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진중권의 문화다방에서 언급된 서태지 이야기

... 조회수 : 3,771
작성일 : 2014-11-24 17:14:17

진중권 - 그때 그 시절 얘기 잠깐 얘기 해보자면 서태지와 아이들 1집이 성공한 직후. 소위 주류 언론에서 느닷없이 서태지 죽이기가 시작됐거든요. 지금 들으면 좀 황당한데 당시 분위기는 그랬던거죠. 어떤 상황이었는지 좀 설명해주시죠. 

강헌 - 국회, 지상파 방송사들, 한국 음반산업, 언론 조중동 이런.. 

진중권 - 뭐가 맘에 안들었던 겁니까?

강헌 - 저는 그 한복판에 있었으니까. 아니 인기있는 사람이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거는 이 바닥의 순리인데 왜 그렇게 다들 싫어하는 거지? 저도 정말 그때 궁금했어요. 

진중권 - 사실 어떻게 뒤집어보면 서태지 씨가 그때 뭔갈 건들인 거죠? 확실하게?

강헌 - 영문을 모른채 건드린 거죠. 근데 그렇다고 서태지는 신해철과는 좀 다릅니다. 정말 신해철이 그 당시에는 6촌 동생이란걸 밝히지 않았을때 당시 둘이 활동할때 참 신해철씨 다운 표현을 했어요. 제가 공식 질문으로 한번 물어봤습니다. 신해철 씨 서태지를 어떻게 생각하냐.
 
그때 신해철이 뭐라고했냐면 '그는 거침없는 낙오자다. 그래서 당당하다. 승리를 거둘 자격있다. 나는 그에 비하면 고뇌하는 비겁자수준이다. 그래서 나는 그를 이길수 없고, 그렇지만 작지만 그의 시대에서 나의 영토가 조금은 있다. 왜냐하면 나같은 놈이 많으니까. 근데 그 고뇌하는 비겁자. 이부분 사실은 같은 음악에서도 함축되어있습니다. 사실 그 노래의 메세지에서는 신해철이 훨씬 직설적이죠, 서태지는 직설적으로 뭔가 자신의 노래로 표현하지 않는 스타일입니다. 굉장히 뺑뺑돌리고 꼬고, 솔직히 본인도 무슨 소리인지 알까 싶을 정도로 좀 미궁을 숨겨놓는. 약간 신비주의적인 스타일이라면요. 근데 거꾸로 사회적인, 특히 자신의 개인적 자유와 권리에 대한 부분에 대해서는 서태지는 정말 소위 북공고 야간 1학년 중퇴자다운 거침없음과 단호함이 있어요.

제가 왜 서태지를 상대로 그렇게 다 죽이려고 할까. 특히 기득권층이. 제가 실제로 물어본적이있습니다. 당시 mbc 보도국에서 서태지 죽이기, 서태지를 완전히 파묻으려고 작정한 다큐를 제작했어요, 그 피디가 예능제작국 피디도 아니고 굉장히 진보적인 고발 다큐멘터리를 많이 만드신 분이에요. 제 서울대 선배이고, 근데 이제 죽이는 거만 넣을수 없으니 옹호하는 사람 얘기도 들어봐야하니까 절 부른거에요. 인터뷰 끝나고 개인적으로 물어봤어요. 왜 그렇게 서태지를 싫어하세요? 왜 죽이려고 합니까?' 그랬더니 그분이.. 아직도 귀에 쟁쟁해요.

진중권 - 우리 애들이 걔 닮을까봐 이런건가요? 

강헌 - 아뇨, '새끼가 건방지잖아. 누구때문에 떴는데' 

진중권- 황당하네요 정말

강헌 - 전 등에서 식은땀이 쫙 흘렀습니다. 서태지가 흔히 말하는 메이저 캠퍼스. 우리가 선망하는 대학,  신해철 씨처럼 하다못해 중퇴라도 했거나 그랬더라면 저는 그런 공격을 받지 않았을거라고 생각해요. 

진중권 - 완전히 무시하고. 너 아무것도 아닌 놈인데 우리가 키워줬는데 왜 까불어 이런거군요. 

강헌 - 한국 사회의 상고출신 노무현에 대한 그런 이중적인 스탠스하고도 굉장히 비슷합니다. 그런 그 무시무시한 한국의 기득권 내부에 또아리 틀고있는 편견이.. 굉장히 무엇이 그걸 건드렸나.  왜 그 사람들은 서태지보다 판을 더 많이 판 김건모는 안 건드리고 서태지는 무엇을 건들였는가. 라고 그 방송을 기회로해서 저 나름대로 추적을 해봣어요. 

제가 볼때 서태지가 한 최고의 혁명은요. 대중음악에 통일의 유시를 끌어들이거나 교실이데아란 노래를 만들어서가 아닙니다. 서태지가 한국 대중음악에 끼친 최고의 공헌은 최고의 혁명은요. 뮤지션이 음반 산업의 자본으로부터 독립한 것이에요. 가장 그만의 뻔뻔한 방식으로요, 식민지 시대 이후로 한국의 음반 산업을 지배해왔던 이름바 음반산업의 기존질서를 한번에 붕괴시켰습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조용필의 전성기 80년대에 그 10년간의 음악, 조용필의 1집부터 12집까지의 모든 음악은 누구 소유입니까? 지구레코드 소유입니다. 조용필은 그 최고의 10년을 보낼때도 인세 10원도 받아본적이 없어요. 그 당시 사람들의 생각은 뭐냐면 '야 이거 우리가 키워줘가지고 너가 가수로 데뷔했으니 니가 나한테 고마워해야지. 그래서 너는 나 때문에 유명해졌으니까 밤무대 가서 돈벌면 되잖아. 이게 그 당시의 논리였어요. 

진중권 - 밤무대 뛰어라 이거죠? 니가 알아서 먹어라. 

강헌 - 그렇죠. 근데 조용필처럼 '난 밤무대 뛰기 싫은데?' 그러면 수입이 없는거에요. 사실 조용필은 재산을 크게 가져본 적이 한번도 없습니다. 돈을 가장 많이 벌어야할때 밤무대를 안뛰었기 때문에. 인세는 10원도 받지 못했고. 그러면서 마치 시혜적으로 '그래도 얘가 톱스타인데 차도 한 대 없냐. 야 용필이한테 차 한대 뽑아줘라' 마치 자신의 권리를 시혜처럼! '그래도 아파트는 한채 있어야지? 아파트 한채 뽑아줘. 그래서 그렇게 하사하면 감사히 받겠습니다.' 이런 주인과 노예의 관계로 만들어 놨고. 이 관계를 그 똑똑하신 신해철도 깨트리질 못했어요.
 
자신이 무한궤도로 처음에 프로페셔널 뮤지션이 됐는데 그 판이 그래도 40만장쯤 팔렸는데 사장님이 아무리 시간이 지나도 돈을 줄 생각을 안하더래요. 그래서 이제 나머지 멤버들이 '야 해철아, 그래도 니가 리더고 말도 잘하니까 우리는 언제 인세든 보너스든 받는지 물어봐라.' 했더니 그래서 해철이가 당당하게 기획사 사장한테 가서 저희들 판이 많이 팔린거같은데 저희는 언제 돈을 받게되나요? 했더니 사장이 크게 웃으셨다는. 니가 몰라도 너무 모르는구나. 그래서 아무말 못하고 비겁하게..

진중권 - 그래서 비겁자라는 그 말이구나.

강헌 - 비겁하게 돌아서 나왔습니다. 신해철은 또... 다음, 더 웃긴얘기해드릴까요? (중략) 노찾사 출신 김광석도 2집 사랑했지만이 50만장 넘게 팔렸는데 음반사로부터 받은돈이 총 500만원만 받았습니다. 김광석이 먹고살수있는 돈을 번 것은 학전의 라이브 콘서트, 소극장 콘서트로 벌었지, 이름바 노찾사하고 김광석, 이런 운동권이라고 부르는 집단 조차도 자신의 경제적 권익을 되찾지 못했던 판이 이 판이에요.
 
근데 서태지는 일개 신인 가수 주제에 그냥 내가 곡을 만들고 내가 노래 부르고 춤을 추는데 왜 돈은 니들이 갖고 가세요? 난 그런거 못하겠는데요? 전 제가 한 거 제가 다 먹을거에요. 하고 아무렇지 않게 그냥 갖고 갔어요. 이 서태지의 등장 이후로 사실상 수많은 일종의 봉기가 일어납니다. 그럼 나도. 나도.. 

진중권 - 그럼 일종의 혁명이네요. 

강헌 - 혁명이에요. 

진중권- 가장 유물론 적인 혁명.. 

강헌 - 그 봉기의 시작은 서태지입니다. 물론 그 전에 아예 그 주류 자체를 무시했던 정태춘 형이 있긴하죠.

진중권 - 그분은 약간 아웃사이더로.. 

강헌 - 근데 이제 시장 밖에서 불법시장에서 그 영역을 캐치하신거고. 근데 그 전에 정태춘 형의 그 수많은 히트곡들은 다 지구레코드 소유에요. (중략) 그래서 사실상 대중들은 잘느끼지 못해도, 대중들이야 뭐 똑같은 돈 주고 판 사면 끝나는 것이지 이게 누구한테 어떻게 배분되는지 누구에게 이 음악적 권리가 있는지 알지 못하지않습니까? 제가 알기로는요. 아직도 서태지와 아이들 음반에 대한 판권, 저작권은 당연히 본인에게 있는 거구요. 판권에 대해서 서태지는 그 당시 음반사와 공동으로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

서태지 21살때의 이야기라네요

IP : 106.186.xxx.70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께정이
    '14.11.24 5:29 PM (115.137.xxx.79)

    내것을 내것이라 말하지 못하고, 내것이라 했다고 건방지다는 소리를 들어야 했다니....

  • 2. 서태지가
    '14.11.24 5:33 PM (112.155.xxx.34)

    나긴 났네요

  • 3. ..
    '14.11.24 5:37 PM (222.112.xxx.155)

    스물 한살.....

  • 4. 한국에 희망이 없다
    '14.11.24 5:45 PM (203.145.xxx.12)

    노무현과 서태지는 닮았다...그렇군요..끄덕끄덕..

  • 5. ..
    '14.11.24 5:50 PM (222.112.xxx.155)

    강헌왈, 뮤지션이 음반 산업의 자본으로부터 독립한 거. 이게 서태지의 가장 큰 공..

  • 6. ....
    '14.11.24 5:52 PM (14.53.xxx.216)

    그렇군요.. 끄덕끄덕해지네요. 잘읽었습니다.

  • 7. 결론은
    '14.11.24 5:52 PM (59.7.xxx.217)

    서태지가 짱이다 뭐 이건가

  • 8.
    '14.11.24 6:37 PM (115.145.xxx.124)

    윗님????
    내권리 내가 찾는게 왜 철저히 영악한건가요?????
    왜요???

    님이 회사에서 일하고 월급달라하면 철저하게 영악한건가요????
    그럼 우리나라 근로자는 다 철저히 영악???

    대체 무슨 말을 하시는건지?????

  • 9. 하하
    '14.11.24 6:49 PM (58.237.xxx.37)

    내 권리 정당하게 찾는게 영악? 그냥 노예처럼 주면 주는대로 안주면 안주는대로 굽실굽실 살아야되는건가요...

  • 10. ..
    '14.11.24 7:23 PM (125.185.xxx.9)

    서태지의 음악적 가치 외에도 그가 존중받아야 할 이유들이죠..

  • 11. ...
    '14.11.24 7:50 PM (39.7.xxx.123)

    마왕이 방송에서 서태지한테 어떻게 신인이 그렇게 할 수 있었냐고 물었죠.
    서태지는 자기는 가수를 하려고 해서 가수가 된게 아니라 음악 하다 앨범을 낸 케이스라서 큰 미련도 없었고 어떻게 해서든 음악만 하면 된다고 생각했다고ㅎㅎ
    성격은 여전히 밴드였을때 그 성깔이어서 .. 라는 식의 얘기를 했어요.

    또 다른 인터뷰에서는 선배들이 불평만 하지 자기권리를 주장 안하는 게 이상하다고..
    자기는 후배들을 위해서라도 계속 싸우겠다고 했죠.
    암튼 저때 나는 초딩이었는데 하도 신문에서 서태지를 싸가지 없다고 욕해서 서태지가 나쁜 건가 고민하기도 했어요ㅋㅋㅋㅋ
    그땐 조중동 합세해서 서태지 죽이기 했던 때였나봐요..

  • 12. 우와
    '14.11.24 11:28 PM (59.5.xxx.105)

    댓글 중에서 저런 행동을 영악하다고 하는 사람도 있네요. 정말 놀랐습니다.
    우리 다 월급 받거나, 자영업자들일텐데, 그럼 일 열심히 하고 돈 못받아도 참아야 하나요?
    서태지 씨 어린 나이에 저런 행동을 하다니 정말 대단한 사람이네요.
    자신의 권리 찾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이지 이런 댓글로도 알 수 있지요.
    정작 행동하지 않는 사람들은 옆에서 또 욕하는 사람도 많이 있거든요. 별나다고.

  • 13. rㅡ
    '14.11.25 1:05 AM (122.32.xxx.132)

    정말 노무현대통령과 닮았네요.
    대단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45762 '홀어머니 봉양' 신문배달원 치고 뺑소니 운전자들 검거 3 마니또 2014/12/15 1,167
445761 집에서 스파게티 만들때, 같이 먹으면 좋은음식 추천해주세요~ 20 눈오면추워 2014/12/15 23,130
445760 인강보다는 과외가더낫나요? 4 조언 2014/12/15 2,112
445759 지성 피부용 에어쿠션 추천 부탁드려요 2 지성 2014/12/15 3,883
445758 대한항공 없어져야 될 회사라고 생각하면 과한가요 4 일모도원 2014/12/15 679
445757 부동산전문가님 계신가요? 집 팔까요 둘까요? 4 집팔어말어 2014/12/15 1,997
445756 네스프레소랑 돌체구스토랑 뭘살까요? 9 고민고민 2014/12/15 2,475
445755 콩나물밥 양념장에 파없어도 될까요 7 ㅇㅇ 2014/12/15 895
445754 나이 들면 짜증스러운 성격이 되는 이유가 뭘까요 ? 2 ........ 2014/12/15 1,933
445753 40대 중후반분들 이런 경험 있으세요? 4 나이가 2014/12/15 2,735
445752 박지만 vs 정윤회 11 누가 실세 2014/12/15 2,633
445751 워터파크 이용 후 몸이 가려운데 원인이 뭘까요? 5 바다가취한다.. 2014/12/15 4,975
445750 연탄불앞 믹스커피한잔의 행복이면 됩니다 3 지금이순간 2014/12/15 1,365
445749 골절로 핀 박은거 제거해야 하나요? 8 .. 2014/12/15 9,301
445748 박통 지지율이 30프로대 6 놀랍다 2014/12/15 836
445747 적금은 어디가 좋을까요? 궁금 2014/12/15 556
445746 미생 외국어 21 궁금해요 2014/12/15 5,871
445745 친구야 내가 쫌 더 아프다 7 나도아픈데 2014/12/15 1,567
445744 '삐지다', '구안와사', '굽신' 등 표준어 인정 3 깍뚜기 2014/12/15 960
445743 메리츠실비보험 정말 갱신폭이 엄청나요???ㅠㅠ 9 메리츠 2014/12/15 5,822
445742 대학선택 2 마을 2014/12/15 719
445741 전자렌지 과연 유해할까요? 괜찮을까요? 8 ........ 2014/12/15 2,422
445740 아이 유치원 선택(영유, 일유) 문제...(조언부탁드려요)..!.. 9 갈등 2014/12/15 1,519
445739 요즘은 사람 볼 때 착한 사람이냐보다, 에너지가 있는 사람이냐를.. 10 ........ 2014/12/15 4,370
445738 개 풀어놓고 길냥이 사료 먹이는 견주 8 고민 2014/12/15 7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