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개인연금 관련해서 몇가지 알려드릴게요.

ㅇㅇ 조회수 : 7,482
작성일 : 2015-01-06 00:52:06
폰이라 간략설명해드리는 점 양해바래요.

1.2,30대시라면
1)개인연금:
들지 마세요. 아직 종잣돈 불리기에 최선을 다해야하는 시기입니다. 종잣돈 파이를 최대한 크게 만드세요. 그리고 퇴직연금 추가납입 하세요. 수수료를 일정부분 사측이 내줘야하므로 유리합니다. 이 때 400만원 한도 소득공제 혜택도 있는 걸로 알아요.

만약 무료재무설계받으러 갔다가 덜컥 변액연금을 들었다? 확인해보니 수수료가 8프로 넘게 떼인다?그런 고지 못들었다하시고 3개월이내 원금 고스란히받으세요.

2) 보장성 보험:
실비보험에 적립금은 절대 포함시키지 마시고 최대 5만원선이면 충분합니다. 입원특약도 비추입니다. 암특약도 포함시키는 선에서 마무리. 다른 암보험은 가족력으로 염려될 경우 드세요.

3)최대한 저축비중을 높여 자나깨나 종잣돈! 풍차돌리기, 우체국 새마을금고등에서 1인당 3000만원 비과세저축 무조건 드세요. 이율높은 제2금융권 이자 포함 5000이내로 예적금하시고요. 저축은 무조건 60프로 이상 한다는 마음가짐으로 공격적 저축하세요. (3개월치 생활비 비상금은 항상 산업은행이나 jb은행 다이렉트에 쌓아두고)

2.4,50대:
퇴직연금 추가납입 빵빵하게하고 현금재산 있어도 불안하시다 하시는 분들 개인연금 들 때

1)변액보험:하지마세요. 정하고싶으시면 10만원납 정도 불입액 최소로 해야 어마어마한 수수료가 그나마 덜 떼입니다. 정 더 넣고싶으시면 불입액 최소로 유지하되 목돈으로 추가납입하세요. 추가 납입 수수료가 이 때 그나마 덜 떼여요. 월 50만원이상불입 변액? 이 정도는 상속세 포탈 목적으로 부유층들이 자식을 위해 들어주는 용도 이외엔 중산층이하에겐 의미 없어요. 난 평범한 월급쟁인데 친척이나 친구가 설계사인데 변액 몇십만원짜리 들라한다? 친구도 아닙니다.

2)연금저축. 소득공제 때문에 가입하시는 분들 많은데 이것도 수수료 장난아니고 비과세가 아니라서 만기되도 예상보단 별롭니다. 그래도 연봉이 5700이상인데 자식도 없고 해서 여러 공제 받을 게 없다하시는 분들은 가입하셔도 됩니다.

3)퇴직연금 :위에서 설명드린 대로 퇴직연금에 추가납입하세요.
IP : 1.238.xxx.9
2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십대중후반
    '15.1.6 12:55 AM (58.143.xxx.76)

    연금넣는거 암보험 비추일까요?

  • 2. ㅇㅇ
    '15.1.6 12:57 AM (1.238.xxx.9)

    십대 청소년이라면 암보험보단 실손이 훨씬 유리하죠.

  • 3. 진리
    '15.1.6 1:00 AM (1.241.xxx.59) - 삭제된댓글

    말씀 옳으세요 퇴직연금 추가 납하는게 제일 유리한데 잘모르는분 많아요

  • 4. 프리랜서
    '15.1.6 1:00 AM (123.109.xxx.103)

    전 올해40된프리랜서주부인데요 노후대비 우체국연금 하나 들까 하는데 고민이많네요 일단30만원정도들고 나중에 추가납입할까요?나중에50만원쯤 나오게 세팅하고싶은데요

  • 5. 퇴직연금
    '15.1.6 1:01 AM (119.64.xxx.147)

    퇴직연금이 국민연금이에요 ?? 죄송 ;;;

  • 6. 프리랜서
    '15.1.6 1:01 AM (123.109.xxx.103)

    연금은 현재 하나도 없어요 ㅠㅠ

  • 7. ㅠㅠ
    '15.1.6 1:11 AM (182.231.xxx.77)

    개인연금 뭣모르고 소득공제 때문에 5년 동안 넣었어요. 10년 채워 찾으면 되나요?ㅠㅠ

  • 8.
    '15.1.6 1:20 AM (221.151.xxx.147)

    저기 아래 글 올린 퇴직자 퇴직연금관리에 대해서도 조언 부탁드려요.

  • 9. ..
    '15.1.6 1:29 AM (122.34.xxx.72)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이왕 넣은게 5년 이상일땐 해지않고 갖고 가는것도 괜찮은거죠?

  • 10. 날라라
    '15.1.6 1:31 AM (119.64.xxx.56) - 삭제된댓글

    퇴직연금은 없어요. 프리랜서라... 오로지 국민연금 최저액. 변액연금 30만원만 넣고있는데 늘 불안해요. 어디다 더 넣어야 하는걸까요? 현재는 변액에 추가납입 틈틈이 하고 있어요. 국민연금 고릿적에 찾아쓴거 다시 반납하고 4년이란 기간을 살릴까요?

  • 11. 노후
    '15.1.6 1:43 AM (1.244.xxx.137)

    퇴직연금 추가납입해라 ... 감사합니다

  • 12. 감사
    '15.1.6 1:58 AM (59.20.xxx.25)

    좋은 정보입니다...

  • 13. 개인연금5년납입한분
    '15.1.6 2:00 AM (175.197.xxx.69)

    10년완납하고 그냥 개인연금으로 받으세요. 깨지말고 해지하지 말고...이왕 넣은 거 그냥 연금으로, 생명보험사 것이면 죽을 때까지 계속 연금받을 수 있어요.

    암보험.....가족력도 있지만 생활습관이 술 즐겨먹고 담배피우고 널부러져 주말 보내는 거 좋아하는 사람라면 암보험 20대,30대초반때 무조건 들어놔야 처자식에게 부담 덜 됩니다. 아이들 10대 중반에 한창 커가는데 그런 널부러진 생활습관으로 결국 대장에 플립커가고 간 세포 죽어가고....나이 들면 암보험 지단금 3천만원에 월납 10만원 에 달해요.

    보험금 적게 들어가면 좋지만 여유된느 분들이라면 건강보험도 좀 깔아놓고 살면 나이 들어서도 든든해요. 그런데 여유없으면 그냥 기본만...

    혹여라도 생명보험회사에 연금가입한 분들은 평생 받는 연금으로 수령하세요.

  • 14. 개인연금5년납입한분
    '15.1.6 2:04 AM (175.197.xxx.69)

    변액 추가납입은 하지말라고 하기 전에 몇가지 물어보고 싶은 게 있어요.
    최저 보장금리 어느 정도인지, 추가납입 시 사업비는 몇%제하는지. 약관에 살펴보시기 바래요.

    추가 납입이 금리 면에서 납입 비용을 덮을 만큼 잇점이 있지 않다면 고려해보세요. 차라리 국민연금에 추가납입하는게 나을 수도 있어요.

  • 15. 보험사 개인연금
    '15.1.6 2:15 AM (58.143.xxx.76)

    옛날 8 90년대에 비해 어떤 형태로 점점 변해가는 추세인가요?
    물론 예전것이 좋은거겠죠?

  • 16. 보험
    '15.1.6 2:46 AM (119.196.xxx.153)

    보험관련정보 감사합니다

  • 17. 일단
    '15.1.6 2:49 AM (119.67.xxx.154)

    좋은글 감사드립니다. 다만 제가 아는 범위 내에서 잘못된 정보가 있어 수정..

    퇴직연금 추가납입 하세요. 수수료를 일정부분 사측이 내줘야하므로 유리합니다. 이 때 400만원 한도 소득공제 혜택도 있는 걸로 알아요.
    -> 수수료 개인부담입니다. 추가납입은 DC제도 가입자만 가능하며, (DB가입자는 IRP개설해서 개인납입만 가능) 이마저도 (어차피 개인부담인) 수수료율이 IRP개설해서 여기에 납입하는것보다 대부분 높습니다. 같은상품-같은 수수료(같은 금융기관의 DC-IRP 기준)

    400만원 소득공제 아니고 납입액의12%만 세액공제입니다. 한계세율 높은 분들(연봉 높은 분들)은 기존보다 확 깎여요. 그마저도 400만원은 개인연금 납입액 합산입니다. 단, 퇴직연금에는 추가 300만 납입액의 세액공제 가능합니다. 즉 최대 700만원(개인연금에는 700중 최대 400까지만 분할 가능) 납입하고, 납입액12% 세액공제 됩니다.
    기존 세제적격 연금 넣으시는 분들이 대부분 고소득자의ㅜ소득공제용인것 감안시, 대개 기존에 15%나 24% 이상 받으셨을꺼고요.

  • 18. 가을
    '15.1.6 7:37 AM (112.152.xxx.10)

    퇴직연금, 참고할게요^^

  • 19. ㅡㅡㅡ
    '15.1.6 8:38 AM (119.70.xxx.159)

    퇴직연금 감사합니다

  • 20. ,,,
    '15.1.6 10:44 AM (211.200.xxx.174)

    연금 참고할께요

  • 21. 주전자
    '15.1.11 9:40 PM (121.131.xxx.209)

    개인연금 잘 알아봐야겠군요

  • 22. 감사
    '15.9.1 3:24 PM (211.218.xxx.15)

    개인연금, 퇴직연금 참고할게요~

  • 23. 망고망고해
    '15.12.24 8:49 AM (58.226.xxx.197) - 삭제된댓글

    평균수명이 길어지고있어서 주기적으로 생존률통계를 내서 연금액을 조절합니다
    생존률이 높을수록 연금액이 작아집니다​ 가입시기가 언제이냐에 따라
    1회연금액이 달라지게 됩니다.
    가입하는 분은 가입당시의 생존률을 적용받으셔서 일찍 가입하는게 유리합니다

    http://e-bohummall.kr/S001/page/bsave

    여기 연금보험비교사이트 괜찮더라구요. 다양한상품을 한눈에 비교할수있고 ,
    실시간 보험료계산도 가능하고.. 전문가 무료상담도 제공해서 추천해드리고 싶네요
    평소에 괜찮다거나 관심있던 상품 조회하면 보장내용도 쉽게 설명하고 보험료도 바로바로 나오더라구요

  • 24. ...
    '16.4.22 3:38 PM (59.14.xxx.105)

    아직 퇴직연금에 대한 정보가 많이 부족한 것 같은데 정보 감사해요~

  • 25. 오양
    '17.1.22 5:22 PM (1.237.xxx.5)

    개인연금 정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54648 옛날 생리대 없던 시절엔 얼마나 불편했을까요? 55 생리 2015/01/07 16,490
454647 2015년 1월 7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세우실 2015/01/07 1,402
454646 라면 끓여먹었어요. 3 ... 2015/01/07 1,713
454645 가족 잃은 사람이 죄인 되는 사회, 이제 끝냅시다 2 416인권선.. 2015/01/07 1,506
454644 내가 너한테 왜 잘해주는지 알아? 따님분.. 8 // 2015/01/07 4,282
454643 살짝 헤갈리는 인생 살아가는법 3 ㅁㄴㅇ 2015/01/07 2,598
454642 영국에서 가구를 사려고 합니다 8 고견 부탁드.. 2015/01/07 2,978
454641 "나 VIP 고객이야"..이번엔 마트서 '갑질.. 5 참맛 2015/01/07 2,698
454640 관계개선을 위해 어떻게 해야 하나요? 21 엄마 2015/01/07 4,074
454639 영유아 영어 조기교육 위험한 점이 많네요.. 6 22 2015/01/07 3,569
454638 20살 이라고~~~ 1 이해 2015/01/07 1,351
454637 유산균이 정말 효과있을까요? 1 대장용종예방.. 2015/01/07 2,328
454636 엄마 글과 댓글 보니.. 7 최근글 2015/01/07 1,948
454635 요가호흡 잘아시는분~ 5 운동시작 2015/01/07 2,213
454634 50대 이상 부를 축적한 그 세대는 자기들이 그리 잘나서 그런줄.. 8 ........ 2015/01/07 2,832
454633 집안에 먼지는 대체 어디서 오는걸까요.. 26 .... 2015/01/07 13,832
454632 반성한다. 현 대통령에 대해 불신과 회의를 가졌던 것을 참맛 2015/01/07 1,322
454631 니 배에 왕짜 (王字) 좀 어찌해라... 2 어리굴젓 2015/01/07 1,503
454630 남의 차 얻어탈때 7 쿠란 2015/01/07 3,682
454629 고등학생 어머니들...아들 엉덩이 허벅지 만지나요? 10 ㅗㅗ 2015/01/07 4,397
454628 세월호 특별법 중 대학교 정원 외 특례입학은 좀 그러네요. 9 ㅇㅇ 2015/01/07 1,846
454627 헬스 일년치 끊었는데요 3 갈길이 멀다.. 2015/01/07 2,173
454626 요가 일주에 3번이면 효과있나요? 3 운동시작 2015/01/07 6,557
454625 대나무찜기 우리나라 제품으로 사고 싶은데요. 1 붕붕카 2015/01/07 1,394
454624 현상유지의 반대말이 뭘까요? 4 2015/01/07 4,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