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미 연준.금리인상 문서 실수로 유출

.... 조회수 : 5,331
작성일 : 2015-07-25 20:32:59
http://m.media.daum.net/m/media/world/newsview/20150725192608850
IP : 125.143.xxx.206
39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현재/0-025
    '15.7.25 8:38 PM (218.148.xxx.137)

    2015년/0.35/한국2.35
    2016년/1.26/한국3.26
    2017년/2.12/한국4.12

  • 2. 중간에
    '15.7.25 8:44 PM (223.62.xxx.118)

    9월 정도 1번 올리고 연말에 12월 예정된 날 한번 올리겠네요 ㅡ 4분기 말.. ㅋ

  • 3. 이게
    '15.7.25 8:45 PM (223.62.xxx.118)

    연준의 쇼잉 일수도 있다는... ㅋㅋㅋ
    여튼 최소 1번은 올리겠네요

  • 4. 원래
    '15.7.25 8:47 PM (121.133.xxx.51)

    시장 예상도 그정도입니다. 올해 올린다거 이야기했고

  • 5. ㅇㅇ
    '15.7.25 8:55 PM (218.148.xxx.137)

    2017년 한국의 기준금리가 4%면
    1금융권 대출금리 7-8%인데 지금의 2배
    그것도 이제부터는 이자+원금 갚아야함
    헬게이트 스타트

  • 6. ..
    '15.7.25 8:58 PM (119.14.xxx.20)

    2015~ 저게 현재 기준금리인가요?

    그런데, 왜 예금금리는 하나같이 그 모양인가요?ㅜㅜ

  • 7. ㅇㅇ
    '15.7.25 9:01 PM (218.148.xxx.137)

    2016년 예금금리 4-5%
    2017년 예금금리 5-6%

  • 8. 111
    '15.7.25 9:13 PM (121.167.xxx.114)

    현재 : 0.25%
    6개월뒤 : 0.35%
    1년6개월 뒤 : 1.26%
    2년6개월 뒤 : 2.12%

    위에껀 미국 기준금리 예상도구요.
    관행대로라면 우리나라는 금리를 인하내지 동결하다가 2017년말~2018년초부터 1년 0.8pts내외로 올리기 시작할겁니다. 2년에서 3년정도는 국내 금리인상은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오히려 내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 9. 현재
    '15.7.25 9:15 PM (223.62.xxx.118)

    울나라 기준금리는 1.65ㅡ 1.9 죠..

  • 10. 현재
    '15.7.25 9:17 PM (223.62.xxx.118)

    미국은 올리는 데 울나라가 안올리면 환율상 여러모로 헬 게이트라.. 올릴수 밖에 없습니다.. 최소 동결일거고
    인상을 안하면 모든 달러는 다 빠져나갑니다

  • 11. 위에
    '15.7.25 9:19 PM (223.62.xxx.118)

    218.148 님이 올린건

    2015 연말 예상 미국. 한국 이고
    그 이후 예상인겁니다

  • 12. 111
    '15.7.25 9:22 PM (121.167.xxx.114)

    현재 / 말도 안되는 소리입니다. 한국, 미국 금리 역전은 충분히 가능한 일이고, 전례도 있습니다. 경제학을 공부해보신적은 있으신지요. 양적완화와 종료는 전례가 두번이나 있습니다.2004년 2005년 2006년 한국 / 미국금리 추이를 비교해 보시구요. 2005년, 2006년 미국과 한국 부동산은 어찌됐는지 보고오시면 됩니다. 아마 댓글 지우고 사라지겠죠.

  • 13. 111
    '15.7.25 9:24 PM (121.167.xxx.114)

    현재 / 한국같이 전적으로 수출에 의존하는 국가는 환율 때문에 더욱이 금리를 올리기 힘듭니다. 섣불리 올리다가는 환율로 인한 수출 피해가 훨씬 크기때문이지요.

  • 14.
    '15.7.25 9:25 PM (223.62.xxx.118)

    제가 매일 공부하는게 경제학인데요...
    요즘 경제학 책을 끼고 사는데...

    금리역전이 불가능 하진 않죠..

    근데 지금 금리 역전이 아닌데도 강달러로
    외국인이 투자금을 다 빼내가서 힘들어하잖아요..

    제가 왜 지웁니까.. 윗님은 경제학 뭐 공부하시나요?

  • 15.
    '15.7.25 9:26 PM (223.62.xxx.118)

    2004년. 2005년 과는 다른게..
    그때는 경기가 괜찮았습니다..

    윗님은 경제학 책 뭐 보시나요?
    전 요즘 케인즈 봅니다..

  • 16.
    '15.7.25 9:27 PM (223.62.xxx.118)

    누가 섣불리 올린다나요..

    최소 인하는 못할거다는 소리죠...

    수출만 생각하고 그 외에 외환보유 정도는 생각 안하시나요????

  • 17.
    '15.7.25 9:31 PM (223.62.xxx.118)

    그리고 현재 울 나라는 국가 자체가 부채가 많은 상태입니다..

  • 18.
    '15.7.25 9:35 PM (223.62.xxx.118)

    윗님 경제에 대해 잘 아신단 분이 04년의 국가 부채와
    현재 국가 부채가 어느정도 차이 나는지는 당연히 아시겠죠?
    그럴때 강달러가 주는 국가에 영향 도 아실거구요....

    그럼 국가가 금리를 어떻게 끌고 갈지도 아실텐데요

  • 19. ^^
    '15.7.25 9:36 PM (175.253.xxx.125)

    윗 분 말씀처럼 2004년에도 18개월정도 금리를 후행한적이 있었는데요

    안타깝게도 한국경제에 타격을 입힐만한 자본유출은 없었습니다.

    그때도 지금 못지않게 우려를 했는데요. 어이없게도 바로 금리인상 시점부터 한국 부동산은 폭등을 하게됩니다.

    자고일어나면 몇천 올랐던, 한국 부동산 정점찍었던 시절이 그때구요.

    역시나 부동산과 주식은 예측불가한 영역입니다. 금리인상은 역대적으로 좋은 신호탄이였어요.

  • 20. 111
    '15.7.25 9:40 PM (121.167.xxx.114)

    그때 부채와 지금 부채가 어느정도 차인지 알려주시겠나요?

  • 21. 111
    '15.7.25 9:49 PM (121.167.xxx.114)

    맞습니다.
    2015년 한국의 가계부채는 무려1100조입니다.
    2005년 한국의 가계부채는 약 500조에 불과했으니 무려2.2배나 오른셈이죠.
    물가상승율 고려해도 상당히 늘어난 수치처럼 보입니다.
    선동을 하기에도 쉽고 선동을 당하기에도 쉽습니다.

    하지만 그동안
    GDP는 1.9배 상승했구요.
    외환보유고는 15,000불에서 30.000불로 무려 2.2배나 넉넉합니다.
    경상수지는요? 무려 7.5배 늘었습니다.

    펀더멘탈은 오히려 2004년보다 강합니다.

    이해 편하시게 이렇게 마지막 설명 드리고 갑니다. 경제는 이성적으로 판단해야합니다.
    인터넷여론이나 폭락론자들의 구미당기는 소설쓰기에 놀아나시면 힘들어집니다. 국가와 경제는 확률적으로 있는 자들에 의해서 움직였다는 사실 잊으시면 안됩니다. 경제학 서적을 끼고 사신다니 발전이 있으시리라 믿습니다.

  • 22. 구글
    '15.7.25 9:50 PM (223.62.xxx.118)

    저한테 물어보지 마시고 구글 검색하시죠.
    경제에 빠삭한 분이 당연히 아시는 거 아닌가요?

    부채가 많으면 외환보유액이 기본으로 어느정도 이상 유지되어야 모라토리엄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도 기본중에 기본이죠??

  • 23. 111
    '15.7.25 9:50 PM (121.167.xxx.114)

    ㄴ 허허 친절하게 구글검색까지.. 수고하십시오^^

  • 24.
    '15.7.25 9:53 PM (223.62.xxx.118)

    가계부채가 아니고 국가부채인데요.
    이해를 못하신듯?

  • 25.
    '15.7.25 9:54 PM (223.62.xxx.118)

    게다가 수출국이라도 환율이 과도하게 변경되면
    각종 원자재 수입에 매우 불리합니다

    도대체 무슨 경제 서적을 보시는지 제가 궁금하군요..

    선동은 누가하고 있는지?

  • 26. ****
    '15.7.25 9:54 PM (125.131.xxx.30)

    뭐 이론적으로는 다 맞는 말씀인데 인구가 줍니다.
    인구절벽 앞에서 폭락이고 상승이고 무슨 소용입니까?
    그냥 부동산으로는 무리를 안 하는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 27.
    '15.7.25 9:56 PM (223.62.xxx.118)

    저는 단순히 금리에 대해 얘기를 하고 있었을 뿐인데.. 너무 왜곡해 생각하셔서 욱하시는 분들이...

    윗님 가계 부채가 아니고 국가부채요.

    국가 재정건전성.

  • 28. 111
    '15.7.25 9:56 PM (121.167.xxx.114)

    맞습니다. 제 말은 이론과 과거경험에 불과할 뿐이고, 앞으로는 그 누구도 알 수 없습니다.
    단지 불순한 목적을 가지고 뿌려진 알량한 지식에 선동되어
    그것이 진리인양 앞으로는 무조건 상승이네 무조건 하락이네 떠들면
    게시판의 다수가 피해를 보겠지요
    마지막으로 부동산이든 주식이든 절대 무리해서는 안되는게 맞습니다.
    수고하십시오. 저는 다음에 뵙겠습니다.

  • 29.
    '15.7.25 9:57 PM (223.62.xxx.118)

    국가부채와 가계부채도 구분 못하시면
    아는 척 하지 마세요..

    게다가 수출국인데 원자재 수입은 생각안하시는 정도의
    얄팍한 지식으로...

  • 30. 아이고
    '15.7.25 10:00 PM (223.62.xxx.118)

    할말 없으니 그냥 사라지네.. 참나..

  • 31. 엥??
    '15.7.25 10:04 PM (175.253.xxx.125)

    저도 미시 석사논문 쓰는중이지만 경제학에서 국가부채라는 개념은 생소한데요??? 혹시 government debt 말씀하시는거라면 아주 건전한 편인데.....

  • 32. 두분의 설전
    '15.7.25 10:04 PM (222.239.xxx.30)

    재밌네요..
    그런데 남이 하면 얄팍한지식에 불순한 의도,선동이고 내가 하면 아니라고 생각하나봅니다.
    토론할때는 적어도 저런 태도는 좀 버리심이...

  • 33. 121.167
    '15.7.25 10:06 PM (223.62.xxx.118)

    알바인듯..

  • 34. 윗님아
    '15.7.25 10:09 PM (223.62.xxx.118)

    국가부채. 국가채무

    물론 일본등 강대국에 비해 매우 안전한 편이지만
    우리나라는 아직 신흥국으로 분류되는 국가입니다..
    신용도가 낮다...

  • 35. 윗님..
    '15.7.25 10:11 PM (223.62.xxx.118)

    경제학을 전공하신다는 분이 국가부채. 국가채무 가
    생소하시다니 제가 의아..ㅠㅠ

    전 그냥 독학으로 경제공부하는데..

    국가신용등급 관련

  • 36. 121.167
    '15.7.25 10:21 PM (218.148.xxx.137)

    병신인듯..

  • 37. 범보
    '15.7.26 12:33 AM (223.62.xxx.90)

    수출국가라 환율때문에 금리를 못올리다니..웃고 갑니다.

  • 38. 응?
    '15.7.26 6:49 AM (79.213.xxx.179)

    환율과 금리가 뭔 상관?

  • 39.
    '15.7.26 10:41 AM (66.249.xxx.182)

    몇몇댓글과는 반대로 전 미국이 금리 올리고 우리나라는 금리 안올리면
    시중에 돈이 귀해지는현상으로
    금리 인상했을시보다 부동산이 더 하락한다고 알고있는데 틀린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73051 친정부모상에 시조카들은 오지 않는 건가요? 궁금 09:52:33 10
1773050 요즘 고환율 보니 생각났는데요 ㅇㅇ 09:46:52 122
1773049 경기대 3점초반 수시로 붙기 힘드나요 4 깊은가을 09:46:30 148
1773048 .수능 본후 어른스럽지 못한 저의 마음 2 콜라와사이다.. 09:45:51 181
1773047 하이닉스 살까요 ㅋㅋㅋ 4 .. 09:45:00 321
1773046 안마의자 안쓰시는분 저한테 당근하세요^^ 1 Zion 09:42:15 232
1773045 초등학생 아이 장염인데요.. ddd 09:42:08 48
1773044 크린토피아에 세탁 맡기고 옷을 손상시켜서 배상해준다는데요. 2 보상 09:41:28 128
1773043 싱글 삼촌이나 고모상에 조카 배우자도 꼭 가나요? 8 궁금 09:34:44 389
1773042 곰탕 끓였는데요~ 기름이 안 굳혀졌어요! 3 초보중초보 09:29:10 331
1773041 네이버 주주오픈톡방이 의외로 재밌네요. 4 ㅇㅇ 09:27:29 475
1773040 대학생 딸아이 생리불순때문에 힘들어해요 1 캔디 09:26:46 159
1773039 제니는 의상이 좀.. 13 09:21:11 1,107
1773038 환율 1473원 돌파, 1500원이 뉴 노멀일까요 20 ... 09:18:26 646
1773037 수능최저 9 ㅠㅠ 09:14:39 610
1773036 히트레시피에 새글 올라온거 보셨어요? 6 ... 09:03:30 1,341
1773035 꿈에서 뭘 뺏기는 꿈 꾸고 (주식) 1 .. 09:00:12 295
1773034 내년 공시가율 69프로 동결ㅡ민주당 대실망 19 ... 08:49:18 1,162
1773033 공무원 휴대폰 조사?? 36 ..... 08:45:19 1,387
1773032 예전에 욕먹던 여성분 기억하세요? 6 ... 08:42:32 1,611
1773031 노처녀가 되는 꿈 1 08:38:21 423
1773030 박성재가 조희대를 대면한 듯 9 ... 08:30:24 1,243
1773029 드라마 태양을 삼킨 여자 보시는 분 계실까요(스포유) 8 드라마 08:22:42 752
1773028 [단독] "김건희, 통일교몫 비례 약속…2달만에 240.. 3 이래도 08:13:00 1,567
1773027 복 중에 어떤 복이 최고라고 생각하세요? 21 08:11:59 2,6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