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아까 문화에 대한 본문이 있었는데요

문화 조회수 : 645
작성일 : 2015-08-16 20:17:00
제가 이야기를 잘설명하지 못했네요;

죄송합니다

예로 한국은 중국이나 일본의 문화를 잘 몰라하는반면

한국과 다르게 유럽의 각각 독일,프랑스,이탈리아는 서로서로의 문화를 많이 알면서 정보도 많이 가지고 있잖아요

예로 독일인이 잉글랜드,폴란드,네덜란드,벨기에의 문화에 대해서 잘안다 이런거요

그런이야기였습니다;
IP : 125.172.xxx.201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걔넨 다
    '15.8.16 8:24 PM (126.205.xxx.251)

    붙어 있잖아요. 맘만 먹으면 걸어서도 가니.
    유럽인들은 서로 뿌리가 한가족이란 개념이 있는 거 같아요
    한중일은 서로 뱅기 타지 않으면 만날 일도 없죠

  • 2.
    '15.8.16 8:42 PM (88.171.xxx.189) - 삭제된댓글

    원글님의 질문이, '유럽인들은 서로서로 문화적 동질감을 강하게 느끼는 것 같은데, 이에 비해 한국/중국/일본인들은 왜 서로간에 약한 문화적 동질감을 느끼는가?'인가요?

  • 3. 문화
    '15.8.16 8:43 PM (125.172.xxx.201)

    네 그렇습니다 그런거겠군요 감사합니다

  • 4.
    '15.8.16 9:10 PM (88.171.xxx.189) - 삭제된댓글

    일단 '유럽'의 정의를 먼저 내려야 하겠지만 이건 넘어가고요.

    일반적으로 유럽 문명의 근간으로 그리스 로마 문명과 그리스도교(기독교)를 꼽잖아요. 많은 유럽국가가 이 뿌리를 공유하고 있으니 세월이 흘러도 비슷한 면이 많겠죠?

    한편, 유럽(러시아 제외)이 넓은 지역이 아닌 데다가 고만고만한 나라들이 얽히고 설키다 보니 긴 세월 동안 서로 접촉할 기회가 많았을테고요. 상징적인 예로, 유럽 왕가나 대귀족 가문은 오래 전부터 국경을 초월해서 혼맥으로 얽혀있었고 혼전계약 및 유산 분배 등으로 인해 땅덩어리의 국적이 하루 아침에 바뀌기도 했답니다. 한중일 상호 교류와 비교하여 유럽 내부의 정치, 경제, 문화 교류가 역사적으로 훨씬 활발했지요. 서로 전쟁도 끊임없이 했고요. 2차 대전 이후로 서유럽 지역에서는 폭력을 동반한 국제 분쟁이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고 해요. 그 쪽 역사상 가장 긴 비분쟁 기록이랍니다.

    더 정확하고 풍부한 정보는 독서 등을 통해 접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화이팅!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4683 뒷목이나 명치아래가 휙 하고 가라앉는 느낌도 빈혈일수 있을까요?.. -- 2015/08/17 885
474682 저 이혼해도 되는거죠? 42 ... 2015/08/17 17,766
474681 시티즌 랩, 한국 국정원의 해킹팀 RCS 사용에 대한 연구 조사.. light7.. 2015/08/17 645
474680 영화 시티즌포..상영정보 2 영화 2015/08/17 822
474679 어릴때 선크림을 안발랐던 죄값으로 지금 된통 한방 맞고 있는 중.. 43 ㅜㅜ 2015/08/17 25,368
474678 전세 아파트 거실등 교체 5 세입자 2015/08/17 4,941
474677 "낯익다" 라는 표현을 많이 듣는데요. 5 바보 2015/08/17 1,105
474676 한화 권혁선수.. 16 ㅇㅇ 2015/08/17 2,215
474675 신사숙녀여러분~할때 어울리는 음악은? 2 .. 2015/08/17 588
474674 제 치아 상태,,,임플란트해야 할까요? 3 50 건강 2015/08/17 1,918
474673 모바일 쿠폰 첨 써봐요... 치킨 먹어야 되는데.. 알려주세요~.. 3 치킨 2015/08/17 764
474672 오늘 개학인줄 알고 등교한 중딩1 남아 28 ㅜㅜ 2015/08/17 6,261
474671 같은 평형인데 세대수에 따라 집값이 많이 비싼가요? 6 새집마련 2015/08/17 1,846
474670 [이대근의 단언컨대] 세월호, 메르스, 지뢰의 공통점 2 세우실 2015/08/17 1,014
474669 분노조절장애 3 rndrma.. 2015/08/17 2,266
474668 외 할머니가 돌아가셨는데... 10 2015/08/17 3,177
474667 아이들 보험 9 곰곰히 2015/08/17 1,399
474666 요즘 남자들도 많이 따진다지만 꼭 그렇지도 4 ........ 2015/08/17 1,528
474665 제가 명관과마 래요 4 사주 2015/08/17 2,757
474664 침대 프레임 무는 알수없는 정체 8 침대벌레 2015/08/17 2,997
474663 미국 항공권 경유 궁금해요 3 미국 2015/08/17 1,110
474662 오나귀에서 궁금한 점이요~~ 8 최경장은? .. 2015/08/17 2,272
474661 미국분께 연잎다포를 선물하고 싶은데요... 3 ........ 2015/08/17 855
474660 할아버지와 손자는 몇 촌 사이인가요? 10 ..... 2015/08/17 6,231
474659 러시안요리 항아리 뚜껑빵 이름 좀 6 러시아 2015/08/17 1,3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