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미술에 재능있는 애들은 어려서

sg 조회수 : 5,896
작성일 : 2014-12-31 18:56:17

어떤 모습이나 특징을 보이나요?

굉장히 관찰력이 좋지 않을까 하는데

 

아이가 교과서에 실린 글과 그림을

같이 베겨오라는 숙제에

그림을 정말 교과서랑 똑같이 그려놔서

아이가 집중력과 관찰력이 있나보다 했습니다만..

 

 

IP : 210.220.xxx.113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ㅡㅡ
    '14.12.31 7:02 PM (119.196.xxx.181) - 삭제된댓글

    그냥 그건 테크니컬한 기술이라 눈썰미가 좋고 손이 예민한분들 카피 잘해요.

    솔직히 기술적부분은 기본이고 입시통해 연마되요. 기본이고

    미술할려면 저는 일단 창의성, 사물에 대한 이해도, 감정에 대한 표현력, 수리적 능력도 필요하다 봅니다. 빛에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예술부분..

    솔직히 카피 잘하면 대단해 보이긴 하지만
    그건 미술에 큰요소가 아닙니다. 어떨때 독이되요.

    그냥 단순히 미대보낸다는것과 다른문제입니다.

  • 2. 아무래도
    '14.12.31 7:03 PM (175.208.xxx.242)

    그런 분야를 좋아해서 스스로 즐겨하죠
    우리애는 미술학원에서 좀 소질있다 소리도 듣고
    집에서 찰흙으로 조그만걸 만들어내는데 앙증맞게
    잘 만들어내고 도화지에 뭘 그려대고 그러더라구요.
    결국 그 분야로 공부중이여요.

  • 3. ....
    '14.12.31 7:04 PM (14.46.xxx.209)

    창의성이 더 중요한듯요..똑같이 그리는건 연습하면 됨요

  • 4. ..
    '14.12.31 7:07 PM (211.177.xxx.31)

    잘 카피하는애는 정말 관찰력이 좋은거예요..미술보다는 디자인계통이 더 좋을껄요.. 미술은 창의성이 뛰어나야하구요.

  • 5. 전 그냥그냥
    '14.12.31 7:17 PM (175.192.xxx.3)

    전 어릴 적부터 그림 그리는 걸 좋아했지만 관찰력은 없었어요. 눈썰미도 없고 만드는 것도 못해요.
    창의성도 없고..대회에서 상 받을 실력도 안되었어요.
    다만 그리는 걸 좋아하고 베껴그리는 건 좀 했던 것 같아요.
    친가 쪽으로 다들 그림을 잘 그리고 조각도 잘하는데 전 베끼는 것만..
    미술에 재능있는 것도 여러가지에요.
    현재는 디자인 관련 업종에 종사하고 있고 친척 동생도 그래픽 쪽으로 공부했어요.
    다른 친척들은 평범한 직장 다니고요.
    학교 다니면서 주변에 같이 그림을 좋아하는 친구들도 다 디자인이나 미술과 관련된 일을 하고 있어요.
    만화부터, 메이크업, 아동 의상디자인, 편집디자인, 그래픽 등등등
    다들 그리고 뭘 만드는 걸 좋아하더라구요.

  • 6. .....
    '14.12.31 7:20 PM (220.76.xxx.209)

    똑같이 베끼는 것은 테크닉인데.. 이것도 사실은 중요해요.
    특히나 입시 미술에서 기본 적인 부분 충족할 때는 필요한 부분이죠.
    그런데 전공으로 쭉 할 것 같으면, 창의성과 감각 (센스?) 가 훨씬 더 중요한 것 같아요..
    그리고 사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궁핌하고 힘들어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하는 것.. 인 듯 해요 ㅠ
    보면 궁핍하고 힘든 나머지, 살면서 다른 길로 변경하는 경우가 대부분 ㅠ

  • 7. 저는
    '14.12.31 7:23 PM (50.183.xxx.105)

    전공자인데 시작하게된 계기가 너무나 재능있다하던 동생의 미술대회에 따라갔다 심심해서 단한번 미술을 배워본적도없는 제가 그림을 그렸는데......동상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놀란 부모님이 동생은 제쳐두고 저를 학원에 보내주시기 시작했죠.
    더 우스운건 제 미술점수가 그 나이까지 매년 미였기에 제 자신도 제가 너무나 그림에 소질이 없다고 생각했습니다.나는 미술을 못하는 아이다라고요.
    자녀분처럼 똑같이 따라그리고 그런거도 못하는 아이였던거죠.

  • 8. 미술재능
    '14.12.31 7:40 PM (222.106.xxx.50)

    미술재능있는 아이들은 일단 관찰력이 좋은건 공통사항이더군요.
    똑같이 기억해서 그리는건 당연히 잘하구요.
    거기에 창의력이 뛰어납니다.
    사물을 볼때 이면을 보는 능력도 있어요.

  • 9. ............
    '14.12.31 8:03 PM (110.47.xxx.142)

    미술재능있는 아이들은 일단 관찰력이 좋은건 공통사항이더군요. 222222222
    흥미있는 건 가까이 다가가서 자세히 관찰해서는 남들이 못보는 것을 찾아내는 능력이 있어요.
    그런데 재능이 있다는 것과 좋아한다는 것은 다른듯 합니다.
    어린이집에 다닐 때부터 이미 동물을 완벽하게 묘사해내던 조카가 있는데, 그림 그리는건 별로 안 좋아해요. ㅠㅠ
    가끔 그려내는 그림이 예사롭지를 않아서 학원도 못보내고 있다고 하데요.
    화가의 길이 쉬운 길도 아니고, 자칫 구태의연한 선생을 만나 재능에 손상이 갈까봐 걱정되는 부분도 있어서 조카가 스스로의 재능을 각성하기 전까지는 그냥 내버려두는 중이라고 합니다.

  • 10. 그림
    '14.12.31 8:13 PM (182.212.xxx.51)

    학교 들어가기전부터 혼자서 그림 믾이 그렸어요
    베끼기,내가 본 사물 기억해내 그리기등등
    배워본적 없었는데 초등학교 입학하고 부터 고딩까지 재능이 뛰어나다 학교대표로 대회나가 상도 많이 탔어요
    관찰력,표현력,창의력이 좀 남달랐던것 같아요
    그리고 미술재능은 타고나는것이 많은것 같아요
    가만둬도 그재능이 튀어 나온다고 할까요

  • 11. ....
    '14.12.31 8:21 PM (211.111.xxx.52)

    재능이 있다면 키워보시는것도
    순수 예술이 아니면 운 좋게 돈 벌곳이 있기도해요
    동생도 어릴때 그림을 참 잘그렸고 지금은 게임회사에서 캐릭터 등 그림 그리고 있는데
    많지도 적지도 않게 벌고 있어요
    아마 조금씩 더 오르지 않을까 싶어요
    더 나은 회사로 이전할때마다 또 오르고요
    뭐든 하려면 정말 확실하게 잘 해야지 밥 벌어 먹고 살더라구요

  • 12. 전공자
    '14.12.31 8:31 PM (182.222.xxx.37)

    관찰력 아주 중요하지요
    저도 그렇게 시작했거든요
    유치원 다닐때 동화책에 있는 그림을 별생각 없이 따라 그렸는데 선생님들이 아주 잘 그렸다고 난리났었어요 그게 제 미술사랑의 시작이었어요 ㅋㅋ
    창의력 물론 중요하지만 처음 시작은 관찰하고 따라그리기 부터 시작되는 경우가 많아요 유심히 보시고 본인이 좋아하면 한번 시켜보세요

  • 13. 관찰하는 힘은
    '14.12.31 10:38 PM (211.108.xxx.186)

    창의력의 기초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53017 탑층사이드집 추위 24 추버추버 2015/01/02 8,317
453016 상해날씨. 미세먼지 엄청 심한가요? 3 .. 2015/01/02 1,641
453015 휴대용 전축이나 턴테이블 구합니다. 3 턴테이블 2015/01/02 1,057
453014 이명박 전 대통령, 4대강 사업 자화자찬 일색…역대 정권 못한 .. 4 세우실 2015/01/02 1,069
453013 세바시 강연-아파트 경비아저씨와 더불어 사는법 2 산사의새벽 2015/01/02 990
453012 우엉차 구입처 소개 좀 부탁드려요 6 겨울 2015/01/02 1,932
453011 새로 부임한 이사님 넘 싫어요ㅜㅜ .... 2015/01/02 1,136
453010 줌인줌 아웃에 사진 어떻게 올리나요? 알려주세요 2015/01/02 629
453009 중학생 되는 아이 미국 혼자 보내는거 정말 안 될까요? 30 .. 2015/01/02 6,411
453008 82쿡에 글쓰면 아이피 뜨는걸로 동네도 알 수 있나요 6 sdf 2015/01/02 1,792
453007 비행기 추락 사고나면 사람들은 어떻게 죽게 되나요 26 ... 2015/01/02 35,361
453006 오븐요리 배울수있는 카페나 블러그 있을까요? 1 ㅇㅇ 2015/01/02 1,443
453005 이토록 아름다운 청년을 보았나 2 새해다 2015/01/02 1,606
453004 무채나 당근채 썰때 필요한 채칼 추천해주세요. 채칼 2015/01/02 743
453003 박원순의 거짓말 6 00 2015/01/02 2,134
453002 어머님들 방학때 애들한테 제일 많이 해주시는 음식이 뭔가요? 8 방학 2015/01/02 2,090
453001 공연이나 연극 영화추천부탁드려요~ 1 팔일오 2015/01/02 820
453000 썸 탔던 남자가 경찰이 됐어요 3 .,,, 2015/01/02 2,347
452999 임이 리를 사귀는이유 6 그이유 2015/01/02 6,028
452998 이 도자기 등, 78만원에 구했다던데, 이태원 어디 가면 이 가.. 2 봄노래 2015/01/02 1,445
452997 2015년 1월 2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세우실 2015/01/02 562
452996 성격이 물러터진 자녀 키우시는 분 1 성격 2015/01/02 1,326
452995 이효리가 올린 사진 한장이 참 이쁘네요 8 참맛 2015/01/02 6,503
452994 요즘 82에서 흔한 막말 뇌속에 뭐가들었냐니 뇌가 청초하니 6 휴... 2015/01/02 897
452993 남편이 자꾸 어지럽대요ㅜ 11 빈혈 2015/01/02 2,9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