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근데.. 제사 안지내면 안 되는거죠? 한국 풍토에서는?

루나틱 조회수 : 2,259
작성일 : 2014-09-02 00:26:08
제 경우에는.. 뭐.. 제 자식들이 한국인 처럼 자란다는 가정하에;;
저는 제사 따위는 지내지 말라고 할 거라서요...
이유는 뭐 천국이 있든 극락이 있든 그냥 없어지든.. 글쎄요..
성경에서도 하나님이 내려 본다는 이야기는 있어도 죽은 사람이 내려본다는 이야기는 못본것 같은데..
어차피 저도 모르는 거라.. 필요 없다는 생각입니다..
그래서 저는 지내지 말라고 할것 같습니다.. 그리고... 부모님은.. 뭐 원하시면 해드리는데
이런 말을 했더니.. 저랑 동의 하시던데 ㅋㅋㅋㅋ;;; 알지도 못하는데 뭐하러 하느냐시더군요;; 흠..
어쨌든..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뭐 그 쓸데 없는거 뭐하러 하냐는 시비 거는건 아니고;;
그냥 저는 원하면 해드리는 거고 아니면 말고.. 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고 저는 일단 하지 말라고 할꺼라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제사.. 에 대해서?
IP : 58.140.xxx.188
1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9.2 12:27 AM (118.221.xxx.62)

    안지내는 집도 꽤있죠
    종교가 젤 크고 자식 힘들지 않게 하려는 것도 있고요

  • 2. ...
    '14.9.2 12:27 AM (118.221.xxx.62)

    저도 화장해서 뿌리고 제사 같은거 하지 말라고 했어요

  • 3. ..
    '14.9.2 12:30 AM (223.33.xxx.46)

    지금은 제사 모시고 있지만 아들에게는 제사
    안물려주려고 합니다

  • 4. 성당
    '14.9.2 12:30 AM (112.121.xxx.135)

    미사로 드립니다.

  • 5. ㅇ ㅇ
    '14.9.2 12:33 AM (223.62.xxx.125)

    제가 장손 며느리인데, 저까지만 하고 그만 두게 할거에요.

  • 6. 집안 어른의 결단에 달린 거죠.
    '14.9.2 12:34 AM (114.129.xxx.71)

    우리 친정은 제사 안 지낸지 백년이 넘었어요.
    장로였던 증조부께서 제사를 그만두도록 하셨거든요.
    덕분에 제사상은 TV로만 보다가 결혼 후에야 진짜 제사상을 실물로 처음 봤네요.

  • 7. ,,,
    '14.9.2 12:45 AM (116.126.xxx.2)

    우리 바로 윗 세대분이 돌아가시면 모를까,,,현재는 계속 해야 될거에요

  • 8.
    '14.9.2 12:46 AM (203.226.xxx.230)

    저는 제사 지내요
    제사도 한국의 전통인데 그게 사라져 가면 그건 그거대로 안타까울 때가 있어요
    제사가 스트레스가 되는 상황이 가장 문제긴 하지만요
    누구는 전통을 이어가는 사람도 있어야겠죠
    저는 젊은 사람인데 좀 특이한 편이죠?
    그렇다고 제사 없애야 한다 이런 사람들을 안 좋게 보지도 않아요
    각자 삶의 방식인데다 솔직히 이해도 가거든요

    저는 아빠 엄마가 결혼하고 얼마 안되서 돌아가셨어요
    자식은 언니랑 저 둘뿐인데.....매년 언니랑 돌아가면서 제사 지내요
    형부도 제 남편도 당연히 그래야 한다고 생각했고요
    앞으로도 계속 지낼 생각이에요
    시부모님이 돌아가셔도 마찬가지구요
    그리고 지금도 시댁 제사 가요 1년에 두번씩
    근데 여지껏 큰 트러블이 없어서 그랬는지 그게 그렇게 큰 스트레스로 다가오지는 않더라구요
    그렇지만 내 자식들한테 제사를 강요할 생각은 없어요
    나의 부모에 대한 도리는 나까지만 하면 되지 내 아들 딸 며느리까지 할 필요는 없어요

  • 9. oops
    '14.9.2 12:55 AM (121.175.xxx.80)

    제사를 지내고 안지내고...이미 사람마다, 집안마다 선택사항이 된 것 같습니다.

    그러나 적어도 수백년 이상 지속되어온 고유의 전통을 지금 시대환경과 맞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없애야 한다? 유지해야한다?....그런 식으로 접근하는 건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그보다는 이미 의식구조가 제사문화의 근간인 유교문화와 농경문화가 거의 희박해진 상황이고,
    현대 가정환경에도 맞지 않은 부분이 많아진 만큼
    지금 시대상황에 맞게 제사문화를 어떻게 바꿀 것인가에 주목했으면 합니다.

  • 10. 형식이
    '14.9.2 1:17 AM (14.32.xxx.157)

    제사 형식이 중요하지 않죠.
    유교사상을 바탕으로 가족들이 모여 조상에 감사하고 기리는 정도.
    부모님 그리고 남편이 먼저 가면 제사상 지금처럼 차릴거고요.
    제가 죽고 난뒤엔 명절이나 제삿날엔 형제들끼리 꼭 모여 밥한끼 같이 먹고 제사상에는 국수한그릇과 제가 좋아하는 카푸치노 한잔 놓고 부모에게 영상편지 쓰듯 한마디씩만 해줬으면 좋겠네요.

  • 11. ....
    '14.9.2 8:34 AM (113.131.xxx.32)

    저도 그놈의 형식이 문제라고 생각해요
    남의 집 귀한딸 제사,명절 음식 시킬려고 그러는거 같고...
    저도 제가 죽고 나면 제가 좋아하는 크림소스 스파게티 한그릇하고 믹스커피 한 잔 놓고 제 생각 조금 해주면 고맙겠어요
    ㅋ안 해줘도 할 수 없구요
    제사 명절 하루종일 음식 해대는 문화는 이젠 없어져야죠

  • 12. 백년전에
    '14.9.2 8:37 AM (112.173.xxx.214)

    언젠가 여기 댓글 보니 제사 100년전 없앤 집안인데도 후손들 잘만 산다네요.
    그리고 제사라는 게 문화라서 하고 안하고는 본인 선택인거죠.
    제사 안지내서 큰일 날 것 같으면 제사 없는 민족들은 다 죽었게요.

  • 13. ....
    '14.9.2 9:38 AM (203.226.xxx.105)

    전 제사를 안지내는 집에서 성장했기에 제사라는 걸 왜 그토록 힘들게 하는지 이해를 못했어요.

    그런데 부모님 돌아가시고 보니... 죽은 이가 너무너무 그리워서,
    사랑하던 이가 한번이라도 찾아와줬으면 하는 마음이
    제사라는 형식으로 자리잡은 거구나 하고 그제서야 이해 되더라고요..
    (일본의 오봉이라는 절기도 그렇거니와...)

    그래서 제사라는 게 더더욱 지금과 같이 의미도, 뜻도 없는 건 반대해요.
    정말 죽은 이가 그립다면 명절, 기일에 화려한 음식들보다는
    차라리 그 시간에 가족들끼리 모여 앉아 돌아가신 분의 사진이나 영상, 추억을 함께 공유하면서
    고인을 기리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들이는 게 맞다고 생각해요.

    제삿상 형식도, 고인이 좋아하던 음식 위주로 놓는 게 맞지, 뭐는 놓네 안놓네, 근본이 있네 없네..
    이건 다 허례허식이에요.

    옛날에는 집성촌에서 제사를 거하게 지내면서 친족들의 단합을 유도하려고 그랬겠지만,
    또 먹을 게 없던 시대에 제사라는 걸로 아랫것들까지 먹을 수 있는 몇 안되는 기회이기도 하고요.

    돌아가신 분이 오징어를 좋아했으면 오징어를 두고,
    치즈케익 좋아했으면 치즈케익 두고.

    그게 더 제사의 뜻에 맞고, 고인을 기리는 거라고 생각해요.
    저도 다가오는 엄마 첫 기일에는 엄마가 가장 좋아했던 대하구이 놓을 거에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20068 남대문 대도 수입 상가 2 남대문 대도.. 2014/09/24 2,272
420067 외식하는건 몸에 안좋은 것들 투성이에요..정말..ㅠㅠ 14 식당들.. 2014/09/24 4,615
420066 잘못 길들여진 동생 8 휴~~~ 2014/09/24 3,137
420065 서울 사시는 분 도움 요청드려요 9 서울 구경 2014/09/24 1,494
420064 많은 마른오징어 처치할 방법 좀 알려 주세요 16 마른오징어 2014/09/24 1,969
420063 엔젤아이즈 7회 들어가는데요.. 2 어휴 2014/09/24 529
420062 Tassimo 캡슐 드시는 분 계실까요? 2 졸린달마 2014/09/24 478
420061 Missyusa 회원가입 5 궁금 2014/09/24 2,043
420060 추천바랍니다...서초구/강남구 입원실 있는 개인병원 2 서초구 개인.. 2014/09/24 685
420059 임대사업자등록안한 집주인이 사업자에게 세를 줄때 부가세를 내나요.. 5 답답해요 2014/09/24 2,893
420058 3박4일일때 방콕과 하와이 중에서 어디가 나을까요? 6 rndma 2014/09/24 2,265
420057 스테이크 옆에 두는 당근은 어떻게 익히나요? 2 야심차게 2014/09/24 1,664
420056 후끈후끈 열이 올라오는데 어떻게 가라앉히나요? 5 젊은이 2014/09/24 777
420055 단호박껍질벗겨 오븐에 구움 안되는거였어요? 4 .. 2014/09/24 1,798
420054 담배 넣고 빨래 돌렸는데 세탁기 어떡하죠ㅠㅠ 13 두통 2014/09/24 17,323
420053 배추겉절이 방법좀 알려주세요 5 배추 2014/09/24 1,701
420052 매일유업은 미숙아 및 선천성 대사이상 환아를 위한 특수분유를 제.. 12 까칠마눌 2014/09/24 1,991
420051 시사통 김종배입니다[09/24pm]인권통-경찰이 민중의 지팡이라.. lowsim.. 2014/09/24 258
420050 딸아이가 배가 나온다가 날마다 히스테리를 부려요 6 무슨말로 2014/09/24 1,141
420049 조인성 김민희 결별이래요 28 괜찮아 2014/09/24 23,278
420048 전국의 유치원, 초중고교 88% 17,265 곳 석면학교 4 탱자 2014/09/24 704
420047 언소주에서 만든 '세월호 보도에 관한 다큐' 동영상입니다. 4 ... 2014/09/24 400
420046 mbn에서 김부선씨 난방비 4 온수 2014/09/24 1,450
420045 송윤아도 늙었네요 31 기는세월 2014/09/24 7,959
420044 요새 젊은이들 취업난 안타까워서 한마디 적고 갑니다 36 카레라이스 2014/09/24 7,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