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외 할머니가 돌아가셨는데...

조회수 : 3,173
작성일 : 2015-08-17 14:28:25

저의 외할머니가 돌아가셨어요.

노환으로 .. 제가 결혼할 당시부터 많이 안 좋으시다 하셨는데.. 저 결혼 14년차 네요.

지방에 살고 계셔서 오늘 아침에 부음 듣고 전 회사에 출근하고 있었던 지라 아이도 있고.. 맞벌이 입니다.

친정 엄마는 내일 들리라고 하시는데..

장지까지 같이 가 드리는게 예의일까요?

아이 학교도 가야 하고 해서 조금 걱정이 되긴 하는데..

엄마는 내일 병원에 와서 인사하고 바로 저녁에 올라가라고 하시네요.

 

나이 40 넘었지만 어떻게 하는게 예의일까 해서 여쭤봅니다.

외할머니 빈소는 KTX 로 3시간 거리에 있어요. 참 그리고 부의금은 얼마 준비하는 것이 좋을까요?

 

상식선에서 알려주시면 참고토록 하겠습니다.

IP : 125.131.xxx.51
16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라면
    '15.8.17 2:32 PM (210.123.xxx.216) - 삭제된댓글

    월차 낼 수 있으면 월차나 휴가 내서 오늘이나 내일 내려가고 발인은 보고 올텐데(장지까지는 안 가더라도 병원에서 발인하는 거까지)
    애도 데려갈 수 있으면 데려가고 맡길 데 있으면 맡기고...
    엄마의 엄마잖아요
    실제로 저는 휴가 이틀 내서 발인까지 보고 왔구요
    부의는 집집마다 형편이 다를 터인데.. 30 이상이 어떨까 싶어요. 저도 외할머니가 오래 아프시고 외삼촌네 형편이 좀 그래서 제가 100 드렸어요(엄마랑 합친 개념)

  • 2. 저라면
    '15.8.17 2:34 PM (210.123.xxx.216) - 삭제된댓글

    장지에서 돌아오면 또 외가 중심으로 모이기도 할테니 직장이나 아이 있으시면 발인 정도 보시고 먼저 올라오시는 건 전혀 무리가 없죠.

  • 3. ㅇㅇ
    '15.8.17 2:34 PM (121.168.xxx.41)

    저도 윗님 생각에 동의해요..

  • 4. ㅇㅇ
    '15.8.17 2:47 PM (180.224.xxx.103)

    외할머니 이신데 1박2일 해서 장지까지 가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부조는 50만원 정도 내면 될꺼 같아요

  • 5. 사실
    '15.8.17 2:56 PM (210.123.xxx.216) - 삭제된댓글

    장지까지 가는 게 좋긴 하죠
    그런데 82는 워낙 이런 조사에 박한 기준을 들이대길래.. 최대한 안전빵으로 말씀드려본 겁니다.ㅎ

  • 6. 호수맘
    '15.8.17 2:59 PM (58.224.xxx.192)

    휴가내서 가보시는게 애들이 어리면 장지는
    안가더라도~
    할머니86세 돌아가셨는데
    20년전에요 근데 엄마가 충격이
    꽤 크셨어요 옆에서 엄마 지켜주세요
    나이에 상관없이 친정엄마
    돌아가신건 큰충격이예요

  • 7. ....
    '15.8.17 3:16 PM (218.236.xxx.45) - 삭제된댓글

    친가 외가 조부모 돌아 가시면 부조 안합니다
    왜 뻑하면 부조하라고 하는지 이해가 안됩니다
    내 부모가 상주라서 부모자식 간에는 부조 안합니다

  • 8. holly
    '15.8.17 3:18 PM (203.228.xxx.3)

    외할머니는 가족인데 부조를 왜 하나요 안합니다

  • 9. 외할머니랑
    '15.8.17 3:19 PM (223.62.xxx.233)

    안친했어도 엄마땜에라도 장지까지같이가죠 보통은.
    아이학교하루 쉰다고 어찌 안됩니다.내일반차내시고 그다음날 휴가내면되겠네요.보통 회사에선 할머니돌아가시면 하루나 이틀 휴가주지않나요 애는 학교선생님께 조부모 돌아가셔서 하루 결석한다하시고 나중에 필요한 서류알려달라하시구요

  • 10. ...
    '15.8.17 3:24 PM (112.220.xxx.101) - 삭제된댓글

    저번달에 외할머니 돌아가셨어요
    전 외손주이구요
    저희집 삼남매 장지까지 갔어요 (다들 회사다님)
    손주들은 부조 안했구요
    아버지이름으로 봉투만들어 내시고
    이모네도 이모부이름으로 봉투하셨구요.

  • 11. 올 1월에
    '15.8.17 3:28 PM (1.240.xxx.48)

    우리 외할머니 돌아가셨지요...
    부조는 안했어요..

    대신 시어머니가 하셨고 울남편 회사에서도 부조 해주셨어요..
    그리고 저랑 남편은 장지까지 다 갔었어요.
    보고싶네요..할머니..ㅠㅠㅠ

  • 12. ....
    '15.8.17 3:31 PM (112.220.xxx.101)

    저번달에 외할머니 돌아가셨어요
    전 외손주이구요
    저희집 삼남매 장지까지 갔어요 (다들 회사다님)
    손주들은 부조 안했구요
    아버지이름으로 봉투만들어 내시고
    이모네도 이모부이름으로 봉투하셨구요..
    이번 휴가때 외할머니 사셨던 동네로 지나갔는데
    저도 모르게 눈물이 흐르더라구요..
    남친이 왜그러냐고 놀래고..
    외갓집이 없어졌다고 생각하니..마음이 좀 그랬어요..
    울엄마도 많이 아프시겠죠 마음이...ㅜㅜ

  • 13. 편하게
    '15.8.17 3:53 PM (210.183.xxx.159) - 삭제된댓글

    아이도 어리고, 멀다면...그냥 하루 다녀오는 것만으로 충분해요.
    친정 엄마가 바로 올라가라고 하잖아요...그대로 하세요.
    님의 마음 충분히 전해졌을 겁니다.
    남의 눈은 신경쓰지 마세요~~~

    시아버님 돌아가셨을 때, 나는 며느리라서 첫날부터 계속 있었는데,
    시누이는 그 다음날 오고, 시누이 남편은 마지막날 밤에 오고,
    시누이 딸(외손주)들은 장지로 바로 왔다 가더군요.
    시누이한테는 친정 아버지인셈인데...참 편하게 장례식 참가하는 거 보고,
    괜찮겠구나~~~ 생각이 드네요.
    젊은 애들은 다들 본인들 일로 바쁘고, 사위도 힘들테니까...제일 슬픈 사람은 자식들이니까요....

  • 14. 조의금
    '15.8.17 3:59 PM (125.140.xxx.87)

    손주라도 결혼하여 일가를 이루었으면 당연 조의금을 냅니다.
    미혼일 경우와는 다른 거예요.

  • 15. 저라면
    '15.8.17 5:06 PM (221.138.xxx.31)

    저라면 남편하고 아이하고 같이 갔다가 남편하고 아이는 올라가라 하고 저만 남아 장지까지 갔다 오겠어요.

  • 16. 저라면
    '15.8.17 6:59 PM (14.39.xxx.132)

    장지 갈거 같아요. 어머님 잘 위로해 드리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4825 애가 왜이러죠? 4 엉망 2015/08/18 1,026
474824 82 수준 떨어지게 하는 글인줄 알지만 8 아이고 2015/08/18 1,437
474823 어머니 아버지뻘 수업 원래 이런건거요? 5 과외샘 2015/08/18 1,397
474822 아이가 영유 다니는데, 제 영어발음이나 너무 부끄럽네요.. 영어.. 24 2015/08/18 4,200
474821 영어 관사 관련 질문입니다...... 5 ........ 2015/08/18 824
474820 인성자격증을 사고파는시대.... 2 어쩌다 2015/08/18 625
474819 몽골 갔다오신 분 계셔요 ? 22 2015/08/18 3,378
474818 김연아는 키가 몇인가요?? 18 계속 크는거.. 2015/08/18 7,622
474817 감기몰 물걸레청소기 어떤가요 에쓰이 2015/08/18 651
474816 정부 ˝일자리 창출˝ 의지에 재계 ˝공격적 투자˝로 화답 세우실 2015/08/18 510
474815 광복 70주년 맞은 영국 동포들의 세월호 참상 알리기 이어져 1 light7.. 2015/08/18 597
474814 영어 고수님들~ '총력을 기울이다.'를 영어로 뭐라고 하면 좋을.. 13 00 2015/08/18 3,224
474813 모시옷 풀먹이기 3 2015/08/18 4,190
474812 폰 없을때 밖에서 전화를 받을방법 없을까요? 5 ㅇㅇ 2015/08/18 1,041
474811 담배도 마약맞죠 10 ㄷㅇㄷㄷ 2015/08/18 1,539
474810 기러기하는 남자들이 참 안되었네요. 30 기러기 2015/08/18 7,381
474809 2015년 8월 18일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 만평 세우실 2015/08/18 550
474808 아이들 사마귀 제거해 보신분들이요... 19 웨딩싱어 2015/08/18 4,437
474807 김연아 동영상... 33 에효 2015/08/18 7,300
474806 탈모도 노화현상 인가요? 10 44세 2015/08/18 3,107
474805 교사들이 자기 아이들도 잘 키우는듯 해요ㅡ 13 2015/08/18 3,663
474804 도시락반찬 - 애호박전 해갔는데 왜 맛없게 보이죠? 7 ... 2015/08/18 2,364
474803 김무성 대표 국민의례 중 전화.jpg 10 ㅎㅎ 2015/08/18 2,156
474802 저같은 고민으로 둘째 생각없는 분도 계실까요? 19 히유 2015/08/18 4,704
474801 세라믹칼 흰 칼등 부분 얼룩, 세척 방법을 알고 싶어요~ 4 세라믹 칼 2015/08/18 2,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