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죽은 줄 알았던 튤립이...

^^ 조회수 : 1,451
작성일 : 2014-12-05 22:54:28

작년에 어쩌다 생긴 튤립 화분이 하나 있어요.

꽃 피우고 나서 금방 시들어버리길래 튤립은 원래 그런가? 아니면 구근에 곰팡이 피기가 쉽다던데 그래서 그러나 하면서 안절부절하다가 그냥 놔뒀거든요. 구근은 그냥 화분 속에 놔두구요.

그런데, 오늘 베란다 화분을 정리하다가... 헉! 싹이 쏘옥 하고 두개나 나 있는 거에요.

화분이라고는 개운죽, 생명력 질긴 허브 같은 것만 키워봐서 튤립에 대해서는 전혀 몰라요.

혹시라도 잘못 될까봐 건드리지는 못하겠고, 지금 따뜻한 실내에 둔 상태에요.

이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지금 상태에서 물주면 계속 자라는건가요? 아니면 다시 추운 베란다고 내놓아야 하나요?

화초 키우기 고수님들, 좀 도와주세요.

IP : 211.208.xxx.32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빵과스프
    '14.12.5 11:31 PM (115.38.xxx.83)

    Tv에서 봤는데 뿌리를 캐서 서늘한 곳에 두고 겨울에 심으면 봄에 싹이나면서 꽃을 피우던데 그냥 흙에 두셔서
    튤립이 봄이 왔다고 착각 한 거 같은데요

  • 2. ...
    '14.12.5 11:33 PM (124.49.xxx.100)

    작년이면 한번 겨울 지난건가요?
    원래 튤립류는 bulb.. 수선화 이런 것들이요
    한해 묵었다가 다시 나거든요.
    시들면 잎 정리한 후 냉장고에 보관하기도 해요..
    그래야 식물이 겨울은 난다고 생각한다나...;;;

    잎 올라왔으니 봄인줄 아나봐요. 잘 키워보세요. ^^

  • 3. 아!!
    '14.12.6 12:08 AM (175.213.xxx.9)

    어머, 칠년전에 작은 책자에서 제비꽃을 냉장고에 두어야 겨울을 난다고 생각한다는 시를 읽은적이 있었어요.
    냉장고와 제비꽃?
    처음 들어보는 말이라 갸웃하다가 시가 워낙 미학적인 부분을 많이 다루고 이해가 쉽게 되지않는 영역이라서 그냥 아름답게 치장한 상상력이 가미된 시인가보다하고 혼자 결론을 내려버렸었어요.
    아..괜히 미안해지네요. 그 시인의 이름도 생각나네요^^
    이래서 82는 제게 소중한 일상의 한 부분인것 같아요.
    이렇게 쉽게 의문점이 풀릴줄 알았다면, 몇달씩 궁금해하지말고 툭! 물어볼것을요.

  • 4. kate
    '14.12.6 9:20 AM (183.100.xxx.125)

    튤립같이 봄에 꽃피는 구근들은 겨울에 찬 곳에 두어야 꽃을 핍니다. 11월말에 땅에 심으면 4월-5월에 꽃피고 꽃지면 다시 캐 놨다가 가을에 심고 그래야 계속 피죠. 베란다에서 싹을 틔웠으면 그냥 베란다에 둬 보세요. 싹이 텄다고 꽃이 핀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튜립이 좀 어려워요.

  • 5. kate
    '14.12.6 9:22 AM (183.100.xxx.125)

    냉장고에 넣는 것은 봄에 캐서 다시 가을에 피게 하고 싶을 때 즉 여름에 하는 방법이에요. 지금은 하지 마세요. 그리고 냉장고에 구근을 넣으려면 냉장고에 야채가 없어야 합니다. 안 그러면 구근에 바이러스인가 뭔가가 옮아서 구근이 죽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44329 박 대통령 ”실세는 청와대 진돗개” 5 세우실 2014/12/07 2,377
444328 전설의마녀 오현경 줄무늬코트 코트 2014/12/07 1,028
444327 결혼 밖 연애하는 사람들은 보통 사람들이 아닌 것 같아요 4 조지루쉬 2014/12/07 2,152
444326 낮에 본 패딩이 눈에 아른거려요 5 2014/12/07 3,004
444325 국민tv 에 관해서 2 뚜벅네 2014/12/07 800
444324 세월호236일) 아홉분의 실종자님들이 가족품에 꼭 돌아오시길.... 8 bluebe.. 2014/12/07 420
444323 조명 잘 아시는분 조언좀주세요 3 잘몰라서요 2014/12/07 1,082
444322 오늘 82느린거죠? 7 저만이러나요.. 2014/12/07 1,367
444321 청와대 출신들, 그들은 왜 대통령과 등을 지게 됐나 3 노비 취급 2014/12/07 1,659
444320 성대 중대 이과논술 합격한 학생은 답 다 맞춘거죠? 1 2014/12/07 2,437
444319 냉동호박 비린내나는데 어떻게 없애죠?? 1 어떡해 2014/12/07 1,182
444318 기사 제대로 쓰는 기자를 본 기분입니다 1 간만에 2014/12/07 1,010
444317 아까 사라진 숭실대 글 무슨 내용인가요? .. 2014/12/07 1,139
444316 봉하.만두요 7 1234 2014/12/07 2,588
444315 초등 3학년 사회 문제에서 1 ?? 2014/12/07 742
444314 히브리인들은 어떻게 이집트의 노예가 되었나요? 29 히브리역사 2014/12/07 8,115
444313 사돈 결혼식 5 빠빠시2 2014/12/07 1,835
444312 일산에 필라테스 하시는 분 계신가요? 1 Laura 2014/12/07 859
444311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법 있나요 6 갉아먹기 2014/12/07 2,269
444310 님들~다시 멸치 어디에서 구매하시나요? 2 멸치?디포리.. 2014/12/07 1,440
444309 내가 아는 사람이 소개팅을 했는데.. 6 레드블루 2014/12/07 3,229
444308 엘지몰 공짜대란 2시간 30분뒤에 끝이나네여 1 할머니 2014/12/07 2,624
444307 영어 어휘 실력을 늘이려고 하는데 6 영어 2014/12/07 1,863
444306 전라도 출신은 고용 안 하겠다는 남양 공업 19 심마니 2014/12/07 5,039
444305 너무너무 아픈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5 아픔 2014/12/07 1,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