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고등학교 선택에 도움 간절히 원합니다

무지개 조회수 : 2,460
작성일 : 2014-10-29 20:18:44
아이가 중3이고요 외고나 목동쪽 생각하고 있었는데 오늘 컨설팅 받으니 차라리 일반고 낮은데 가서 1등급 받아 수시로 가라고 조언하네요
고교등급제는 이제 없다고 지균으로 가는게 유리하다고 좋은 학교가서는 수시를 못쓴다고 왜 힘들게 정시로 가려느냐고 하는데 도저히 모르겠어요
아이 대학보내보신 분들 현명한 조언 부탁드립니다
IP : 121.141.xxx.151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맞아요
    '14.10.29 8:29 PM (14.52.xxx.59)

    지금 수시가 자꾸 늘어나는데 전 일반고가 나은것 같아요
    자기 수능성적 딱 놓고 봤을때 외고 자사고 아이들은 수능우선선발로 가야하는데(정시기준)
    일반고 아이들은 수능일반선발에서도 유리해요
    일반고에서 수시로 가는 아이들,외고아이들보다 훨씬 쉽게 스카이급 가요
    중경외시 밑의 급은 내신도 좋아야 하구요

  • 2. 그런데
    '14.10.29 8:56 PM (175.223.xxx.3) - 삭제된댓글

    정시 우선선발은 올해부터 폐지되지 않았나요?
    저도 문과 지망하는 중학생 아들 있는데 어떤 댓글 달리는지 궁금하네요.

  • 3. 무지개
    '14.10.29 9:01 PM (121.141.xxx.151)

    일반고를 보낸다고 할때 목동쪽은 내신 따기가 무척 어려운데 이경우 내신따기 쉬운 주변 일반고가 나을까요? 그런데 이런 고등학교는 분위기가 안좋아서 걱정되고요

  • 4. 트윙클
    '14.10.29 9:22 PM (222.98.xxx.34)

    지금 중3이면 2018년부터 수능영어가 절대평가가 되는게 확실시.
    지금 영어시험이 쉬운 이유는 이렇게 절대평가가 되었을 때를 대비해서 시험하는 중이죠.
    어쨋든 수능 영어 등급 무력화....
    근데 수학도 절대평가나 4-5등급제로 바꾸는 방안을 고려중이란 얘기가 있어요.
    그럼 수학 점수도 유명무실. 정말 수능은 자격시험으로 전환되는거죠.
    그럼 대학에서는 뭘로 아이들을 뽑죠?
    내신은 학교마다 천차만별인거 대학도 알고 고등도 알고 다 아는 사실.
    대학이 누굴 뽑고싶어할까 생각해보세요.
    내신 따기 쉬운 학교라는건 쉬운 만큼 함정이 있어요. 그 학교가 그렇다는거 대학도 다 알아요.
    그리고 수시 준비는 혼자 하는게 아니고 학교에서 많이 기획해줘야 하는거예요.
    생기부에 외부상은 아예 못올리고 교내 스펙만 기록가능한데
    수시 결과가 좋은 특목 등을 자세히 보면 생기부 기록을 풍성하게 해주는 그 무엇인가가 있어요;;;
    결론은~전교1등 가능하면 반드시 일반고.(좀 안좋은 학교라도)
    특목이나 자사 가서 어느 정도 상위권 안에 들 수 있다면 그 곳으로~
    이도저도 아니면 곰곰히 더 생각해야죠.
    어떤 선택을 하건 가보지 않은 길에 대한 후회는 따라오는것 같아요.

  • 5. 그런가요?
    '14.10.29 9:57 PM (175.223.xxx.3) - 삭제된댓글

    전교 1등 가능하면 무조건 일반고인가요?
    문과는 평범한 일반고에서 스카이 가기가 너무 어려운 것 같던데...
    마음이 계속 왔다갔다 하네요. ㅠ

  • 6. 원글님 아이
    '14.10.29 10:02 PM (14.52.xxx.59)

    수준을 모르니까 대강만 말씀드리자면...
    외고에서 수학을 잘하면 정시까지 바라보구요
    영어만 잘하면 죽으나사나 영어로 가야해요
    정시하는 애들이 수시에서 논술을 쓸거구요
    일반고 최상위는 외고에 없는 지균 기균 학교장추천 전형에 입사관까지 가능해요
    외고는 영어특기 정도입니다
    이 일반고 지균 기균 학추 입사전형은 최저도 아주 낮던가 없던가해서
    들어가면 차이가 나네,뭐 말도 많고 탈도 많은 전형이지만
    이걸 이용하면 정시로 못 바라볼 대학을 갈수 있는게 장점이죠
    그리고 최상위가 아니라 인서울을 바라볼 정도라면 중경외시 정도까지는 논술전형에서 내신 4등급 정도까지는 감점이 적어요
    근데 그 밑의 대학은 감점폭이 아주 큽니다
    논술 일반선발이나 정시 일반선발에서도 마찬가지죠(이건 해마다 전형이 좀 달라지고 서울대도 정시에선 내신을 안보는걸로 바뀌고 있긴 합니다)
    외고생들이 제일 많이 가는 학교가 이대 성대라는건 그 학교에 영특/글로벌전형이 많기도 하고
    중경외시 밑의 학교에 외고생이 없는건 내신때문에 쓸수가 없어서 그런것도 있어요
    외고에서도 하위권 애들은 그정도 수능점수 나오거든요,근데 내신땜에 가기 힘들어요
    아이 성적과 성향 잘 보시고,,일반고 1등도 사실 쉬운게 아니니까 심사숙고 하시기 바랍니다

  • 7. 윗님.
    '14.10.29 10:07 PM (222.98.xxx.34)

    전1이면 일단 서울대 지균 쓸 수 있잖아요.
    근데 3년 내내 전1 유지하기가 또 쉬운 일은 아니죠.
    게다가 문과면..수업 분위기 안좋은거 더 감안하셔야 해요.ㅠㅠ
    학군이 어디건 수능 전날까지도 시끌벅적하다는 얘기 있어요.
    문과,이과 정해진 상태면 그 고등학교에 문과 인원이 총 몇명인지도 보셔야 해요.
    학교에 따라 문과가 많은 학교가 있고 이과가 많은 학교가 있는데
    아무래도 인원수가 많은게 등급 따기 훨 유리하죠.

  • 8. 제가
    '14.10.29 10:38 PM (175.223.xxx.3) - 삭제된댓글

    원글님 덕분에 덩달아 조언을 얻네요.
    그런데 사실 최근의 수시 경향은 학생부종합이 많아지면서 특목/자사에 유리해지는 것 같기도 해서요.
    지균 얘기를 많이 하지만 지균 경쟁률도 꽤 높고 결국 입학사정관제라서
    학교에서 생기부 관리가 안 되는 일반고 출신은 합격이 쉽지 않다고들 하구요.
    숫자상의 내신 등급이 좀 낮아도 학군 좋은 곳의 아이들을 먼저 뽑으니까요.
    정시도 내신을 안 보는 방향으로 움직이면 특목/자사가 더 유리해지는 방향으로 가는 느낌이에요.
    제 생각이 틀린 걸까요? 판단이 참 어렵네요.

  • 9. 무지개
    '14.10.29 10:41 PM (121.141.xxx.151)

    관심가져주시고 좋은 댓글 정말 감사합니다

  • 10. ...
    '14.10.29 11:03 PM (221.162.xxx.44)

    좋은 정보 고맙습니다

  • 11. 하늘하늘
    '14.10.29 11:08 PM (59.3.xxx.159)

    고맙습니다.

  • 12. 저도
    '14.10.29 11:52 PM (175.197.xxx.151)

    저장. . .

  • 13. ..
    '14.10.30 12:01 AM (211.49.xxx.251)

    그런데 아이가 고등가서 전교1등하라라는 보장있나요? 인무리 후진학교라도 최상위권은 만만치않아요.3년 내내 전교1등해서 지균받는다는 것은 어떻게 확신하는지

  • 14. 나무
    '14.10.30 12:09 AM (110.13.xxx.216)

    저장합니다

  • 15. ..
    '14.10.30 12:27 AM (58.123.xxx.213)

    일반고냐,자사고 정말 어렵죠.

  • 16. ..
    '14.10.30 1:37 AM (116.124.xxx.3)

    저도 중3맘 저장합니다

  • 17. +
    '14.10.30 3:16 AM (59.20.xxx.46)

    고교 선택은 아이 성향이 중요한 듯 해요.
    먼저 아이가 원하는 길, 아이의 의지에 대해 잘 얘기 나눠보세요.

  • 18. **
    '14.10.30 8:49 AM (119.67.xxx.75)

    잘 봤습니다.

  • 19. 000
    '14.10.30 9:45 AM (218.232.xxx.10)

    일반고 vs. 자사고 메모합니다,

  • 20. ....
    '15.1.8 9:54 PM (112.149.xxx.152)

    저장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7902 GS25 가면 허니버터칩 살 수 있습니까? 26 궁금 2014/11/21 3,891
437901 김범수씨와 안문숙씨에 대해 12 사랑의 완성.. 2014/11/21 6,763
437900 김치가 너무 빨갛지가 않아요.. 3 나비잠 2014/11/21 1,035
437899 일본식 버터 설탕 토스트 때문에 미치겠어요. 74 아흑 2014/11/21 20,250
437898 결혼생활 불행하면 심장병 위험 증가한다 샬랄라 2014/11/21 611
437897 연예인 2세들 잇달아 광고모델 나선다. 5 블랙야크 2014/11/21 1,942
437896 둘째 출산후 4개월. 안아픈데가 없는데 뭘하면좋을까요? 2 예쁜홍이 2014/11/21 1,261
437895 그냥 마음이 외로운지 어떤 사람이 좋아졌어요. 4 자유 2014/11/21 1,360
437894 초등입학아이들과 남편있는 시골에서 1년살다가 전학오는거 어떨까요.. 6 고민 2014/11/21 949
437893 배추김치 위에잎파리만 담가두 맛있을까요? 5 요리초보 2014/11/21 789
437892 소크라테스나 강태공의 부인이 악처라고 생각 안해요 여자 2014/11/21 1,038
437891 영어 필기체 배우기와 사용 12 명필 2014/11/21 3,427
437890 나에게 주는 선물-pt, 어떻게 하면 잘 받을까요? 3 결심 2014/11/21 1,377
437889 진한컬러 왁싱후... 2 왕 스트레스.. 2014/11/21 1,016
437888 말'뽄새' 라는 단어가 언제부터 쓰였나요? 12 2014/11/21 3,959
437887 vince에서 옷을 3개나 샀어요. 8 Vince 2014/11/21 2,634
437886 쌍용차 22번째 죽음 쓸쓸한 뒷 이야기 4 슬프네요. 2014/11/21 958
437885 이별통보 여친 살해, 여친 애완견까지 세탁기 넣어 죽여 6 참맛 2014/11/21 3,626
437884 "내 새끼 사랑해"... 서울시 세월호 기억공.. 5 샬랄라 2014/11/21 1,011
437883 알리 익스프레스에서 마카롱 상자 사려고 합니다 2 포장 고민.. 2014/11/21 715
437882 내년에 금리 오르면 돈떼이는 사람 많을것 같아요 4 깡통전세 2014/11/21 3,490
437881 급질/ 절인배추 20킬로그램에 까나리 액젓 얼마나 넣을까요? 23 아아 2014/11/21 3,601
437880 20대후반 옷은제평 몇층가야하나요? 4 모모 2014/11/21 1,075
437879 큰글씨 달력 (어르신달력) 3 0000 2014/11/21 970
437878 무국요 소고기 없이 무만 해도 15 카라 2014/11/21 3,7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