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대출 받아 집 사려는 분들 다시 한 번 생각해보세요.

... 조회수 : 7,720
작성일 : 2015-07-30 02:03:55
제 경우는 전세 2억에 살던 33평 아파트 전세값이 3년 만에 1억이 더 올랐어요.

이러니 대출 금리도 싸겠다 이 기회에 대출 받아 집 사버리자 하는 분들 많을거에요.

그런데 정말 냉정하게 생각해야 할 때라고 봅니다.

이렇게 비정상적인 부동산 시장이 언제까지나 계속 유지될거라고 누가 장담하겠어요.

일반적인 직장인 가정들이 대출 받아 집 샀는데 집값 떨어지기라도 하면...

실직이라도 되면...

금리라도 오르게 되면...

어떤 작은 변수 하나에도 가정이 깨질 정도로 심각한 상황을 맞게 되는 경우가 많아요.

저도 대출 1,2억 받아서 집 사고 싶은 맘은 굴뚝같지만 냉정하게 생각해보면 지금 상황이 너무 안좋아요.

이미 대출 받아 사는 사람이 너무 많구요.

경제가 안돌아도 너무 안돌아가고 청년들이나 신혼부부들이 구매력이 없는 상태에요.

눈 딱 감고 2년만 관망해 보면 좋겠어요.

아파트 전세 살다 빌라 전세로 간다해도 지금은 대출 내서 집 사는건 너무 위험하다고 생각해요.









IP : 114.93.xxx.129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
    '15.7.30 2:11 AM (223.62.xxx.215)

    왠 남 걱정을?
    지금 시장 돌아다녀보세요.

  • 2. ...
    '15.7.30 2:16 AM (114.93.xxx.129)

    시장 돌아다녀보면 조급함에 덜컥 사게 되겠죠.
    너도나도 빚 지니 빚 지는게 당연하다고 생각될 정도구요.
    아이가 있는 집에서 경제적 타격을 입고 가정 깨진 경우를 봐서 나름 제 생각을 적어봤는데
    왠 남 걱정을? 이란 댓글이나 달고 있네요?
    예의나 갖추고 덧글 다세요.

  • 3. 사실 지금이 2006년도 봄을 보는것
    '15.7.30 2:22 AM (118.220.xxx.90)

    같기는 해, 제가 그때 산 증인인데요...
    당시 2006년도 가을~겨울이 최고가가 되었는데 양상이 어째 비슷해져가네요.
    입이 쩍 벌어질만큼 최고가 되더니 2008년도말 리먼사태때 혹 가더라구요...
    이번에도 그렇게 될지...어쩔지 모르죠...
    아직 대부분의 아파트가 2006년도 최고가 만큼은 안 되었으니 조금더 오를것같기는 해요..
    문제는 그 다음이죠...
    더구나 2년후가 되면 물량도 최고, 초저금리외치는 박정권물러나고 최경환도 물러나고, 베이부머세대들이 본격적인 은퇴가 시작되는데....2년후에도 안 떨어지면 정말 울나라는 부동산공화국이 맞는거겠죠..
    과연 2년후 어찌될지 너무 궁금합니다.

  • 4. ....
    '15.7.30 2:31 AM (114.93.xxx.129)

    지구상 어느 나라가 이렇게 대놓고 빚져라 한답니까.
    대부업 광고 보면 한숨이 절로 납니다.
    기본적으로 뭔가 잘 안돌아가는 비정상적인 시기에는 빚을 안지는게 최선이라고 생각해요.

  • 5. 음..
    '15.7.30 2:44 AM (14.39.xxx.176)

    가계빚이 비정상적으로 많기는 해요.

    오죽하면 집값 올리기에 목매던 정부가 대출규제에 나섰을까 싶었어요.

    풍선이 비정상적으로 부풀었는데 무슨 침 하나가 갑자기 튀어나와 툭 찌르면 빵 터질 거 같은 느낌이에요.

  • 6. Oo
    '15.7.30 3:54 AM (223.62.xxx.47)

    대부업광고는 미국도 만만치 않아요. 거의 10분에 한번꼴?!

  • 7. . .
    '15.7.30 5:43 AM (223.62.xxx.192)

    님이야말로 왠 오지랍입니까. 빚내어 집 사지 말란 말 여기서 수백번 들었습니다. 집 값 내렸나요? 아내모 회원들 집 안사서 부자 되셨나요? 되려 넘 볼 수도 없는 가격 되었습니다. 책임 져 주실건가요? 불안하면 원글님이나 안 사면 됩니다. 지금 시장 돌면 전세가 없어 난립니다. 현실과 동떨어진 조언이고, 그래요. 내년이나 내 후년이나 폭락할 수도 아니면 더 폭등할 수도 있어요. 그건 사는 사람들이 감수하고 사겠지요. 원글님은 뭘 믿고 사라 마라는거죠?

  • 8. 대출무리하게
    '15.7.30 5:53 AM (175.209.xxx.188)

    내지말라는 말에는 공감해요.
    지금 금리로는 사는게 재테크이지만,
    무리한 대출에 금리 오르면,
    곡소리나죠.
    각자 형편에 맞게 잘~하시겠죠.뭐~

  • 9.
    '15.7.30 6:22 AM (1.252.xxx.196)

    전세없을걸요..?
    원글님만 머리굴리는거 아니거든요?
    집주인들도 고민 많이 합니다
    매매싫고,대출싫으면 월세살아야죠..
    떠돌이라이프 끝은 어딜지..

  • 10. ""
    '15.7.30 7:35 AM (175.113.xxx.48)

    금리가 오르지 않는 이상. 전세 개념은 없어질 것 같아요

  • 11. 발끈하는 분들은 대체..
    '15.7.30 7:55 AM (218.234.xxx.133)

    원글님이 조근조근 자기 의견 쓴 글에 왜 이리 분노에 찬 댓글들이 많을까..

    집 가격은 어차피 타이밍이에요. 다른 글에도 댓글 썼지만
    2009년쯤 5억 2천 가던 아파트, 지금 3억 5천 됐어요.

    여유 있는 분들은 대출 이자 근심 없고,
    이 집이 1, 2년 후에 오르던 10년 뒤에 오르던 차분히 갖고 있다가
    집값 높을 때 팔아서 시세 차익 챙기면 되는 거고,

    문제는 한달 벌어 한달 먹고 사는 일반 직장인이라는 말이죠.
    - 한달 벌어 한달 먹고 산다고 하니 무슨 막노동 일용근로 같은데
    지금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집 대출 이자/원금 상환하면 한달 벌어 한달 먹고 사는 거에요.

    부동산에 왜 급매물이 나오겠나요. 갑자기 직장이 훅 날아가거나 부서가 훅 날아가거나
    나만 잘리거나, 일 잘해도 신병/사고이 생겨서 일할 수 없거나, 어떤 이유로 급전이 필요해졌거나..
    그런 상황들이 의외로 발생한단 말이죠.

  • 12. 몇천억으로
    '15.7.30 8:13 AM (112.169.xxx.227)

    부동산 굴리는 사람 알고 있어요.
    다 자기돈 아니고 완전 대출이더군요.
    그렇게 정부가 판을 깔아 놓더군요.

  • 13. ,,,,
    '15.7.30 8:19 AM (39.118.xxx.111)

    대출 참고해요

  • 14. 미래
    '15.7.30 8:28 AM (112.150.xxx.29)

    중요한 건 전세가와 매매가가 같아 지려해요
    전세가는 안 떨어질 거라 하더 라구요
    저희 단지도 천만원 차이에요
    년초만 해도7천차이 였는데..
    집값 전세값 차이없이 쭉 가다가 전세 없어지고 월세나 자가 이렇게 간다네요

  • 15. ***
    '15.7.30 8:59 AM (125.131.xxx.30)

    그냥 무리 말고 자기 형편에 맞게 살면 됩니다.
    지금 이런 경제 상황에 무리해서 재테크 하겠다는 인간들 보면 정말 한심합니다.
    조선에 이어 곧 건설사도 곡소리 나게 생겼는데 어쩌려고 그러는지?

  • 16. ...
    '15.7.30 9:34 AM (118.33.xxx.35)

    그러다가 더 오르면 님이 책임질 건가요?
    꼭 보면 이런 분이 남들 못 사게 만들어놓고 자기는 집 사던데

  • 17. 월세
    '15.7.30 9:38 AM (222.107.xxx.88)

    집값이 안오르니 월세 받아야지요 대출이 만연해진 시대에 전세는 이제 필요없는 제도일뿐이네요

  • 18. 케이트
    '15.7.30 12:20 PM (222.233.xxx.66)

    원글님의 글 요지는 알겠지만 집에 관한 조언은 함부러 하는 게 아니더라고요. 지금 집값 오를만큼 오른것 같지만 더 오를지 아무도 몰라요.

  • 19. 각자자기판단
    '15.7.30 12:40 PM (220.76.xxx.171)

    여기전에글에 집값 똥값된다고 모조리 하우스푸어 된다고 하던글 생각나요
    지금정부에서 판을깔아주었는데 다시어떤 변동으로 정부가 끌고갈지
    누구도 집사라고 판깔아준 정부도 책임안져요 각자판단해야 겠지요
    우리는 현금을 가지고 있을려고합니다 계속적금들고 정기예금으로
    지금부동산에 뛰어드는것은 위험해요 내지인딸이 2007년에 송파구에
    가락시장쪽에 아파트사고 돈이모자라 그집전세주고 친정살이했어요
    작년에 그집팔때 삿던금액에 밑지고 팔아서 강남 일원동으로 이사했어요
    증시에서 아기엄마가 아이업고 객장에 나오면 꼭대기라고 명언이예요

  • 20.
    '15.7.30 4:36 PM (1.253.xxx.85)

    진짜고민되네요~~계속오르고 있으니 지금이라도 사야되나 2년후 안떨어지면 정말 후회할듯해요...ㅜㅜ 1언 안쪽대출해서 10년 다되가는 사파트 매매하려는데 6개월사이 6천올랐어요~집값 미친듯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0278 34살인 제가 부러운 여자~ 38 oo 2015/08/02 19,064
470277 근데..세모자까페 운영진 대단한거 같아요. 7 dd 2015/08/02 4,397
470276 수입되는 곡물들도 다 화학처리해서 들어올까요 1 수입 2015/08/02 884
470275 카레 볶음밥 짜장밥 담을 오목한그릇 추천부탁드려요 1 그릇추천 2015/08/02 1,079
470274 장어는 참 비싸네요 ㅜ 9 먹구싶어 2015/08/02 3,587
470273 흑찰옥수수 파는곳 아세요? 3 2015/08/02 1,175
470272 자이언티 양화대교 23 2015/08/02 10,468
470271 난임 한의원 추천부탁드려요 6 끄더덕 2015/08/02 1,622
470270 보테카랑 샤넬 가방 구경하고 구입하고싶어요.어디로? 3 000000.. 2015/08/02 2,458
470269 머리에열이 많아 더워 못살겠어요.. 9 편백큐브칲.. 2015/08/02 2,405
470268 욕실 천정 곰팡이 세입자예요. 어쩌죠 2015/08/02 1,287
470267 사이판 고립중이에요 3 2015/08/02 2,985
470266 더모톡신 얼마만에 한번씩 맞으시나요 3 스킨보톡스 2015/08/02 3,107
470265 천일동안 노래는 5 dg 2015/08/02 1,940
470264 산다는건 고행 14 오늘도 2015/08/02 4,519
470263 1차 2차 3차 아파트 함께 있는데 선택이 힘들어요 4 망설임 2015/08/02 1,510
470262 더러운 게 좋은가 봐요. 5 부담과 후회.. 2015/08/02 2,546
470261 호러 영화 좋아하세요? 8 호러호러 2015/08/02 1,304
470260 머리만 묶으면 얼굴이 작다고 사람들이 놀래요 8 dd 2015/08/02 5,813
470259 만삭 비키니 글 보니 참 한심.. 15 ㅇㅇㅇㅇㅇ 2015/08/02 5,531
470258 찰옥수수로는 팝콘안되나요? 4 웬수 남편 2015/08/02 2,199
470257 밀레청소기는 백화점매장에서만... 16 청소기 2015/08/02 4,112
470256 고사리가 풀어져서 죽같이됐어요 ㅠㅠ 4 고사리나물 .. 2015/08/02 1,510
470255 캠핑에 맛을 들였는데 7 느낌 2015/08/02 2,648
470254 거실 침실 창에 뭐 설치하셨어요?? .... 2015/08/02 1,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