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한지는 단순한 종이가 아니다.

스윗길 조회수 : 867
작성일 : 2014-10-18 19:04:11

한지는 단순한 종이가 아니다.

 

“한지는 단순한 종이가 아닙니다. 우리의 생활이죠.”

 

‘지천년견오백’이란 말이 있다. 종이는 천 년을 가고 비단은 오백 년을 간다는 의미로 한지의 숨결이 약 천 년을 이어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천 년이란 시간은 단순히 한지의 수명만을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다. 천 년의 세월을 담아내는 한지는 과거로부터 현재 또는 현재로부터 미래를 이어주는 기록문화유산으로서 선조들의 숨결을 보존하고 후대에 알리는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한지는 겨레의 과학입니다. 요즘 컴퓨터나 휴대폰의 발달로 종이의 가치가 떨어진다고 하지만 한지는 기록 문화로써 보존 가치가 컴퓨터 그 이상입니다. 컴퓨터나 USB, CD 등의 기록이 천 년을 갈 수 있다고 장담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한지는 이미 천 년의 세월을 견디며 후대에 그 기록을 알리고 있죠.”

 

천 년을 곁에서 지켜봐온 것은 아니지만 우리의 역사적 사료들이 한지의 우수성을 증명해주고 있다. 그 중 세계 최고(最古)의 목판 인쇄본인 ‘무구광정대다라니경(국보 제126호)’은 통일신라 751년경(경덕왕 10)에 제작된 것으로서 한지에 인쇄돼 그 내용이 현재까지 보존되고 있으니 과연 천년종이 한지의 위력이 아닌가.

 

천년종이는 하늘이 내린다고 한다. 보이는 한지가 그저 종이 한 장이 아닌 것이다. 천년종이는 과학적 원리가 내재돼 있으며 만드는 사람의 정성과 양심, 자연의 청정함이 고루 배어졌을 때 비로소 탄생하게 된다.

 

섬유질이 조밀하고 견고한 참닥나무를 주 원료로 제작한 한지는 내구성이 강하고 질겨 보존능력이 뛰어나다. 그런 까닭에 왕실이나 중국에서는 보물급 내용을 기록해 보관할 때 한지를 사용해왔다. 하지만 한지의 우수성은 중국이나 일본 화지의 홍보에 밀려 세계에 널리 알려지지 못해 그 아쉬움이 크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 벗고 노력하고 있는 이가 있어 그를 만나보았다...

 

출처: 역사와 문화를 깨우는 글마루 10월호

 

 

IP : 122.128.xxx.53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호수풍경
    '14.10.18 8:31 PM (124.28.xxx.228)

    한지공예 잠깐 했었는데...
    공장에서 대량으로 만든 한지랑 전통한지랑...
    정말 달라요...
    뭔가 깊이 있고 진중한 멋이 있죠...
    두툼해서 과연 붙을까 싶은데 아주 튼튼하게 잘 붙어서 신기하기도 했구요...
    가격도 거의 10배 차이고요 -.-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30218 이불 뭐 쓰시나요? 추워요 7 이불 2014/10/23 2,180
430217 구스이불 사려고하는데 벌레생기진 않죠? 1 구스 2014/10/23 1,515
430216 냉동도 가능? 젓갈 만들기.. 2014/10/23 471
430215 신해철씨 1차 수술받았던 S병원 34 의혹 2014/10/23 44,626
430214 패키지 해외여행가면 돈 쓸 일이 별로 없죠? 8 환전 2014/10/23 2,376
430213 상체가 아파요, 어떤 병원 가야하나요? 욱신 2014/10/23 846
430212 시장에서 산 따뜻한 두부 먹으려면 다시 삶아야하나요... 14 화양연화 2014/10/23 3,787
430211 앞으로 월세 시대가 온다면 집을 사는게 나을까요? 10 dma 2014/10/23 3,111
430210 발이 차고 시려우신 분들 집에서 뭐 신고 계세요? 15 //// 2014/10/23 2,839
430209 칼 말인데요.. 1 대장간 2014/10/23 811
430208 교원평가 선생님이 누구엄마가 했는지 아시나요? 5 ... 2014/10/23 1,759
430207 나이로 제한안두는 직업이나 직장이 5 as 2014/10/23 1,441
430206 반전세인 경우 부동산 수수료는? 2 수수료 2014/10/23 1,022
430205 사먹는 군고구마맛이 안나요 8 집고구마 2014/10/23 1,744
430204 고등 아이 동복 재킷 하나 더 사고 싶은데 3 장미 2014/10/23 734
430203 잠원동 사시는 분.. 장은 어디서 보시나요? 7 잠시 익명 2014/10/23 2,724
430202 월세 시대? 7 .. 2014/10/23 1,689
430201 율로 시작되는 여아 이름요~ 33 ᆞᆞ 2014/10/23 5,023
430200 볼거리(질병)로 학교안가는 고3 . . 2 아랫동네 2014/10/23 1,101
430199 오피스텔도 아파트처럼 2 그만자자 2014/10/23 1,352
430198 대추차 많이 만들어 보관해먹어도 안상할까요? 3 차 만들었어.. 2014/10/23 2,175
430197 10월25일 만기예금을 11월 만기적금 탈 때 가서 처리해도 되.. 8 두야~ 2014/10/23 1,694
430196 네살터울 남자아이들 2층침대 사줘야할지요? 8 홍당무 2014/10/23 1,312
430195 지금너무가슴이 설레요 7 모모 2014/10/23 2,294
430194 가지밥 계속 밥통에 두어도 되나요? 6 궁금해요 2014/10/23 1,6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