유엔사 조치가 더 빠릅니다. 그러니까 위기 관리를 떠맡은 거예요. 이 차이를 북한이 본 거지요. 유엔사가 모든 위기 관리를 떠맡고 한국 정부의 존재감이 없었던 사건이 지뢰 사건인데, 지뢰 사건이며 포 사격 도발의 궁극적인 목표는 무엇이냐, 미국하고 담판을 져서 정전 협정을 평화 협정으로 전환하자는 전략 목표하에서 이제껏 지난 3년간 준비되어온 겁니다, 이게.

김종배 : 그러면 형식적으로는 유엔사, 내용적으로는 미국을 끌어오기 위한 전략적 측면이 있다, 이렇게 보시는 겁니까?

김종대 : 바라던 대로 가는 것이죠. 이렇게 유엔사가 기민하게 위기 관리를 떠맡은 건 저는 한 20년 동안 처음 봤어요. 그러면 미국하고 담판을 지을 수 있는 대화를 마침 유엔사가 제안을 하고 있으니까 판을 크게 벌려서 북미 간 평화 협정 체결을 할 수 있는, 혹시나 대화의 장이 열리지는 않을까, 이런 기대감이고.




IP : 58.140.xxx.7
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81541 라스트 종영했네요~ 4 ... 2015/09/12 1,459
    481540 강북에 위 잘 보는 병원 있을까요? 1 위 내시경 2015/09/12 803
    481539 홈쇼핑 에어쿠션 괜찮은가요?? 3 에어쿠션 2015/09/12 2,297
    481538 성당 가면 눈물이.. 15 지영 2015/09/12 4,526
    481537 임파선 결핵 조언 좀 부탁드릴께요 ㅜㅜ 16 마리짱 2015/09/12 5,720
    481536 뮤지컬배우 홍광호 노래를 너무 잘해요 12 뮤지컬 2015/09/12 2,828
    481535 허리아픈데 ㅊㅅ 벨트 써보신분 4 아파요 2015/09/12 925
    481534 어제 3대천왕 떡볶이편 에서요 1 알려주세욤 2015/09/12 3,779
    481533 비비? 파데? 2 ㅇㅇ 2015/09/12 1,639
    481532 친구부부가 놀러왔다 간 후... 41 2015/09/12 22,055
    481531 지금 나오는 동상이몽 훈장아빠 17 재밌는 2015/09/12 9,606
    481530 뚝배기 대신 쓸만한거 없을까요? 16 연주 2015/09/12 3,905
    481529 압력밥솥(가스) 추 달랑거리는데 3-40분 괜찮나요? 지금 불앞.. 8 압력 2015/09/12 1,567
    481528 뭔가 씁쓸하네요.. 1 외동맘 2015/09/12 854
    481527 82에서 무조건 패쓰 하는 글 어떤 글들인가요? 52 ..... 2015/09/12 3,383
    481526 아침엔 뽀송했다가 퇴근할때 급 늙는거 어떻게 방지할수 있을까요?.. 17 휴휴 2015/09/12 4,467
    481525 남편이 ..저의 가장 문제는 '사람'이래요.. 1 === 2015/09/12 2,261
    481524 닭볶음탕에 어울리는 반찬 뭐가 있을까요? 21 ohong 2015/09/12 21,223
    481523 어우 하노라 남편놈 8 .. 2015/09/12 3,480
    481522 이새 (isae) 옷, 30대가 입긴 노티날까요? 10 궁금 2015/09/12 9,523
    481521 지금 상가 구매 해도 괜찮나요? 상가분양 2015/09/12 711
    481520 친일파가 아닌 친일매국노라 불러주세요 3 ㅇㅇ 2015/09/12 796
    481519 다들 요즘 피곤하신가요? 3 환절기인가 2015/09/12 1,421
    481518 파,감자 등 채소,,어떻게 보관하세요? 5 냉장고에 2015/09/12 1,478
    481517 내얘기에 반감?하는 지인 6 궁금 2015/09/12 1,5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