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Banner

한국학생들이 아이비리그 가는경우 졸업하기 힘든가요?

40프로? 조회수 : 6,344
작성일 : 2014-09-06 10:58:23

민사, 대원 졸업한 한국학생들도 아이비리그 가면 졸업하는 경우가 40프로 밖에 안된다고 들었어요.

그것도 6~7년이나 걸려서요.

그래서 다시 한국 대학으로 오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그런가요?

그리고 학비가 연 7천정도라고 하는데

열심히 해서 40프로 안에 든다고 해도

학비를 거의 4억 5천정도 잡아야 하는 거네요.

IP : 114.206.xxx.2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9.6 11:10 AM (14.52.xxx.143)

    그 조사 군대나 타국으로 교환가서 본교 휴학한애들까지 통계잡고 조사한거라 완전 후루꾸에요. 아이비 간 한국인들 다 4,5년내에 졸업 잘만 합니다. ap로 도배해서 입학한애들은 조기졸업도하고요. 일단 아이비를 입학했다는건 거길 따라가고 졸업할 카파도 된단 얘기에요.

  • 2. ㅇㅇ
    '14.9.6 11:11 AM (115.136.xxx.31)

    저희 아이가 지금 외국인학교 다니면서 대학 준비 중인데요..영어 완벽하고 미국 문화권에서 공부하던 애들도 백인 많은 학교 가면 처음에는 좀 힘들어해요...
    그런데 민사 대원애들은 당연히 더 힘들거에요..
    그리고 일단 아이비 등 사람학교들은 정원이 많지 않은 관계로 수업 싸이즈가 작아요...주로 20명에서 그 이하의 숫자로 수업을 하는거죠..
    교수랑 계속 눈 맞추고 서로 토론해가면서 수업하는데 영어만 잘한다고 해결이 안되요..
    중간 중간 유머 섞인 소리도 해야되고 즉각 반응도 해야 되고...한마디로 썰을 잘 풀어야 되요..
    미국애들이 머리에 정보가 많지 않아도 썰을 잘 푸는데 한국 애들은 아는게 많아도 썰을 못푸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그리고 미국식 유머 감각 .....이거 없으면 학교 생활 죽음...

    저 아는 애(외국인학교 졸업) 노트르담 갔는데 외고에서 온 애는 결국 그런 분위기에 못 이겨서 휴학하고 군대갔다고 하더라고요 .
    그리고 미국 대학이 공부양이 후덜덜 ...엄청난 양의 라이팅 숙제...토론 토론 토론..........쉽지 않아요.

  • 3. ㅇㅇ
    '14.9.6 11:15 AM (115.136.xxx.31)

    윗님말 처럼 잘하는 아이들이 더 많겠지요....근데 잘 끝내는 아이들 보다는 돌아오는 아이들의 말이 더 무성하다 보니까 그럴수도

    하여간 미국 공부랑 생활은 성격도 많이 좌우하는건 사실....건강하고 활달하고 대범한 아이들이 끝까지 잘 버텨서 끝내더라고요

  • 4. 어제 듣기에
    '14.9.6 11:17 AM (114.206.xxx.2)

    미국 보딩스쿨에서 수석까지 하고 아이비리그 들었는데 학년이 올라갈수록 따라가지 못해 결국 한국으로 들어와 모대학 국제학부( 여기간 것도 대단한 보이던데) 다닌다고 하더라구요.
    그래서 스카이 국제학부 애들 중에는 이런 애들 많다고 하시네요.

  • 5. ..
    '14.9.6 11:20 AM (115.90.xxx.155) - 삭제된댓글

    민사 국제반에서 준비하는 아이를 하나 아는데..지금의 학교 생활도 힘들어 하는 면이 잇어서
    걱정이 됩니다.
    친구들과 잘 어울리기 보다 조용히 있고..혼자 세계가 강한데,,

  • 6. 그래도
    '14.9.6 11:24 AM (114.206.xxx.2)

    제가 보기에는 저렇게 해서라도 울나라 스카이 국제학부 들어가면 그게 어디냐..싶던데요.
    물론 본인과 부모님들은 그 과정상에서 맘고생 많이 하셨겠지만요.
    국내 입시통해 스카이 국제학부 갈래도 그정도 맘고생 안할리 없고...

  • 7. 저도 그 기사 보고 이상하다 생각.
    '14.9.6 11:36 AM (98.217.xxx.116)

    한국 학생들이 미국 명문대 와서 학업 잘 못한다는 통계를 낸 연구자가 뭔가 잘못 한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과 너무도 다른 통계라서요. 졸업도 잘 하고 졸업 후에도 계속 잘 나가는 애들 많아요.

  • 8. 사람들이 마치
    '14.9.6 11:40 AM (98.217.xxx.116)

    미국 대학에서 생존하려면 사교에 능한 외향인이어야한다고 말하는데, 전혀 동의하지 않습니다. 실패한 사람들이 핑계거리로 만들어 낸 얘기가 아닐까 하네요.

    내향인 중에서도 훌륭한 업적을 내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 미국 대학 당국에는 잘 알려져 있습니다. 내향인을 소외시키지 않고 그들을 격려하도록 배려하겠죠, 좋은 미국 대학이라면. 물론 후진 대학은 논외로 하고요.

  • 9. 글쎄요...
    '14.9.6 3:06 PM (210.116.xxx.196)

    제 딸은 교포2세인데 3년만에 대학 졸업했고 한국에서 유학온 외고 민사고 애들도 다들 공부 잘하고 4년만에 졸업한걸로 알아요.
    한국에서 유학온 아이들 중에서 민사고 출신 아이들이 제일 예의바르고 공부도 잘한다고 딸아이가 칭찬 많이 하더군요.

  • 10. ...
    '14.9.6 5:33 PM (213.174.xxx.180)

    대부분 문제 없이 졸업 잘 해요. 그리고 한국에서 온 명문고 출신 아이비리그 학부생들은 거의 학점 기계들임..다들 학점도 높더라고요. 공부 요령이 확실히 있다고나 할까. 경영 경제 공대 등등 팔릴만한 걸 하니 인문학 하는 학생들보다 영어 딸릴 거 없고 진짜 순수 인문학이나 사화과학 하는 경우도 요즘은 수준이 높아요. 제가 주립대에서 석사하고 아이비에서 박사하면서 학부생들 가르치기도 하고 제 지도교수님이 가르칠 때 티에이 들어가서 보고 하면 한국애들이 클래스에서 항상 상위권입니다. 제 전공은 영어가 진짜 중요한 전공이었는데 토론이나 작문에서 절대로 미국 애들에 비해 딸리지 않더라고요.

    다만 시민권이 없어서 현지에서 인턴십 구하는데 어려움이 많고 미국 취업을 노리다가 안 되어서 졸업을 한 두 학기 늦추는 경우도 있고 돈 있는 집 애들이 많아서 타국으로 교환도 많이 갔다 오니까 늦어질 순 있지만 아이비리그까지 들어온 학생이 졸업 못하는 건 거의 못 봤어요. 중도 탈락은 어중간한 학부나 아님 한국에서 학부 마치고 대학원 유학의 경우가 많아요.

  • 11. ...
    '14.9.6 8:15 PM (122.32.xxx.40)

    사촌동생도 3년만에 졸업하고 와서 바로 군대 들어가고 바로 취업해서 지금 잘 나갑니다.
    여기에서 외고 다녔었고 3년 졸업은 많지 않지만 4년~5년안엔 대부분 졸업하던데요.

  • 12. ..
    '14.9.7 12:52 AM (121.167.xxx.36)

    도대체 어디서 저런 신뢰도 없는 통계가 도는건지
    민사ᆞ대원외고 애들 아이비리그 가서도 공부 잘합니다. 드물게 예외의 경우는 있겠지만 따라가는 정도가 아니라 학점 아주 잘받고 미국 보딩 출신들보다도 잘해요..
    졸업후 돌아오는 건 시민권 문제와도 얽히고 또 다른 문제이고요. 어느 집단위권 하위권이 있듯이 민사ᆞ대원에서도 따라가기 힘들었을 소수의 경우도 있겠지만 그런 아이들은 아이비리그는 커녕 준아이비도 합격이 어렵습니다.
    매번 이런글 돌 때마다 넘 답답해서ᆢ정작 어려워하는건 공부가 아니라 문화적인 적응이겠지요..

  • 13. 그 통계는
    '14.9.7 4:58 AM (98.217.xxx.116)

    미국에 있는 한국 출신 학자(?)가 냈다고 국내 언론 기사에 나왔던 거 같아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6953 크루즈 기능 좋네요. 특히 고속도로.. 4 ㅁㅁ 2014/09/09 2,806
416952 드뎌 명절을 엄마랑 안싸우고 지나갔네요 2 2014/09/09 1,433
416951 참 미친 짓이구나 싶어요. 10 추석 2014/09/09 3,908
416950 저축금액좀 봐주세요 5 저축 2014/09/09 2,747
416949 양장피 3 양장피 2014/09/09 1,385
416948 고등수학 교과서 풀이집 있나요? 3 오늘하루 2014/09/09 1,938
416947 요즘 초등학생들이 좋아하는 캐릭터가 궁금합니다~ 13 레몬청 2014/09/09 4,755
416946 김치냉장고 사는 시기가 고민이예요 1 ... 2014/09/09 2,281
416945 이게 모니 1 호텔에 왔는.. 2014/09/09 1,000
416944 이유없이 간지러워 약 처방 받는 분들 며칠에 한 알씩 드시나요 9 .. 2014/09/09 1,893
416943 올 추석동태전 대박 16 ㅅㅈ 2014/09/09 5,953
416942 명절 친정 언제 가세요? 남편은 대부분 다음날 간다네요. 23 솔이 2014/09/09 6,539
416941 40중반...이런 황당함이..ㅜ ㅜ 18 슬포 2014/09/09 19,959
416940 제사상 메뉴 유감. 25 .... 2014/09/09 6,143
416939 인천 간장게장집 유명한데 어디인가요? 3 .. 2014/09/09 2,267
416938 임신초 체한느낌, 입덧인거죠? 3 임산부 2014/09/09 4,862
416937 카톡에 이모티콘 안 쓰면 화난 거 처럼 보여요? 4 설레는 2014/09/09 1,834
416936 고현정씨 cf보셨어요? 52 ... 2014/09/09 20,708
416935 아들은 사돈된다는게 무슨 말인가요? 5 2014/09/09 2,637
416934 샤워부스 초박살 11 샤워부스 2014/09/09 5,500
416933 시집에서 차별받는 우리 아이... 대처법 좀 ㅠㅠ 24 햇살가득 2014/09/09 6,204
416932 매실 액기스 가스분출 2 삼산댁 2014/09/09 3,209
416931 식혜가 왜 맛이 갔을까요 2 2014/09/09 2,713
416930 서로 사랑하지 않는 부부 31 슬퍼요 2014/09/09 17,682
416929 결혼육아 "집안에 여자 하나 잘못 들어와..".. 1 아직도 이런.. 2014/09/09 1,9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