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아들이, 원기둥 면적 구하는거 쓸일 있나요? 라고 물어대길래

어제 조회수 : 1,963
작성일 : 2014-11-28 11:13:22
어제 중1아들하고
수학공부 얘기하다가.
아들이 입에 거품 물더군요.
 
"엄마, 원기둥 면적, 삼각뿔 면적....이런거
쓸일 있나요? 이거 왜 배워야 되는지 모르겠어요.
엄마도 한번도 안써봤잖아요.......계속 다다다다 거리길래
 
말 중단 시키고 그랬죠.
"그래,,엄마는 수학,,산수도 잘 못했다.
그래서 지금 산수도 안해도 되는 그런 자리에 있다..."
 
하니까 딴말을 안하더군요 ㅋㅋㅋ
 
그래요..저도 어제 생각한건데
나도 그런거 잘했으면
그런거 써먹을 그런 자리에 있을텐데....싶긴 하더군요.
 
 
IP : 175.121.xxx.67
4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ㅎㅎ
    '14.11.28 11:18 AM (222.109.xxx.167)

    학생 때 미적분 같은 거 배우면서 내가 이걸 배워서 어따 쓰나 불만이 많았는데요.
    이제 그런 거 몰라도 될 나이가 되니까
    예를 들어 우주선이나 그런 복잡한 거 계산하고 설계하고 하는 사람들 보니
    같은 사람으로 태어나서 저 이들은 저쪽으로 두뇌를 쓰는데
    내 두뇌는 요즘 뭐하고 사나?
    그런 생각이 들더라구요.
    다른 거 신경 안쓰고 그런 학문적인 학문을 배워도 될 때
    맘껏 배울 수 있는 것도
    인생에 몇 년 안되는 기회라고 격려해 주세요.ㅎㅎ

  • 2. ...
    '14.11.28 11:30 AM (220.72.xxx.168)

    일단 아드님이 세상을 너무 조금밖에 안살아서 그게 필요없다고 생각하는거죠.
    원기둥 면적 써먹을일 없었나요? 진짜 많은데.... 그걸 안겪어봐서 그렇게 생각할 뿐이죠.
    미적분? 그거 써먹고 사는 직업 가진 분들 생각보다 많아요.
    중고생, 그거 안하면 내가 미래에 진출할 수 있는 분야를 다 잘라버리는 거예요.
    나의 가능성을 축소하는 거죠.

    어머님 말씀이 옳아요. 그거 써먹을 자리에 갈 수가 없는 거예요.
    지금 중학생의 경험으로는 그게 어디 쓰일지 모르는게 당연한데, 그걸 세상의 전부라고 생각하면 곤란하죠.

    단순히 수학을 논리적 사고를 위해서 배운다, 두뇌를 발달시키기 위해 수학을 배운다라는 중학생에게는 정말 뜬구름 잡는 이야기일거예요. 정말 원글님 말씀이 적설적이지만 딱이네요.
    그거 안하면 미래에 네가 선택할 기회가 점점 없어지는거다. 그거 써먹는 쪽으로는 갈 수도 없는 거다, 무섭게 정확한 말이네요.

  • 3. 수학의 목적
    '14.11.28 11:38 AM (14.52.xxx.251)

    초5 우리딸 꿈이 수의사인데, 엊그제 묻더군요. 엄마 수의사가 왜 수학을 잘해야 되냐고.. 무슨 관계가 있냐는데.. 흠.되는대로 횡설수설 설명하다보니... 약 투약이 어쩌고 하면서.. 결국은 수학을 잘해야 되는게 아니라 수학적 사고를 필요로 하게 되는거 라고 하고 하니 끄덕이며, 어느정도 가늠이 되는지 이해 하더군요.

  • 4. ㅇㅇ
    '14.11.28 11:47 AM (115.137.xxx.154) - 삭제된댓글

    예를 들어서 네모난 김치통에서 동그란 김치통으로 김치를 옮겨담는다 치면 원기둥 부피가 밑면 곱하기 높이라는 거 정도는 알아야 두 통 부피가 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 어림할 수 있잖아요. 예전에 미국에서 피자 몇 인치 몇인치 하는데 이 피자가 저 피자의 크기가 몇 배냐하는데 그자리에 있던 나머지 미국애들은 답을 모르고 오히려 맞는 답을 말한 사람을 구박하더래요. 아마도 12인치 피자가 6인치 피자의 두 배라고들 우긴 모양.. 중고등학교 때 배우는 수학은 정말 우리가 의식을 안 하고 안 써먹어서 그렇지 정말 다 써먹고 경영경제 기본이 미적분이라 그거 못하면 대학가서 다시 공부해야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41614 쌀로 만든빵.... 프렌차이즈 아시죠? 맛있나요? 진짜쌀로? 2 ... 2014/11/29 884
441613 예비 중학생 패딩잠바랑 책가방 추천 부탁드립니다. 7 초등졸업선물.. 2014/11/29 9,598
441612 너무하네요. 기둥서방 1 미스테리 2014/11/29 2,398
441611 조리사 실기 인터넷으로 공부할수있는곳있을까요?? 겨울 2014/11/29 502
441610 남편과 싸웠어요 19 스프 2014/11/29 3,464
441609 공부머리에 머리크기 관계있나요? 28 카레라이스 2014/11/29 5,410
441608 커피 하루에 최대 몇잔까지 드셔보셨어요? 6 카페인사랑 2014/11/29 1,804
441607 라메르 써보신분들 16 라메르 2014/11/29 5,053
441606 ㅋㅋ 그네공주도 이제 끝인가봅니다. 18 화무십일홍 2014/11/29 11,249
441605 절임배추로 막김치 3 .... 2014/11/29 1,197
441604 과외강사 해볼까하는데... 1 ... 2014/11/29 1,322
441603 립스틱 잘 지워지는 분들 3 립스틱 2014/11/29 2,136
441602 만원 안준다고 아침밥도 안먹고 나간 중딩어쩔까요? 6 푸르른 2014/11/29 1,922
441601 8대 전문직이 어떤어떤거 말하나요? 16 ..... 2014/11/29 7,202
441600 매운갈비찜 처음 해보는데요..해동은? 1 육식 2014/11/29 548
441599 건조기(의류) 연두(조미료) 액체 세제에 대한 질문 2 겨울 2014/11/29 1,352
441598 너무 오래되어서 못먹게된 김치 버릴 때.. 2 어떻게 2014/11/29 3,960
441597 김장김치 꾹꾹 눌러 담았는데 5 질문 2014/11/29 1,870
441596 아들의 알바얘기 11 아들조아 2014/11/29 3,024
441595 8대 전문직녀 떴네요 4 8대 전문직.. 2014/11/29 4,749
441594 삼시세끼, 꽃보다 청춘 스마트폰으로 보는 법 아시는 분 계세요?.. 9 hey 2014/11/29 2,596
441593 폰으로 라디오 들을때,동작이 중지되는데 해결법은? 1 라디오 2014/11/29 435
441592 무가 얼은게 있는데 버려야 할까요? 2 .... 2014/11/29 979
441591 앨범을 보며 후회되는것 2 우주 2014/11/29 1,186
441590 코스트코LA갈비 2 엄마대신 2014/11/29 1,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