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신해철 소장천공 확인안했다기 보다 할수도 없었어요.

ㅇㅇㅇㅇ 조회수 : 3,853
작성일 : 2014-11-03 14:46:38
왜냐면 비절개 내시경으로 했기 때문에
거길 다 볼수가 없는거죠.
대신 비절개로 한다고 안아프고 흉터 안남는다고 선전하고 
나는 실력 좋아서 이렇게 한다 홍보 하는거구요.
열어서 봐야되는 곳은 열어서 봐야되지
비절개도 되는데다가 해야지 되지도 않는데다가 그러구 있었으니.
IP : 218.159.xxx.227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의사과실
    '14.11.3 2:51 PM (183.98.xxx.202)

    의사 가족이고, 지인들 의사 많습니다.
    신해철씨 사망은 다들 의료사고라고 합니다.
    수술후 고열과 통증을 호소한 환자를 의사는 점검하고, 다시 확인해서 통증과 고열의 원인을 찾아야 했습니다.
    수술과정에서 천공이 생긴 건 실수일지라도,외과의사가 수술한 환자의 고통을 다시 살펴보지 않고 진통제만 주사하고, 퇴원시킨건 명백한 의사 과실이고, 무책임한 인간인거지요.

  • 2. 뭥미
    '14.11.3 3:00 PM (115.140.xxx.66)

    강원장 편 들고 싶으심
    좀 그럴 듯하게 편드세요

  • 3. 이런 미친
    '14.11.3 3:03 PM (119.197.xxx.163)

    비만 전문 외과의가 외과 수술하면서 장천공은 기본이다.

    통증으로 입퇴원 반복하고, 게다가 심장이 아프다고 데굴데굴 굴렀으면

    CT찍고 검사하고 진단내렸어야지 뭔 개소리야~

  • 4. 그리고
    '14.11.3 3:04 PM (119.197.xxx.163)

    1cm 천공이면 엑스레이도 나온다.

    검사만해도 봐로 나온걸

  • 5. 어이무
    '14.11.3 3:07 PM (112.155.xxx.34)

    뭐지 이런 어이없는 댓글은

  • 6. ..
    '14.11.3 3:14 PM (222.107.xxx.147)

    저희 엄마가 대장 내시경 검사하다가 내시경 검사중에 떼낼 수 없는 정도로 큰 용종이 발견되서
    다시 날 잡아서 내시경으로 점막하 절제술인가 그걸로 다시 수술했어요.
    그 때 닷새 정도 병원에 입원시키고 날마다 검사하는데
    천공이 혹 생길까 그런다고 했고 엑스레이 찍었어요.
    제가 천공이 엑스레이로 검사가 될까 좀 의문이 생겨서 물어봤더니
    인턴인지 레지던트인지가 설명해줬어요, 그 원리를.
    그 정도면 인턴이나 레지던트도 아는 내용인 거에요.

  • 7. 다들
    '14.11.3 3:33 PM (112.185.xxx.99)

    뭘 어디서 어떻게들어서 이렇게 잘못알고있는건지,,,,
    수술후 천공,,,네 있을수 있어요,운없으면 걸릴수 있지만 신해철씨 천공은 지금돌아가는 상황상 복강경수술도중 났을확률이 거의 100퍼센트구요, 중요한건 대부분의 상식적인 의사는 복강경 수술후 만일의 사고라도 있을까봐 마지막으로 장기손상이나 출혈여부를 내시경카메라라고 하는 360도 회전하는 내시경으로 이곳저곳 다확인하고 마지막으로 상처부위를 봉합하는데 그 살인자놈은 그냥 수술도 대충 끝내버렸고 더 잔인한건 수술후 환자관리,,,그병원 입원실도 있고 의사도 여럿일텐데 도데체 이해가 안가요,수술후 환자는 필수적으로 30분마다 체온 맥박 혈압체체크하고 슈술후 엑스레이도 찍고 그래서 수술전과 비교하면 1센티천공은 당연히 발견할수 있었어요,그런데 그 기본검사조차도 안했다는거에요,수술후에열이난다? 바로 혈액검사해서 백혈구수치 봤으면 바로나오는데 그런 당연히 해야할 기본 처치조차 안했다는거 이건 더이상실수가 아닙니다
    살인이죠

  • 8. dd
    '14.11.3 3:36 PM (124.49.xxx.19) - 삭제된댓글

    얼마전에 티비에 응급환자 다루는 프로를 했는데 어떤 고딩 자전거 타다가 넘어져 배를 부딪혔는데
    아이가 배를 아프다고 하는거에요. 엑스레이로는 조금 하얗게 보이는거말고 별거 없어서 일단 입원했는데
    구토하고 아이는 아파하고,, 결국 천공이 의심되어서 복강경했는데 처음에는 아무리 뒤져도 안나오니
    의사도 쩔쩔매다가 다시 한번 더 해보자 해서 정말 샅샅이 찾으니 겹겹이 쌓인곳에서 천공이 발견
    꿰매고 수술끝났는데 아이는 하루지나니 엄청 멀쩡해졌어요,,찾아요,, 왜 못찾아요..

  • 9. 다들
    '14.11.3 3:36 PM (112.185.xxx.99)

    그리고 엑스레이나 씨티로도 천공을 발견할수 없다는건 그전의 의료기록이 없을때이지 신해철씨는 같은병원에서 수술전검사그록이 다 있으니 전과 비교해서 그정도의 크기는 엑스레이만 봐도 다 알수있어요,

  • 10. 무식한 인간아
    '14.11.3 3:53 PM (203.226.xxx.94)

    의사가 하는 일이 수술만 하는거냐?
    자기가 수술한 환자를 지켜보는것도 의무다. 수술하고나서 입원이란 게 왜있는데 수술끝났으면 퇴원시키면 되지

    수술후 입원해보면 알겠지만 간호사는 30분 내지 1시간 간격으로 혈압. 맥박. 기타 불편사항 체크를 수시로 해 의사에게 전달한다. 수술후 합병증이나 기타 사항을 체킹해야하니까 말이다. 환자가 저리 아프다고 호소하면 한두번이야 그럴수 있다치지만 심장부위가 아프다는데도 아무런 검사도 안하도 체킹도 안했는데 저게 의사냐?

    그래 니말대로 당연히 복강경 시야가 좁아 안보일수 있가 그더 자체를 부인하는게 아니라. 의사들도 그 맹점을 알기에 복강경 수술시 촉각을 곤두세우고 수술후에도 장천공이나 협착에 주의하는게 기본이다 인간아.

    사람이 어디 아파서 병원을 가면 의사들도 자기들이 이론으로 배운 의과공부에 기반해 검사부터 하는게 통과의례다.

    그흔한 ct한장 안찍고 개쓰레기같은 의사를 쉴드를 치다니..무식하면 짜져있어 그냥.

  • 11. ㅇㅇㅇ
    '14.11.3 4:24 PM (218.159.xxx.227)

    애초부터 개복수술을 했어야 하는걸 무리하게 복강경으로 하고 확인도 안해봤다고 말한거구만

    쉴드는 무슨 -_-;

  • 12. 댓글들이
    '14.11.3 4:58 PM (39.117.xxx.200)

    제가 난독증인가요..ㅠㅠ
    원글님 글 내용은 개복으로 했어야 하는부분을 내시경으로 해서 사고가 생겼다.
    내시경으로 수술되는 부분이 아니다. 라고 하시는것 같은데 쉴드라니요.ㅠㅠ

  • 13. 장협착은
    '14.11.3 5:24 PM (203.226.xxx.186)

    복강경으로 더 많이 하고 있는 추세고

    복강경과 개복의 장단점은 이미 다 알려진 상황이라

    이제와서 왜 복강경으로 했냐를 따지는건 의미가 없고

    설사 의사 실수로 복강경으로 해서 장천공이 일어났더라도

    의사는 주의해서 관찰하고 진료해야할 의무가 있은거란다

    이 의사가 방임 은폐 거짓말만 안했어도 장협착 복강경은

    수술중에서 수술축에도 못끼는 수술중 하나로

    죽고말고 말 수술도 아니었다는것.

  • 14. bb
    '14.11.3 5:48 PM (114.206.xxx.68) - 삭제된댓글

    복강경으로 장을 하나하나 들춰가면서 카메라로 다 봐요.
    그래도 이상하면 다시보고 다시보고..그렇게 합니다.
    원글님은 무슨 이상한소리를........

  • 15.
    '14.11.3 7:08 PM (175.196.xxx.147)

    개복이 아닌 비절개 내시경으로 해서 그렇게 됐다고 쳐도 그후 관리가 의도적이었다고 밖에 볼 수 없어요.
    환자가 고통을 호소하고 열까지 오르는 상황이면 적어도 엑스레이나 초음파 씨티 중 어느 하나라도 기본으로 했었어야죠. 피검사 수치만 봐도 알거고요.
    장 수술후 증상이 천공이 의심되는 상황이란건 인턴이나 레지던트도 알만한 수준일텐데 간과하고 그저 자기 허물덮기만 급급했다는게 기가 막힌거죠.
    뭐가 찔리는게 있으니 수습도 못하고 다른 병원으로 보내지도 못했던거고... 아마도 자기 마음대로 수술하다 의료사고 난거 밝혀질까 두려웠는지도 모르고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8367 유럽은 간판없는게 최고 부러워요 39 부럽다 2014/11/23 9,369
438366 영화 '대부' 감상후 심하게 앓이.. 15 브라우니 2014/11/23 3,625
438365 참치통조림 결국 먹지말라는 얘긴가요? 6 궁금이 2014/11/23 4,001
438364 유니클로히트텍사이즈문의 6 히트텍 2014/11/23 5,922
438363 조울증, 치매증상일까요? 4 힘드네요 2014/11/23 2,153
438362 큰방에 티비 쇼파,중간방 부부침실 어떨까요? 2 어떨까 2014/11/23 785
438361 쇼루밍 첫 도전...;;; 2 쇼루밍 2014/11/23 750
438360 제 블로그엔 거의 아무도 안왔어요. 3 거지블로거 2014/11/23 3,024
438359 여자들간의 우정 있다고 생각하세요? 19 ........ 2014/11/23 5,695
438358 아이허브 파우더류도 많이들 구입하시나요? .. 2014/11/23 685
438357 뽁뽁이 어디붙여야하나요? 1 ㅂㅈㄷㄱ 2014/11/23 863
438356 옛날 새롬기술 주식 수익률이 100 배 났다는거 진짠가요? 6 아시는분~!.. 2014/11/23 4,641
438355 이노래가사 노래제목이 뭘까요? 2 궁금 2014/11/23 706
438354 소근육 발달을 위해 꾸준히 할 수 있는건 뭐가 있을까요? 12 어른들 2014/11/23 2,359
438353 루스 파우더 추천 부탁드려요 8 ddd 2014/11/23 2,455
438352 밤에 냉장고에 둔 김밥. 오븐에 데우는게 2 . 2014/11/23 2,304
438351 결혼한지 1년째 되어서야 선물을 주려는데요. 뭐가 좋을까요 5 선물 2014/11/23 1,052
438350 높은 등급 한우 불고기감 .... 3 .. 2014/11/23 1,399
438349 여러분 이멜 답장관련질문이요 1 2014/11/23 365
438348 '유리야 착한척 그만해' 이효리, 성유리에 독설 4 연예대상 2014/11/23 22,581
438347 직수형정수기 추천 좀 부탁드려요 1 ㅇㅇ 2014/11/23 840
438346 집중력이 약하고, 성격급한 아이 어떻게 양육하면 좋을지 조언부탁.. 2 파란하늘 2014/11/23 2,943
438345 블랙 프라이데이때 키친에이드 제빵기(직구) 싸게 살수 있을 까.. 5 ... 2014/11/23 2,446
438344 길냥이들에게 엘라이신 주시는분들 어떻게 급여하시나요 3 순백 2014/11/23 728
438343 12월 한국전쟁설 퍼뜨리는 기독교인들 과연 진짜 일까? 3 호박덩쿨 2014/11/23 1,5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