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대출관련 저도 한번..

저도 조회수 : 1,617
작성일 : 2014-10-08 00:10:27
각 가정사정마다 다르고 수치로 어떻게 장기적인 가정경제 판단이 될수 있나 싶은데

그럼에도 여기 종종 올라오는 주택담보대출에 대한 의견 저도 살짝 참고하고 싶어서요.

저흰 맞벌이 6세딸 하나
세후 월550정도 600은 안되구요.
급여는 둘다 많이 오르는쪽 아니고 성과급 등 전혀없구요.

현재 1억오천 전세 사는데(25평, 10년 정도아파트)

2억9천 정도(28평 신규분양, 프리미엄포함, 세대가 200세대도 안되네요
단 주변이 좀 비싼 아파트 많고 바로 옆 단지들이 대단지 입니다. 비슷한 평형 십년된 아파트가 신규분양 아파트와 시세 비슷합니다.)

8천정도 주택금융공사 15년 3.55 고정금리로 하면 너무 무리인가요? 저희는 앞으로 금리가 오를가능성 클것같아 15년 고정금리가 메리트 있어보이는데 잘못된 판단인지..
시댁에서 아이를 봐주셔야해서 비용이 들게 될것같구요.
그리고 차가 낡아 주택담보 이천을 더 빌려 이참에 차도 바꿀지 생각하는데 그러면 1억이네요 ㅜㅜ
계산으론 70만원 좀넘더라구요.
감당할수 있겟다 싶어 마음먹다가도
참 겁없네 싶고 갈팡질팡이네요.

여러분 보시기엔 어떤가요?
IP : 175.223.xxx.175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10.8 12:22 AM (112.152.xxx.230)

    사실 여기는, 아니 여기 아니라도
    요즘은 대출 낀 주택구입을 다들 말리는 추세긴 하지만
    아이 어린데 비하면 소득은 괜찮은 편이신 것 같고
    8천 고정금리 3.55면 문외한이지만 나쁘진 않은 것 같고
    사실 15년 대출이라도 중간 상환하시거나
    대출기간을 줄일 수도 있으니
    내집에 살 수 있다는 장점을 크게 보신다면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전세 살면서 이사 다니는 스트레스도 만만치 않고요
    완전 긴축해서 10년씩 살만큼 자기 관리가 가능하시다면 모를까
    저 같으면 그냥 대출 받아 살 것 같습니다
    집도 돈도 소중하지만
    나도 소중하고 내인생은 한 번이니까요

  • 2. 저도
    '14.10.8 12:42 AM (182.226.xxx.58)

    전세만 살자 그런 주의였어요.
    그런데 3년전 마음에 드는 집 있어서 대출이고 뭐고 그냥 사버렸네요.
    지금은 너무 좋아요.
    원글님 경제 사정과 비슷한 정도구요.
    저희는 원글님보다 초반 대출 더 받고 이자도 높았어요.
    지금은 대출 갈아타서 싸구요.
    1년에 1-2천씩 중도상환 하며 원금 갚아 나가고 있는데 너무 갚으니까..
    세금 환급이 잘 안되어서 오히려 천천히 갚는 중이에요.
    일단 거치기간 설정하시고 이자만 내다보면 원금 회수율이 더 빨라질 수도 있어요.
    지금은 시중 은행들도 5년 거치 고정으로 가도 3%대 초반이구요.
    원금과 원리금 회수 조건으로 15년, 30년 그런거 이자가 따따블 되어 손해보는 장사더군요.
    거치 잡고 5년 살면서 저축해서 목돈으로 갚아나가세요

  • 3. 원글
    '14.10.8 1:07 AM (175.223.xxx.175)

    원금균등상환(첨부터 이자를 함께 갚는방식, 초기부담큰) 이 오히려 이자를 많이내나요??
    인터넷 검색은 대출받는 입장에서 제일 낫다던데.
    잘못 알고있는건가요

    주택금융공사 유보금자리론도 3년지나면 중도상환수수료 없더라구요
    자격갖추면 연 1500만원 공제도 되어
    금리인하효과도 있는거같고..
    경험이 없어 글로만 보곤 감이안오네요

  • 4. 원글
    '14.10.8 1:12 AM (175.223.xxx.175)

    첫댓글님.
    저도 2년마다 전세 이사다니는거 너무 서러워서
    지르려하는데
    소심하기도 하여 갈팡질팡이네요.

  • 5. ..
    '14.10.8 1:17 AM (112.152.xxx.230)

    저는 이제 자격이 안돼서 소득 공제 못받지만
    주택자금 상환 소득공제도 있구요
    일단 시작하고 나서 천천히 알아보시고
    대출조건을 바꾸는 것도 좋습니다
    첨부터 다 완벽하게 알 수는 없지요
    급한 거 대충 정리하고 나면
    중도상환도 하게 되고 대출기간도 줄이게 되고 뭐
    그때가서 따져 보세요
    당장은 이걸 받아서 살건지 결정하시구요
    숫자로 따져 최선인 것도 있고
    내마음이 좀더 편해서 최선인 것도 있구요
    제생각은 그정도면 어떻게 하든 크게 무리는 없다고 봅니다

  • 6. ..
    '14.10.8 1:19 AM (112.152.xxx.230)

    보통 초기 조건을 정하는 건
    당장의 대출금 상환능력에 맞추는게 일반적입니다
    그다음에 능력에 맞춰서 바꾸면 되죠
    2~3년쯤 후에

  • 7. 그냥 경험
    '14.10.8 1:35 AM (182.226.xxx.58)

    대출 할때 15년이나 30년 원금상환이나 원리금균등상환 설정은 합니다.
    그런데 그걸 그대로 적용하여 원금과 이자를 함께 갚아나가면 오히려 더 빨리 못 갚더군요.
    15년 30년 노예 된 기분이랄까..

    그래서 대출 받을때 30년 원리금상환은 설정으로만 해 놓고
    거치기간을 마련합니다. 거의 5년이 최대에요.
    거치기간이란 원금을 안 갚고 이자만 내는 기간이에요.

    은행마다 다른데 해마다 대출금의 10-30% 갚는 것은 상환수수료 적용 안합니다.
    그러니까 내가 1억을 대출 받으면 1년에 10% 1천만원 갚는 것에 대해서는 상환수수료가 없어요.
    이자만 물게 되니까 거의 30만원대로 매달 내게 되겠죠.
    그런데 이거 월세처럼 아깝게 생각하지 마시고
    12개월로 계산해도 이사비나 복비는 빠지고 내집이니 내 마음대로 살 권리를 누리는구나 생각하면
    그리 아깝다는 생각 안들더군요.

    대신 목돈 틈틈히 모아서 원금 갚을 수 있을만큼 최대한 갚으시구요.
    5년 거치 기간 거의 끝나갈때 다른 은행 이자율이 좋으면 갈아타는 방법이 있어요.
    저는 오히려 금리가 점점 내려갈꺼라 보고 있습니다.
    그럼 상환수수료 -거의 7-80 내고 대출 은행을 바꾼 후 다시 거치기간 5년 설정 합니다.

    제동생 같은 경우 5년전 국가에서 하는 모기지론 하다가 이번에 은행으로 갈아탔는데
    저와 비교해 보니 손해가 크더군요.
    국가에서 하는 것이라고 다 좋지는 않아요.

    윗분 말씀대로 당시 당시 상황에 맞춰서 은행권 대출도 알아보세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1764538 초딩 때 인기투표 1등이 기억에 남네요 10:04:00 4
1764537 금시장 왜저래요? 오늘 10:03:42 36
1764536 수영하시는 분들, 샴푸나 샤워제품 추천 부탁드려요 주니 09:57:35 40
1764535 제 주식은 어쩜 다 못가는것만 있네요 3 ..... 09:57:17 230
1764534 애호박을 24개를 구입했는데, 어떻게 다 소비할까요 6 .. 09:54:22 324
1764533 세스코 불러보신분.(살려주세요. ㅠㅠ) 2 .. 09:53:24 131
1764532 40대에게 천천히 걷기 효과? 2 .. 09:52:44 257
1764531 어제의 여파가... 1 주식 09:51:30 187
1764530 음식에 넣는 액젓 어떤게 제일 좋던가요? 4 액젓 09:50:39 182
1764529 강서구 우정산역? 그쪽 아파트가 생각보다 비싼 이유가?? 11 ㅇㅇㅇ 09:50:26 248
1764528 이쯤되니 잼있네요 6 부동산 09:50:20 288
1764527 주식 수익 많이 나는 법 알려주세요 4 .... 09:50:10 315
1764526 유엔, 5개월 전 한국에 "동남아 스캠단지 긴급조치 필.. 덕수상목뭐함.. 09:47:33 300
1764525 20기 광수가 멋졌는데 이제 28기 광수가 젤 멋지네요 8 ㅇㅇ 09:45:07 397
1764524 1차 제균 성공 .. 09:41:58 218
1764523 무말랭이 무침 하려고 하는데요. 1 무말랭이 09:39:38 101
1764522 중년여성 타겟으로 면전에 대고 4 신경질나네 09:39:37 716
1764521 미국주식을 추천받아 사봤는데요 6 .. 09:38:43 692
1764520 거짓에 현혹되지 않으려면… “자신을 교육하고 토론하라” 1 ㅇㅇ 09:36:22 154
1764519 현대차 기다린 보람이있네용 5 09:35:54 601
1764518 삼성전자(우)는 왜 이럴까요? 6 .. 09:33:19 616
1764517 코스피 3700 넘음...캬... 19 .. 09:30:36 839
1764516 코스피 3700을 넘는 날을 다 보네요. 6 ... 09:29:32 504
1764515 코다리 요리 전에 물에 푹 불리나요 2 코다리 09:21:53 211
1764514 칼국수에 미역이 들어가네요; 6 칼국수 09:21:47 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