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김치 담글때, 배추에 물 완전히 안빼도 되는듯..

물기 조회수 : 2,045
작성일 : 2014-11-21 09:54:43
전에는
인터넷이나 책에서 보고
배추 물기를 몇시간씩이나 완전히 뺏어요.
 
근데 레시피를 살펴보다보면
양념에 미지근한 물 들어가는것도 있고
어떤 나이든 요리사들은
김치 버무렸던 통에 물 한컵넣고 헹궈서
김치통에 부어라...이런것도 있더라구요.
 
또 어떤 이는 배추에서 빠진물
양념할때 넣어라 도 있구요.
 
그래서 이제는
배추 물 30분 정도만 물 빼서
양념해서 넣는데요.
이렇게 완전히 물 안빼도 되는거죠?
IP : 175.121.xxx.98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행복한 집
    '14.11.21 9:56 AM (125.184.xxx.28)

    배추에서 나온 단물이 양념이랑 버무려져서 더 맛있던데요.
    물속에 있는 김치가 더 맛있어요.

  • 2. ㅇㅇㅇ
    '14.11.21 9:58 AM (211.237.xxx.35)

    배추세포속?의 물을 빼내는것과 들어갈 양념에 물을 첨가하는건 다릅니다.
    똥그랑땡할때도 두부의 물은 꽉 짜지만 계란같은 수분을 따로 넣기도 해요.
    만두도 두부의 수분은 꼭 짜지만 물만두를 해먹을때도 있듯이
    배추 자체가 물기가 있는것과 배추는 쫀득한데 양념만 물기가 있는것은 다름
    배추 자체에 물기가 있으면 양념이 잘 안발라지고 겉돌기도 해요.
    김치가 숙성되면서 물러지기도 하고요.

  • 3. 원글
    '14.11.21 10:00 AM (175.121.xxx.98)

    000 님
    그런가요

    제 김치는 특별히 감칠맛 나거나 그런거 없어요.
    단지, 사먹는것보다 낫다는 정도 뿐이죠..

    그래서 그런지 이렇게 해도
    저렇게 해도
    맛 차이를 못느끼겠더라구요....

  • 4. 요건또
    '14.11.21 10:03 AM (182.211.xxx.176)

    저도 이 문제를 고민(?)한 적이 있었는데, 이 모순에 대한 제 생각은, 물기를 빼지 않은 배추에 속을 넣다보면 배추속에 물이 고이기 시작, 중간 이후 부터는 김장속(무채 버무린거) 속에 물기가 너무 많아져서 나중에 속을 넣는 배추들은 고추가루 양이나 소금양이 적절하지 않다는 결론이었습니다.
    그리고 배추에 속을 넣고 배추를 겉잎으로 감싸서 통에 넣어야 하는데 이 때도 물이 많으면 잘 싸지지도 않고 천지에 물 투성이..
    그리고 배추에 물이 많이 고여 잇으면 여전히 삼투압이 진해되어 간이 약해지기 때문에, 맨 마지막 물 헹굼에 소금 간해서 통에 물 붓는 것과는 간이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이상은 올해부터 김장도 안 하기로 한 '안 프로'의 변이었습니다.

  • 5. 경험자
    '14.11.21 10:27 AM (218.236.xxx.211)

    배추씻은 물은 충분히 오래!!! 빼는 게 좋던데요.
    젓갈이나 풀 쑬 때 물이 또 들어가므로
    배추 자체는 충분히 물 뺀 상태로 양념해야 김치가 맛있습니다.
    양념 씻어낸 물은 전 된장찌개 끓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9120 중등대형 영어학원(최선,아발론,토피아, 청담 등) 특징 정리해주.. 2 예비중맘 2014/11/21 9,374
439119 무쇠xx 제품 절대로 구매하지 마세요 7 Puzzle.. 2014/11/21 5,193
439118 오전에 산부인과를 다녀왔는데요... 5 신부인과 2014/11/21 2,323
439117 우울증 약 먹는걸 엄마가 형제들에게 다 말해버렸어요 17 2014/11/21 3,856
439116 나를 찾아줘 보고왔어요 3 .. 2014/11/21 1,567
439115 혹시 에스워머 사용하시는분 계실까요? 2 월동준비 2014/11/21 2,239
439114 급식 중단된 교실..상처받는 아이들 3 샬랄라 2014/11/21 1,822
439113 니트 보풀제거기 추천해주세요 2 정말 잘되는.. 2014/11/21 1,619
439112 도로연수 1 부바탱이 2014/11/21 714
439111 성북구에서 초,중등 아이 키우기 좋은 아파트단지 추천좀 해주세요.. 7 성북구 2014/11/21 3,242
439110 독일로 이민가는 지인 10 .. 2014/11/21 5,835
439109 오세득 셰프는 어떤 사람이예요? 7 오재벌? 2014/11/21 136,766
439108 딸아이의투잡 2014/11/21 1,120
439107 가스 차서 미치겠어요 1 청국장 2014/11/21 1,346
439106 고물상 좀 알려주세요^^ 2 분당지역 2014/11/21 709
439105 무청 그냥 데치기만 해서 얼리면 못 쓸까요? 5 sa 2014/11/21 1,902
439104 [허핑턴포스트] '그만 말하라'고 하지 마라 1 세우실 2014/11/21 733
439103 전현무 라디오 생방송 지각 "깨워줄 사람 없어".. 62 00 2014/11/21 16,692
439102 독신으로 살게 될 상황에 대한 대비? 13 쉽지않네 2014/11/21 3,899
439101 전주 철학관좀 알려주세요 2 부탁 2014/11/21 1,925
439100 숨진 지 한달여만에 발견된 부부..생활고 비관 동반자살 추정 2 삼포세대 2014/11/21 2,981
439099 한~리 독서 논술 괜찮은가요? 광고 아님...ㅜㅜ 3 ... 2014/11/21 1,685
439098 고등어 국산 고등어도 안 되나요? 12 된장 2014/11/21 2,512
439097 학교 도서관에서 책값을 물어내라는데요 8 속상해 2014/11/21 2,318
439096 최철홍씨 사원증 찾아가세요!!! 1 puzzik.. 2014/11/21 1,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