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수능영어 절대평가면 공부방식은 어떤식으로?

궁금 조회수 : 2,767
작성일 : 2014-09-04 13:12:03

절대평가로 가면 ..

영어공부방식을 지금의 수능방식인..

문법 단어 독해위주의 수능시험방식과는 달라진다는 말인가요?

토익토플과 수능영어는 다르잖아요?

기존 수능방식에서 조금 난이도를 쉽게 낸다는 말인가요?

IP : 59.7.xxx.95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9.4 1:18 PM (220.73.xxx.192)

    절대 평가면 경쟁에서 좀 자유로워 지니까 치열하게 공부안해도 된다는 거죠.

    예를 들어 90점 이상이 1등급이라면 90점만 넘으면 되니까 100점 맞아야한다는 강박감에서 해방돼죠.
    운전면허 필기시험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물론 그보다야 훨씬 어렵겠지만요.

    전 개인적으로 영어 과목만큼은 절대평가하는 것에 찬성.
    요즘 지나치게 영어공화국이 되고 있어요.
    변별력은 나머지 과목에서.

    솔직히 영어보다 국어 국사가 더 중요하지 않나요?

  • 2. 그럼
    '14.9.4 1:18 PM (114.206.xxx.2)

    최상위권만을 데려가려는 스카이는 어떻게 학생들을 변별할까요?

  • 3. ....
    '14.9.4 1:21 PM (175.201.xxx.236)

    시험공부법이야 달라질건 없고 90점만 넘기면 되지만 실수로88점되면 완전 억울해지니 최상위권은 설렁설렁 해도 되지만 상위권은 그래도 신경 써야죠..

  • 4. ..
    '14.9.4 1:21 PM (220.73.xxx.192)

    과목이 영어만 있나요?

    국어 국사 수학 과학 등등등

    전과목을 다 절대평가로 한다면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지만 영어 한과목만이라면 뭐...

  • 5. 고딩 엄마
    '14.9.4 1:26 PM (58.126.xxx.5)

    영어만 잡으려다 지금 수학 과외비가 얼만줄 아세요?

    영어쉬워진다고 엄마들이 수학 과학에 과외비 투자해서 수학은 돈이 천정부지예요. 에효.... 미친거죠

  • 6. ..
    '14.9.4 1:31 PM (220.73.xxx.192)

    영어 어렵게 한다고 엄마들이 수학공부 덜 시킬까요???

    제 주변 엄마들 자기네 경제력에 맞춰서 수학공부 잘만 시키던데요.

  • 7. 원글
    '14.9.4 1:31 PM (59.7.xxx.95)

    그러니까 기존 수능위주의 시험방식으로 나오는것인지 궁금하다는거죠. 수능은 실제 실생활에 필요한 영어와는 다르잖아요?
    기존수능에서 조금쉬운방식으로 ..아님 똑같은데 90점이상만 받으면 1등급이므로..
    기존공부방식과 똑같이 하면서 조금은 느슨하게 해도 되게되었다는건지..
    아님 다른방식인 회화위주나 실생활위주로 수능이 바뀌는건지.. 모르겠다는거죠..

  • 8. ..
    '14.9.4 1:35 PM (220.73.xxx.192)

    시험방식이 수능에서 크게 달라지지는 않을 겁니다.

    하던대로 꾸준히 시키셔요.
    잘하는 아이는 시험방식이 어떻든 금방 적응합니다.

  • 9. 절대평가하면
    '14.9.4 1:37 PM (210.220.xxx.113)

    웬지 다들 1등급맞을 것처럼 말씀들 하시네요.여하튼 영어사교육비가 그래도 들겁니다.토익시장 텝스시장 보면 알듯이...영어가 모국어가 아니고 팍스아메리카나가 지속되는한 영어교육은 지속됩니다.

  • 10. 일단은
    '14.9.4 1:37 PM (125.251.xxx.49) - 삭제된댓글

    현재 교육부에서는 영어 실력을 보기 위한 논술이나 구술시험,
    영어 공인 어학 시험 이 모두를 대학입시에서 사용할 수 없도록하고 있구요.
    냉정하게 공부방법은 기존에서 별로 달라지는 것이 없습니다.

    이 정책은 영어 안해도 된다는 절대 아니고;; 과열되게 할 필요는 없다 기준이거든요.
    일종의 한국사 검정능력시험이나 컴퓨터워드 필기 시험처럼 일정 점수만 넘기면 되는건데.
    영어, 어렵게 안낼거라고 했어요. 그러면 변별력은 수학이나 탐구영역, 국어에서 볼거고
    내신이 조금 더 중요해지겠죠.
    일단 회화 위주의 출제는 이미 MB 정권에서 영어능력시험 Neat는 정책 실패로 끝나서
    당분간은 안될거고 기존의 수능 기조와 유사합니다.
    (MB때의 회화 위주의 실용영어 정책은 교사수에 비해 학생 수가 많은데다가;
    실용영어 수업도 불가능하고, 인프라 구축도 안되어서 실패;;)
    현재 고등학교 수준을 뛰어넘는 수능지문이 계속 출제가 되고 있는데
    그런 이상한 지문은 더이상 출제가 안될것이라고 보고
    수능영어를 위해서 어릴때부터 과도하게 공부할 필요는 없어질거에요. (아주 조금 줄어듭니다)

    그러나 영어구사능력과 수능에서 영어 고득점은 다른 문제이기 때문에
    아예 영어학원 자체가 없어지진 않을거에요.
    상위권 아이들이 영어구사능력 따로, 수능영어 따로 공부해야 하는 뻘짓은 안해도 됩니다.
    아, 물론 최상위층이나 영재, 엘리트 교육 라인을 따라가려면
    당연히 기본 이상의 영어 실력은 필요로 할거고 괜찮은 직장 구하려는 아이들은
    대학가서 힘들지 않으려면 어느정도는 미리 해둬야 겠죠. 그리고 영어가 필요한 아이들은 대학가서
    열~심히 공부해야 하는거구요.

  • 11. .
    '14.9.4 1:39 PM (42.82.xxx.29)

    무슨 수학과외비돈이야기가 나오나요?
    지금 과외받는애들은 절대평가제 아닌데요.
    그리고 이거 발표된지 몇일되었다고 수학과외비가 하늘을 치솟는다는건지..

  • 12. 헛뭉데
    '14.9.4 1:55 PM (119.194.xxx.239)

    변별력 때문에 쓰잘데없는 문법문제들 냈던거는 없어지져나요

  • 13. 에고
    '14.9.4 2:02 PM (14.36.xxx.208) - 삭제된댓글

    절대평가 이전에 영어는 쉽게 낸다고 방침 발표했쟎아요.
    그러니 이미 다들 수학에 목숨 걸고 있는 거죠.

  • 14. 아마
    '14.9.4 2:16 PM (14.36.xxx.208) - 삭제된댓글

    영어로 글쓰는 논술은 교육부에서 막을 거구요.
    면접이나 논술에 영어 지문은 확실히 사용될 거라고 봐요.
    이 부분은 교육부에서 지금도 허용하고 있답니다.
    10년 전만 해도 웬만한 대학 논술에 영어 지문이 있었죠.
    그러다 영어특기자 글로벌 전형 확대되면서 없어진 건데
    이제 다시 거꾸로 가겠죠.
    영특은 축소되고 논술 구술면접엔 영어 지문 사용...

  • 15. ****
    '14.9.4 2:56 PM (175.196.xxx.69)

    그럴려면 내신을 잘 받아야 하는데 문제가 학교 내신 문제 내는 분들이 시대착오적인 문제만 내고 있어서...
    결국 아이들은 다 해야 하는 꼴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2837 알레르기성 비염과 결막염이 왔어요 8 엄마 2014/10/03 2,568
422836 이제 휴대폰도 못 사나봐요 16 2014/10/03 9,268
422835 혹시 마카오에 유아동반 가능한 카지노가 있나요??? 10 마카오박 2014/10/03 3,387
422834 두피 가려움 4 lily 2014/10/03 2,268
422833 생글생글 오물오물 조근조근 6 생글생글 2014/10/03 1,235
422832 국어점수가 상대적으로 낮은 아이 3 국어꽝 2014/10/03 1,628
422831 제가 느낀게 맞는지 봐주세요. 3 언니들 2014/10/03 1,577
422830 초간단 원두커피 5 아정말 2014/10/03 2,653
422829 볶은참깨 볶은땅콩으로 죽만들어도 되나요 1 참깨죽 2014/10/03 1,104
422828 돼지비계 따로 달라고 하면 주나요 6 ♥♥♥♥ 2014/10/03 4,369
422827 다섯살 울딸 말~말~ 3 2014/10/03 1,275
422826 '눈먼 자들의 국가' - 소설가 박민규 5 들어봅시다 2014/10/03 1,418
422825 반짇고리 어디서 사는지 아시는 분 계세요? 4 모히토 2014/10/03 2,228
422824 손연재 키 9 미소 2014/10/03 4,317
422823 혼자 살면서 아프니깐 괜히 서러워서 울뻔했어요 ㅡㅡ 18 어부바 2014/10/03 3,823
422822 노대통령의 예언 10 그립다 2014/10/03 3,433
422821 참 외롭네요.. 어떻게 멈추죠? 4 함박 2014/10/03 1,865
422820 알뜰폰이 뭐예요? 1 2014/10/03 928
422819 크라운제과 과자들이 롯데보다 더 비싼이유가 있나요? 멍멍 2014/10/03 675
422818 최진실 언니 장남 최환희 4 인생수업 2014/10/03 4,002
422817 헤나 염색 또 실패했어요. 6 왜 나만 2014/10/03 53,955
422816 이가 아파요 ㅠㅠ 3 2014/10/03 781
422815 클라라는 무슨 자격으로 부산국제영화제에 왔지? 1 라라야 2014/10/03 1,985
422814 손연재 선수 보면서 느낀 점 2 8 ㅅㅅ 2014/10/03 3,576
422813 아시아나 마일리지 모으시는 분들 1년에 몇마일이나 모으세요? 7 시티메가마일.. 2014/10/03 6,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