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대출 받아 집 사려는 분들 다시 한 번 생각해보세요.

... 조회수 : 7,633
작성일 : 2015-07-30 02:03:55
제 경우는 전세 2억에 살던 33평 아파트 전세값이 3년 만에 1억이 더 올랐어요.

이러니 대출 금리도 싸겠다 이 기회에 대출 받아 집 사버리자 하는 분들 많을거에요.

그런데 정말 냉정하게 생각해야 할 때라고 봅니다.

이렇게 비정상적인 부동산 시장이 언제까지나 계속 유지될거라고 누가 장담하겠어요.

일반적인 직장인 가정들이 대출 받아 집 샀는데 집값 떨어지기라도 하면...

실직이라도 되면...

금리라도 오르게 되면...

어떤 작은 변수 하나에도 가정이 깨질 정도로 심각한 상황을 맞게 되는 경우가 많아요.

저도 대출 1,2억 받아서 집 사고 싶은 맘은 굴뚝같지만 냉정하게 생각해보면 지금 상황이 너무 안좋아요.

이미 대출 받아 사는 사람이 너무 많구요.

경제가 안돌아도 너무 안돌아가고 청년들이나 신혼부부들이 구매력이 없는 상태에요.

눈 딱 감고 2년만 관망해 보면 좋겠어요.

아파트 전세 살다 빌라 전세로 간다해도 지금은 대출 내서 집 사는건 너무 위험하다고 생각해요.









IP : 114.93.xxx.129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
    '15.7.30 2:11 AM (223.62.xxx.215)

    왠 남 걱정을?
    지금 시장 돌아다녀보세요.

  • 2. ...
    '15.7.30 2:16 AM (114.93.xxx.129)

    시장 돌아다녀보면 조급함에 덜컥 사게 되겠죠.
    너도나도 빚 지니 빚 지는게 당연하다고 생각될 정도구요.
    아이가 있는 집에서 경제적 타격을 입고 가정 깨진 경우를 봐서 나름 제 생각을 적어봤는데
    왠 남 걱정을? 이란 댓글이나 달고 있네요?
    예의나 갖추고 덧글 다세요.

  • 3. 사실 지금이 2006년도 봄을 보는것
    '15.7.30 2:22 AM (118.220.xxx.90)

    같기는 해, 제가 그때 산 증인인데요...
    당시 2006년도 가을~겨울이 최고가가 되었는데 양상이 어째 비슷해져가네요.
    입이 쩍 벌어질만큼 최고가 되더니 2008년도말 리먼사태때 혹 가더라구요...
    이번에도 그렇게 될지...어쩔지 모르죠...
    아직 대부분의 아파트가 2006년도 최고가 만큼은 안 되었으니 조금더 오를것같기는 해요..
    문제는 그 다음이죠...
    더구나 2년후가 되면 물량도 최고, 초저금리외치는 박정권물러나고 최경환도 물러나고, 베이부머세대들이 본격적인 은퇴가 시작되는데....2년후에도 안 떨어지면 정말 울나라는 부동산공화국이 맞는거겠죠..
    과연 2년후 어찌될지 너무 궁금합니다.

  • 4. ....
    '15.7.30 2:31 AM (114.93.xxx.129)

    지구상 어느 나라가 이렇게 대놓고 빚져라 한답니까.
    대부업 광고 보면 한숨이 절로 납니다.
    기본적으로 뭔가 잘 안돌아가는 비정상적인 시기에는 빚을 안지는게 최선이라고 생각해요.

  • 5. 음..
    '15.7.30 2:44 AM (14.39.xxx.176)

    가계빚이 비정상적으로 많기는 해요.

    오죽하면 집값 올리기에 목매던 정부가 대출규제에 나섰을까 싶었어요.

    풍선이 비정상적으로 부풀었는데 무슨 침 하나가 갑자기 튀어나와 툭 찌르면 빵 터질 거 같은 느낌이에요.

  • 6. Oo
    '15.7.30 3:54 AM (223.62.xxx.47)

    대부업광고는 미국도 만만치 않아요. 거의 10분에 한번꼴?!

  • 7. . .
    '15.7.30 5:43 AM (223.62.xxx.192)

    님이야말로 왠 오지랍입니까. 빚내어 집 사지 말란 말 여기서 수백번 들었습니다. 집 값 내렸나요? 아내모 회원들 집 안사서 부자 되셨나요? 되려 넘 볼 수도 없는 가격 되었습니다. 책임 져 주실건가요? 불안하면 원글님이나 안 사면 됩니다. 지금 시장 돌면 전세가 없어 난립니다. 현실과 동떨어진 조언이고, 그래요. 내년이나 내 후년이나 폭락할 수도 아니면 더 폭등할 수도 있어요. 그건 사는 사람들이 감수하고 사겠지요. 원글님은 뭘 믿고 사라 마라는거죠?

  • 8. 대출무리하게
    '15.7.30 5:53 AM (175.209.xxx.188)

    내지말라는 말에는 공감해요.
    지금 금리로는 사는게 재테크이지만,
    무리한 대출에 금리 오르면,
    곡소리나죠.
    각자 형편에 맞게 잘~하시겠죠.뭐~

  • 9.
    '15.7.30 6:22 AM (1.252.xxx.196)

    전세없을걸요..?
    원글님만 머리굴리는거 아니거든요?
    집주인들도 고민 많이 합니다
    매매싫고,대출싫으면 월세살아야죠..
    떠돌이라이프 끝은 어딜지..

  • 10. ""
    '15.7.30 7:35 AM (175.113.xxx.48)

    금리가 오르지 않는 이상. 전세 개념은 없어질 것 같아요

  • 11. 발끈하는 분들은 대체..
    '15.7.30 7:55 AM (218.234.xxx.133)

    원글님이 조근조근 자기 의견 쓴 글에 왜 이리 분노에 찬 댓글들이 많을까..

    집 가격은 어차피 타이밍이에요. 다른 글에도 댓글 썼지만
    2009년쯤 5억 2천 가던 아파트, 지금 3억 5천 됐어요.

    여유 있는 분들은 대출 이자 근심 없고,
    이 집이 1, 2년 후에 오르던 10년 뒤에 오르던 차분히 갖고 있다가
    집값 높을 때 팔아서 시세 차익 챙기면 되는 거고,

    문제는 한달 벌어 한달 먹고 사는 일반 직장인이라는 말이죠.
    - 한달 벌어 한달 먹고 산다고 하니 무슨 막노동 일용근로 같은데
    지금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집 대출 이자/원금 상환하면 한달 벌어 한달 먹고 사는 거에요.

    부동산에 왜 급매물이 나오겠나요. 갑자기 직장이 훅 날아가거나 부서가 훅 날아가거나
    나만 잘리거나, 일 잘해도 신병/사고이 생겨서 일할 수 없거나, 어떤 이유로 급전이 필요해졌거나..
    그런 상황들이 의외로 발생한단 말이죠.

  • 12. 몇천억으로
    '15.7.30 8:13 AM (112.169.xxx.227)

    부동산 굴리는 사람 알고 있어요.
    다 자기돈 아니고 완전 대출이더군요.
    그렇게 정부가 판을 깔아 놓더군요.

  • 13. ,,,,
    '15.7.30 8:19 AM (39.118.xxx.111)

    대출 참고해요

  • 14. 미래
    '15.7.30 8:28 AM (112.150.xxx.29)

    중요한 건 전세가와 매매가가 같아 지려해요
    전세가는 안 떨어질 거라 하더 라구요
    저희 단지도 천만원 차이에요
    년초만 해도7천차이 였는데..
    집값 전세값 차이없이 쭉 가다가 전세 없어지고 월세나 자가 이렇게 간다네요

  • 15. ***
    '15.7.30 8:59 AM (125.131.xxx.30)

    그냥 무리 말고 자기 형편에 맞게 살면 됩니다.
    지금 이런 경제 상황에 무리해서 재테크 하겠다는 인간들 보면 정말 한심합니다.
    조선에 이어 곧 건설사도 곡소리 나게 생겼는데 어쩌려고 그러는지?

  • 16. ...
    '15.7.30 9:34 AM (118.33.xxx.35)

    그러다가 더 오르면 님이 책임질 건가요?
    꼭 보면 이런 분이 남들 못 사게 만들어놓고 자기는 집 사던데

  • 17. 월세
    '15.7.30 9:38 AM (222.107.xxx.88)

    집값이 안오르니 월세 받아야지요 대출이 만연해진 시대에 전세는 이제 필요없는 제도일뿐이네요

  • 18. 케이트
    '15.7.30 12:20 PM (222.233.xxx.66)

    원글님의 글 요지는 알겠지만 집에 관한 조언은 함부러 하는 게 아니더라고요. 지금 집값 오를만큼 오른것 같지만 더 오를지 아무도 몰라요.

  • 19. 각자자기판단
    '15.7.30 12:40 PM (220.76.xxx.171)

    여기전에글에 집값 똥값된다고 모조리 하우스푸어 된다고 하던글 생각나요
    지금정부에서 판을깔아주었는데 다시어떤 변동으로 정부가 끌고갈지
    누구도 집사라고 판깔아준 정부도 책임안져요 각자판단해야 겠지요
    우리는 현금을 가지고 있을려고합니다 계속적금들고 정기예금으로
    지금부동산에 뛰어드는것은 위험해요 내지인딸이 2007년에 송파구에
    가락시장쪽에 아파트사고 돈이모자라 그집전세주고 친정살이했어요
    작년에 그집팔때 삿던금액에 밑지고 팔아서 강남 일원동으로 이사했어요
    증시에서 아기엄마가 아이업고 객장에 나오면 꼭대기라고 명언이예요

  • 20.
    '15.7.30 4:36 PM (1.253.xxx.85)

    진짜고민되네요~~계속오르고 있으니 지금이라도 사야되나 2년후 안떨어지면 정말 후회할듯해요...ㅜㅜ 1언 안쪽대출해서 10년 다되가는 사파트 매매하려는데 6개월사이 6천올랐어요~집값 미친듯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75128 향수 지에스ᆞ현대몰에서 사도되나요.,? ᆞᆞ 2015/08/22 575
475127 장례식에 가서 한없이 눈물이 나오는건... 5 .. 2015/08/22 2,142
475126 도곡&개포동 아파트.. 아시는 분이요? 5 꽃밭 2015/08/22 3,183
475125 주말에 혼자 맥주 한캔 할려고 노력중 6 Op 2015/08/22 1,433
475124 오대천왕 멋진헛간 가사 뭔 말인지 모르겠어요 ㅠㅠ 4 호호 2015/08/22 3,074
475123 독립운동가 후손 영정 날치기 시킨 경찰 수뇌부 3 슬프다 2015/08/22 805
475122 피부과 정기적으로 다니시는 분들요~ 4 ㅇㅇ 2015/08/22 4,273
475121 세월호494일)아홉분외 미수습자님..가족들과 꼭 만나시기를 바랍.. 10 bluebe.. 2015/08/22 383
475120 머리가 너~~~무 많이 빠져요.....ㅠㅠ 1 .... 2015/08/22 1,681
475119 30대 중반인분들.. 아파트 보유하고계신가요? 6 ... 2015/08/22 3,177
475118 대가리나쁘니 다 뽀록나는 닭그네 6 2015/08/22 2,397
475117 남자와 여자의 차이점? .. 2015/08/22 742
475116 수시원서, 사배자 조건에 해당하는데 쓰는 것이 좋을까요? 5 수시 2015/08/22 1,414
475115 오나귀 커프와 마무리가 같네요 10 한마디 2015/08/22 3,691
475114 발목, 발등, 종아리뒤가 너무 간지럽고, 긁은자리에 맑은노란물이.. 3 갑자기간지러.. 2015/08/22 2,993
475113 집매매시 분양받을때부터 있던 티비장을 가져갈 수 있나요 11 현아 2015/08/22 2,445
475112 헐 오나귀 최순경이 ?? 20 오나귀 2015/08/22 6,970
475111 이것 때문에 전쟁날뻔 했다는데.... 메신저 2015/08/22 1,725
475110 태동이 심하면 태어나서도 활발한가요? 12 믿는대로 2015/08/22 9,813
475109 에어워시 기능어떤가요 1 ww 2015/08/22 713
475108 연애하고 싶어요. 3 .. 2015/08/22 1,216
475107 울랄라세션 故 임윤택씨 가족들 다큐, 며느리 재혼에 대한 시어머.. 32 칙칙폭폭 2015/08/22 24,096
475106 집 보러 와서 남의 옷장은 왜 여시는지... 6 그런가보오... 2015/08/22 3,544
475105 저만웃기면 죄승한데 저는 너무 웃겨서요 9 ㅇㅇ 2015/08/22 2,726
475104 이어령 교수면 석학이라고 12 ds 2015/08/22 2,8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