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미술에 재능있는 애들은 어려서

sg 조회수 : 5,828
작성일 : 2014-12-31 18:56:17

어떤 모습이나 특징을 보이나요?

굉장히 관찰력이 좋지 않을까 하는데

 

아이가 교과서에 실린 글과 그림을

같이 베겨오라는 숙제에

그림을 정말 교과서랑 똑같이 그려놔서

아이가 집중력과 관찰력이 있나보다 했습니다만..

 

 

IP : 210.220.xxx.113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ㅡㅡ
    '14.12.31 7:02 PM (119.196.xxx.181) - 삭제된댓글

    그냥 그건 테크니컬한 기술이라 눈썰미가 좋고 손이 예민한분들 카피 잘해요.

    솔직히 기술적부분은 기본이고 입시통해 연마되요. 기본이고

    미술할려면 저는 일단 창의성, 사물에 대한 이해도, 감정에 대한 표현력, 수리적 능력도 필요하다 봅니다. 빛에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예술부분..

    솔직히 카피 잘하면 대단해 보이긴 하지만
    그건 미술에 큰요소가 아닙니다. 어떨때 독이되요.

    그냥 단순히 미대보낸다는것과 다른문제입니다.

  • 2. 아무래도
    '14.12.31 7:03 PM (175.208.xxx.242)

    그런 분야를 좋아해서 스스로 즐겨하죠
    우리애는 미술학원에서 좀 소질있다 소리도 듣고
    집에서 찰흙으로 조그만걸 만들어내는데 앙증맞게
    잘 만들어내고 도화지에 뭘 그려대고 그러더라구요.
    결국 그 분야로 공부중이여요.

  • 3. ....
    '14.12.31 7:04 PM (14.46.xxx.209)

    창의성이 더 중요한듯요..똑같이 그리는건 연습하면 됨요

  • 4. ..
    '14.12.31 7:07 PM (211.177.xxx.31)

    잘 카피하는애는 정말 관찰력이 좋은거예요..미술보다는 디자인계통이 더 좋을껄요.. 미술은 창의성이 뛰어나야하구요.

  • 5. 전 그냥그냥
    '14.12.31 7:17 PM (175.192.xxx.3)

    전 어릴 적부터 그림 그리는 걸 좋아했지만 관찰력은 없었어요. 눈썰미도 없고 만드는 것도 못해요.
    창의성도 없고..대회에서 상 받을 실력도 안되었어요.
    다만 그리는 걸 좋아하고 베껴그리는 건 좀 했던 것 같아요.
    친가 쪽으로 다들 그림을 잘 그리고 조각도 잘하는데 전 베끼는 것만..
    미술에 재능있는 것도 여러가지에요.
    현재는 디자인 관련 업종에 종사하고 있고 친척 동생도 그래픽 쪽으로 공부했어요.
    다른 친척들은 평범한 직장 다니고요.
    학교 다니면서 주변에 같이 그림을 좋아하는 친구들도 다 디자인이나 미술과 관련된 일을 하고 있어요.
    만화부터, 메이크업, 아동 의상디자인, 편집디자인, 그래픽 등등등
    다들 그리고 뭘 만드는 걸 좋아하더라구요.

  • 6. .....
    '14.12.31 7:20 PM (220.76.xxx.209)

    똑같이 베끼는 것은 테크닉인데.. 이것도 사실은 중요해요.
    특히나 입시 미술에서 기본 적인 부분 충족할 때는 필요한 부분이죠.
    그런데 전공으로 쭉 할 것 같으면, 창의성과 감각 (센스?) 가 훨씬 더 중요한 것 같아요..
    그리고 사실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궁핌하고 힘들어도 포기하지 않고 계속 하는 것.. 인 듯 해요 ㅠ
    보면 궁핍하고 힘든 나머지, 살면서 다른 길로 변경하는 경우가 대부분 ㅠ

  • 7. 저는
    '14.12.31 7:23 PM (50.183.xxx.105)

    전공자인데 시작하게된 계기가 너무나 재능있다하던 동생의 미술대회에 따라갔다 심심해서 단한번 미술을 배워본적도없는 제가 그림을 그렸는데......동상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놀란 부모님이 동생은 제쳐두고 저를 학원에 보내주시기 시작했죠.
    더 우스운건 제 미술점수가 그 나이까지 매년 미였기에 제 자신도 제가 너무나 그림에 소질이 없다고 생각했습니다.나는 미술을 못하는 아이다라고요.
    자녀분처럼 똑같이 따라그리고 그런거도 못하는 아이였던거죠.

  • 8. 미술재능
    '14.12.31 7:40 PM (222.106.xxx.50)

    미술재능있는 아이들은 일단 관찰력이 좋은건 공통사항이더군요.
    똑같이 기억해서 그리는건 당연히 잘하구요.
    거기에 창의력이 뛰어납니다.
    사물을 볼때 이면을 보는 능력도 있어요.

  • 9. ............
    '14.12.31 8:03 PM (110.47.xxx.142)

    미술재능있는 아이들은 일단 관찰력이 좋은건 공통사항이더군요. 222222222
    흥미있는 건 가까이 다가가서 자세히 관찰해서는 남들이 못보는 것을 찾아내는 능력이 있어요.
    그런데 재능이 있다는 것과 좋아한다는 것은 다른듯 합니다.
    어린이집에 다닐 때부터 이미 동물을 완벽하게 묘사해내던 조카가 있는데, 그림 그리는건 별로 안 좋아해요. ㅠㅠ
    가끔 그려내는 그림이 예사롭지를 않아서 학원도 못보내고 있다고 하데요.
    화가의 길이 쉬운 길도 아니고, 자칫 구태의연한 선생을 만나 재능에 손상이 갈까봐 걱정되는 부분도 있어서 조카가 스스로의 재능을 각성하기 전까지는 그냥 내버려두는 중이라고 합니다.

  • 10. 그림
    '14.12.31 8:13 PM (182.212.xxx.51)

    학교 들어가기전부터 혼자서 그림 믾이 그렸어요
    베끼기,내가 본 사물 기억해내 그리기등등
    배워본적 없었는데 초등학교 입학하고 부터 고딩까지 재능이 뛰어나다 학교대표로 대회나가 상도 많이 탔어요
    관찰력,표현력,창의력이 좀 남달랐던것 같아요
    그리고 미술재능은 타고나는것이 많은것 같아요
    가만둬도 그재능이 튀어 나온다고 할까요

  • 11. ....
    '14.12.31 8:21 PM (211.111.xxx.52)

    재능이 있다면 키워보시는것도
    순수 예술이 아니면 운 좋게 돈 벌곳이 있기도해요
    동생도 어릴때 그림을 참 잘그렸고 지금은 게임회사에서 캐릭터 등 그림 그리고 있는데
    많지도 적지도 않게 벌고 있어요
    아마 조금씩 더 오르지 않을까 싶어요
    더 나은 회사로 이전할때마다 또 오르고요
    뭐든 하려면 정말 확실하게 잘 해야지 밥 벌어 먹고 살더라구요

  • 12. 전공자
    '14.12.31 8:31 PM (182.222.xxx.37)

    관찰력 아주 중요하지요
    저도 그렇게 시작했거든요
    유치원 다닐때 동화책에 있는 그림을 별생각 없이 따라 그렸는데 선생님들이 아주 잘 그렸다고 난리났었어요 그게 제 미술사랑의 시작이었어요 ㅋㅋ
    창의력 물론 중요하지만 처음 시작은 관찰하고 따라그리기 부터 시작되는 경우가 많아요 유심히 보시고 본인이 좋아하면 한번 시켜보세요

  • 13. 관찰하는 힘은
    '14.12.31 10:38 PM (211.108.xxx.186)

    창의력의 기초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52759 왜 낳았냐고 원망할까봐 4 아이 2015/01/01 2,094
452758 전세들어갈 집.. 짐 빼고 나니 벽지에 곰팡이... 집주인이 해.. 3 곰팡이 2015/01/01 4,656
452757 지 뱃속만 편한 큰 아들... 5 ㅠㅠ 2015/01/01 2,781
452756 국민티비 노종면 국장님 제발 돌아와 주세요~ 1 국민티비 2015/01/01 1,590
452755 40중반 아줌씨들 7 ㅁㅇ 2015/01/01 5,334
452754 입시에 대해서 여쭤볼게요. 6 엄마 2015/01/01 1,391
452753 세월호261일) 새해 첫날.. 아직 차갑고 어두운 곳에 계신 분.. 11 bluebe.. 2015/01/01 563
452752 남편이 있어서 좋은 점?? 굳이 이 사람일 필요가??? 13 모르겠다 2015/01/01 3,989
452751 침대사야하는데요. 1 .. 2015/01/01 961
452750 ㅇ ㅎ ㅅ 14 짜증 2015/01/01 2,896
452749 인터넷 보세쇼핑몰에서 오리털패딩 구입하신분 계신가요? 1 지름신 2015/01/01 1,013
452748 중국어학원 추천 부탁드려요 3 궁금이 2015/01/01 1,406
452747 서태지콘서트 다녀왔어요 28 joy 2015/01/01 4,250
452746 명품 가방 좀 추천해주세요. 7 육아맘 2015/01/01 2,558
452745 국가장학금 받을때 공인인증서요 3 .. 2015/01/01 1,498
452744 남대문 아동복 도매/사입에 관해 궁금해요 8 아동복판매 2015/01/01 6,092
452743 제가 심심하니 조카 데려다키우라는 농담하는 시어머니 38 농담? 2015/01/01 14,597
452742 이 식품이 뭘까요? 2 ^^;; 2015/01/01 1,059
452741 양재역쪽에서 아산병원이 먼가요 9 2015/01/01 874
452740 차명계좌관련 9 고민중 2015/01/01 1,639
452739 이름 모르는 한봉지 견과류 찾아요 82쿡 수사.. 2015/01/01 684
452738 불고기 볶은후에 키위 넣어도 될까요 2 불고기 2015/01/01 1,143
452737 이 남자는 저에게 관심이 없다고 봐도 되겠지요? 9 보니 2015/01/01 3,760
452736 광주에서 가족사진 잘 찍는곳 추천해주세요. 3 사진 2015/01/01 1,997
452735 이 여자의 심리 상태는 도대체 뭔가요??? 17 mulzom.. 2015/01/01 5,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