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김장 김치가 물렀어요

쐬주반병 조회수 : 5,889
작성일 : 2014-11-26 17:27:43

이주일 전에 김장한 배추김치가 물렀어요ㅠㅠ

제가 절이고 물기를 뺐고, 시어머니께서 양념을 한 것이거든요.

무엇이 문제였을까요?

 

배추는 직접 배추 농사 짓는 분이 주신 것이고, 같은 배추로 그집도 김장을 했기 때문에 전혀 의심이 가질 않구요.

소금은 제가 신안에서 구입한 2009년산 간수 쏙 빠진 천일염으로 절였습니다.

 

혹시, 배추가 싱겁게 절여지면 김치가 물러질 수도 있을까요?

처음 절여봤어요. 소금 양을 어느 정도 넣어야 할지 몰라서, 알아서 적당히 소금을 넣었거든요.

그리고, 김장 김치가 짜지 않고 좀 싱거운 편이거든요.

통에 넣을 때도 꾹꾹 눌러서 넣고, 위에 비닐로 덮어서 뚜껑 덮었고, 서늘한 곳에 이틀 둔 후에 김치냉장고에 넣었어요.

 

시댁 김치 상태는 어떤지 물어보지 않았어요.

올해 처음 제가 배추를 절였는데..ㅠㅠ

분명히 배추를 잘못 절여서 물렀다고 하실텐데..

원인이 뭘까요?

IP : 115.86.xxx.156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ㅇ.ㅇ
    '14.11.26 5:31 PM (119.70.xxx.180)

    작년에 우리집 김치는 물렀는데 동생네는 괜찮더라고요
    친정서 같이 버무러서 같은날 가지고 왔는데요^^
    시댁김치는 안물렀을수도 있어요
    이유는 왜그런지 저도 모르겠네요

  • 2. 빙그레
    '14.11.26 5:36 PM (223.62.xxx.4)

    저는 20년 넘게 김장했는데
    몇년전에 한번 물렀어요. 항시 하던걸로 했는데~~
    원인 찾지 못했어요.

  • 3. ㅇㅇ
    '14.11.26 5:44 PM (39.115.xxx.183)

    물른 김치는 못먹고 버려야 하나요? 그렇다면 너무 아까운데 ㅠㅠ

  • 4. ㅇㅇㅇ
    '14.11.26 5:48 PM (211.237.xxx.35)

    http://www.kwangju.co.kr/read.php3?aid=1416322800537564127

  • 5. 빙그레
    '14.11.26 5:50 PM (223.62.xxx.20)

    너무 심하면 맛없어 못 먹어요.
    저는 초기에 그러다 더 이상 심해지지 않아 많이 물른것만 버리면서 김치찌게 해 먹었어요.
    초기에 그러다가 그상태로 유지되더군요.

  • 6. 빙그레
    '14.11.26 5:53 PM (223.62.xxx.20)

    저흰 고추가루가 문제는 아니었어요.
    친정엄마가 지금까지 초가을에 고추사다 빠아주시니까요.

  • 7. ㅅㅅㅅ
    '14.11.26 7:56 PM (1.247.xxx.233)

    김장 무르는건 그냥 운인것같아요
    같은 밭에서 뽑은 배추와 같은 소금 같은 양념으로 담은건데도
    한집은 무르고 한 집은 멀쩡한 경우도 있구요
    저는 이십년정도 김장 했는데 두번인가 세번정도 물러서 버린것 같네요
    매번 김장 할때마다 김치 무를까봐 걱정돼
    비싼재료값에 힘들게 담은 1년양식인 김장이 무르면 진짜 속상하죠

  • 8. 하이
    '14.12.11 8:16 PM (220.76.xxx.94)

    나는김장40년한 아줌마요 나는단한번도 김장김치 물러보지안았는데
    왜그럴까요 배추가너무싱겁게 절여지고 간이너무싱거워서 일거예요
    김장김치 물렀다는집보면 김치가 싱겁더라구요 잎파리는짜지만 쭉대기는
    싱거워요 그래서 간을 잘맞추어야실패가 없어요 김장하고 3일후쯤 김치를
    중간에쭉대기를먹어보면 감이와요 그러면 맛있는새우젓갈를 양푼에다김치
    꺼내고 밑에서부터 쭉대기에 새우젓뿌려요 간보고 약간씩 그리고비닐꼭싸서
    공기빼고 묵어두면 김치맛있어져요 김치물러서 어떻해요 속상해서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41052 중1. 댁의 아이들은 몇 시에 자나요? 10 ** 2014/11/27 2,098
441051 계주였던 외숙모 12 10년 2014/11/27 4,903
441050 은행 고정금리 얼마인가요 1 . 2014/11/27 899
441049 정규직 과보호 심각 -최경환 노동자 해고기준 완화 가계부채 천.. 2014/11/27 643
441048 족욕기 추천좀 해주세요... 5 냉동발 -_.. 2014/11/27 3,254
441047 크리스천 분들만..기도에 대해 9 ㅣㅣ 2014/11/27 1,549
441046 날씨가 흐리면 흐린만큼 기분이 따라가요. 3 하늘 2014/11/27 841
441045 느린아이 어찌 키우세요 13 0행복한엄마.. 2014/11/27 4,391
441044 교회에서 결혼식하면 식을 몇분 정도 하나요? 4 ㅈㅇ 2014/11/27 966
441043 아소산 화산 분출 아소산 2014/11/27 1,145
441042 흐물거리고 힘없는 코트.. 2 ㅜㅜ 2014/11/27 1,310
441041 롱 더플코트 9 ... 2014/11/27 1,575
441040 교수들 연구비 횡령하는거 10 하루 이틀 .. 2014/11/27 2,530
441039 블로거찾아서 블로거 2014/11/27 1,580
441038 날짜 지난 도지마롤 몽슈슈. 6 .. 2014/11/27 2,312
441037 키친토크 이벤트가 글쓰기 이벤트인가요.? ㅇㅇㅇ 2014/11/27 735
441036 2014년 11월 27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세우실 2014/11/27 525
441035 어렸을적엔 별로였는데 나이 좀 들면서 좋아하게된 음식이 있으세요.. 6 어쩐지그리움.. 2014/11/27 1,511
441034 김치 담가서 보관할때 어느쪽을 위로 오게 하나요? 6 anab 2014/11/27 1,636
441033 닉네임 변경 신고.^^ 2 동글이 2014/11/27 760
441032 왜 목사 자제들이 유학간다고 하면 81 곱게 안보일.. 2014/11/27 15,799
441031 칸막이 없는 화장실, 男女 함께 대변 보면서… 3 참맛 2014/11/27 2,751
441030 드라마 작가가 되려면 9 ..... 2014/11/27 1,994
441029 공지영씨, “이 아줌마 완전 할렐루야 아줌마네, 그런 손가락질 .. 4 영혼 2014/11/27 4,344
441028 왜 이성민씨에게 완장 찬 돼지라고 했을까요? 16 궁금 2014/11/27 6,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