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많은 경험을 해주는거 얼마나 중요할까요?
맞벌이다 보니 솔직히 주말에도 어디 나가기 힘들어서
대부분은 동네 산책이 다입니다..
애도 그냥 저희랑 집에서 노는걸 좋아하는듯해서
장난감이랑 책 갖고 많이 놀아주는데
제친구는 전업주부인데
주말마다 무슨 행사 데리고 다니고
고궁이니 미술관이니 다니고 하더라구요
집에서도 요리 체험 해준다며 같이 여리도 하고
그래서인지
애가 똘똘한듯해보였어요
다른 애들이 모르는것도 잘 알고
그림도 체계적으로 그리구오
그런거 보니 너무 애를 방치하는건가 좀 고민이 됩니다
정말 그렇게 많이 신경쓰고 하는게 큰 차이를 두게 될까요?
지금이라도 좀 편한 직장으로 옮기고 애한테 신경써야 하는건지... 어떻게 생각하세요?
1. 글쎄요
'14.11.9 10:43 PM (222.119.xxx.240)학교 들어가고 나서도 경험은 충분해요
많이 안아주고 독서 많이 시키시고 대화 많이 하고 그러세요 애들 어릴때 뭐 해봤자 기억하는 애들도 있고 못하는 애들도 있는데..못하는 애들이 훨씬 많았어요
확실한건 독서습관만 잡아주고 흥미가지게 하면 정말 계속 편하더군요 경험자들이 많아요^^
주말에라도 전시회나 체험은 할수 있으니까 하시고요2. 아이가 똘똘한거
'14.11.9 10:45 PM (112.165.xxx.25)재능적인 부분이잖아요 재능 이란게 타고 나는 거 있긴 있어요 그거 무시할 순 없고
내 아이 재능을 얼마나 타고 났는지는 이미 태어 났으니 패스하고
그 후 환경적인 부분만 말하자면요
제가 아이 어렸을 때 친구분 처럼 많이 보여 주러 다니고 책도 읽어주고
맛집도 다니고 여하튼 제가 할 수 있는 건 다 해주었답니다
지금 아이가 열살인데요 한개도 기억을 못해요
본인은 다닌 적이 없다고 막 우겨요
하지만 전 알아요 이 아이가 하는 말 , 생각, 표현은 거저 나온 게 아니라는 것을
지나가는 말로 무엇을 봤었고 본인 느낌을 말하면 저 속으로 놀래요
그게 언제 인지 기억을 하니? 라고 말하면 그건 모르겠대요
그게 아마 아이가 3살인가 4살 때 였을 때 인데요
본인은 기억을 못한다지만 무의식 중에 이미 뇌에 박힌 기억을 꺼내 말하는거죠
안좋은 기어들도 다 말해요 엄마 아빠 싸웠고 그런거요
그리고 책을 많이 읽어 주었어요 외출을 못할 시에는요
아이 발달사항에 항상 적혀 있는 말이
'학생이 창의적이며 ...' 이 말이 꼭 나와요
물론 제 아이가 타고난 부분 덕분 일 수도 있지만
저는 그것이 지난 시간 제가 노력하며 보여준 것, 들려준 것, 읽어준 것이 이제사 나오는 게 아닐까 싶어요
지금껏 그 부분들을 게을리 해 본적이 없거든요
같은 또래들 중에 제 아이들 보다 똘똘한 아이들 많이 봅니다만
창의적이다 라고 생각한 아이는 거의 없었어요
제가 노력했던 부분이 컸다 라고 저는 믿습니다
음식도 제가 어려서부터 다른나라 음식을 집에서 많이 만들어 먹였어요
지금도 아이는 타나라 음식에 거부감이 없이 뭐든지 잘 먹어요
이건 식성이 타고난 것이라기 보다는 그것 역시 어려서 오픈되어 훈련된 결과라고 생각해요
이건 약간 다른 말인데 제가 이렇게 했던 이유는요
제가 결혼 전 회사에 있을 때 면접을 보면요
보수적인 집안에서 엄하게 자란 사람들은요 순하게 시키는 일은 성실하게 자랐는데
생각하는 면이나 기타 등등 이 뭐랄까 답답하고 꽉 막힌 기분이 들었어요
하나의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더군요
그런 모습을 보면서 저는 다양한 경험과 개방적인 집안 속에서 자라면
좀 다르게 자랄 수 있을 것이라 믿었어요
부모가 어떤 말을 하고 생활을 하고 어떤 방식의 교육을 하고
그 모든것이 아이에게 도움이 될 것이란 믿음이 있었어요
제가 그렇게 정성을 들이는 이유가 바로 그거랍니다
타고난 부분은 어쩔 수 없지만 후천적으로 내가 긍정적으로 바라는 인간형에
근접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양육하고 있지요3. ,,,
'14.11.9 10:53 PM (14.138.xxx.144)많이 경험해줬는데 5살이전에 다닌 연극 공연 미술관 하나도 기억 못하네요.
완전 돈 낭비인 거죠.
윗님처럼 그런 게 숨어있다가 발현되는 것도 아니고.. 그냥 밖에서 뛰어놀릴걸 그랬어요.
대신 오히려 책 많이 읽은 것은 기억하고요.
7세부터 부지런히 다니셔도 되는데
아이가 좋아하지 않거나 관심없으면 안하셔도 되요.
전 제가 미술관 좋아해서 그렇게 아이를 데리고 다녔건만
지금 젤 싫어하는 게 미술관 관람이에요.ㅠㅠ
좋아하는 게 위주로 차근차근 데리고 다니세요.4. ...
'14.11.9 11:26 PM (124.5.xxx.39)별 도움 안됩니다
그냥 집에서 아이랑 놀아주세요 ㅎ5. 소피친구
'14.11.10 3:25 AM (115.140.xxx.29)연극 공연 미술관은 다니던 아이들이 더 좋아해요. 잘 안가고 어쩌다 학교체험으로 가는 아이들은 별로 좋아하지 않아요. 다니던 아이들은 관람태도도 좋고 집중도 잘 하던데......
번호 | 제목 | 작성자 | 날짜 | 조회 |
---|---|---|---|---|
442087 | 토리버치 전 품목 다 셀 하는건 아니죠? 5 | 여쭤볼께요 | 2014/12/01 | 1,375 |
442086 | 박지만, 정윤회 되치기에 다시 뒤집기 시도? 6 | 멋쟁이 | 2014/12/01 | 2,045 |
442085 | 초5 아들 15 | 나무안녕 | 2014/12/01 | 2,391 |
442084 | 외우는 머리 단련법..ㅠ.ㅠ 3 | 아이고 | 2014/12/01 | 1,287 |
442083 | 엑셀 2010에서 메모도 프린트하는 방법 알려주세요 3 | 부탁드려요 | 2014/12/01 | 1,370 |
442082 | 수원 천천중학교 어때요? 15 | 이사 | 2014/12/01 | 3,038 |
442081 | 우와~~~ 지금 밖에 눈 좀 보세요 10 | ... | 2014/12/01 | 2,476 |
442080 | 반포 래미안 단1건.. 2 | .... | 2014/12/01 | 2,536 |
442079 | 술취한 의사가 3살 아이 턱수술 집도 결국 재수술 4 | 죽은 기자의.. | 2014/12/01 | 2,484 |
442078 | 아래 조선족 얘기 있던데 4 | 외노자 | 2014/12/01 | 1,068 |
442077 | 밴드게시글 검색기능이 없어졌나요? | 특정인의.... | 2014/12/01 | 524 |
442076 | 공동명의와 가등기,선택해야 합니다. 4 | 건물명의 문.. | 2014/12/01 | 1,127 |
442075 | 초.중등 겨울체험 | 메이 | 2014/12/01 | 407 |
442074 | 스커트에 정전기가 일어나요 2 | ㄴㄴ | 2014/12/01 | 1,078 |
442073 | 백화점 쁘렝땅(?)이란 브랜드 왜케 비싸요? 38 | 코트 | 2014/12/01 | 22,538 |
442072 | 콧등이 휘었어요 | 관상 | 2014/12/01 | 514 |
442071 | 겨울나그네=====첫 눈 | // | 2014/12/01 | 492 |
442070 | 버터잔뜩발라 모닝빵구워 아침먹구있어요 3 | ... | 2014/12/01 | 1,709 |
442069 | 임플란트..검진할때 엑스레이사진 받아올수있나요? 1 | 궁금 | 2014/12/01 | 792 |
442068 | 한명숙과 정윤회의 차이점. 14 | 기가막힘 | 2014/12/01 | 2,640 |
442067 | 천안함 잠수함충돌 "명박이 이제 어쩌나" 7 | 사필귀정 | 2014/12/01 | 3,095 |
442066 | 요즘 김건모씨 활동 11 | 궁금 | 2014/12/01 | 2,917 |
442065 | 150일된 아기가 잔기침을 해요 3 | 궁금 | 2014/12/01 | 1,213 |
442064 | 폐경 후 더 예뻐지신 분은 없나요.. 13 | 폐경 | 2014/12/01 | 6,578 |
442063 | 듣다가 눈물 흘리신분 손... | 광화문에서 | 2014/12/01 | 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