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만 두돌 아이 식습관 어느정도까지 훈육으로 교정해야 하나요?

... 조회수 : 1,644
작성일 : 2014-08-20 19:38:08
이전에는 그런대로 괜찮았는데
요새 1-2개월정도 밥먹일때마다 스트레스 만땅+머리끝까지 화가 나는 상황의 반복이에요.

만 두돌 되었구요

아침저녁은 집에서, 점심과 중간중간 간식 어린이집에서 먹습니다.

어린이집 선생님은 아이가 밥 제일 잘 먹는다고 하는데

집에서는 거의 안먹어요.

하이체어에 잘 앉아서 먹던 아이가 최근들어 안 앉겠다고 떼쓰고
밥 주는대로 잘 먹던애가 한두수저 뜨면 다행, 밥이고 반찬이고 거의 안먹음
밥상머리에서 울고 떼쓰고 난리도 아닙니다.

지금도 차려준 밥 안먹고 내려오겠다고 떼쓰는거 걍 울도록 냅두고 글 쓰네요.

아직은 걍 본인이 먹겠다는 만큼만 먹게 두고 얼마를 먹든 걍 냅둬야 하나요?
밥은 하이체어에 앉아서 먹는거다
밥먹을때 물컵에다 숟가락 담궈서 휘휘 저으면서 물 떠먹는거 아니다
니 밥 다 안먹으면 다 먹을때까지 앉아있는다
정해진 시간내에 밥 안먹으면 밥 치운다
밥 안먹으면 간식은 없다
...
등등등

어느정도로 식습관을 교정해줘야 하나요?

육아책에 나오는 식사 파트 부분은 다 읽었어요.

아이가 이론대로 안되고, 저도 이론대로 안되네요.

현실적인 조언좀 부탁드립니다..
IP : 61.73.xxx.91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8.20 7:51 PM (1.127.xxx.165)

    맘 비우시고 먹으라 먹으라 강요하는 것도 학대라고.. 오프라에서 한번 다뤘던 거 같아요
    고맘때 원래 잘 안먹으니 간단히 차려 주시고 마세여. 훈육이고 뭐고 쓸데 없구요..
    ' 뭐 먹고 싶음 엄마한테 언제든 말해 ' 그정도 하구 맙니다요. 안먹으면 강아지밥으로 주고 오게 시키고..
    강아지가 간혹 안먹으면 너도 속상하지? 가끔 그정도 말 해줬네요.
    울고 떼쓰는 상황 자체를 적게 발생하게 하시는 것도 중요해요. 제 아들 그때쯤엔 계란, 사과, 바나나 요정도 먹고 큰 거 같아요

  • 2. 알랴줌
    '14.8.20 8:04 PM (223.62.xxx.23)

    저는 - 안 먹겠다면 먹지 말라고 해요
    대신 다음 식사 시간까지 간식같은거 일절 안 주고
    달라고 하면 밥을 안 먹어서 안 된다고 얘기하고
    또 식사 시간이 끝나면 밥 그릇 치워요
    (시간은 좀 여유있게 주는 편)
    물론 그 때도 밥을 다 먹지 않았으니 간식 안 주고...
    이렇게 해도 물론 밥 안 먹고 간식 달라고 떼쓰고 하지만
    그럴땐 그냥 외면해요
    네가 선택한거니 어쩔수 없다고

  • 3. 이론과 현실
    '14.8.20 8:48 PM (175.197.xxx.67)

    아이는 이론을 이해하지 못해요.

    경험을 통해 이론을 깨닫도록 놔둬야 부모 말이 통하기 쉽습니다.

    밥 먹으라고 했고 안 먹으면 치운다, 아이가 밥을 안 먹고 장난치고 놀았다, 상 치웁니다, 간식도 없습니다, 아이가 허기를 느낍니다, 끼니 때가 되어 밥을 먹습니다.

    끼니 굶었으니 안쓰럽고 측은하다고 밥 외에 간식으로 이것저것 먹이면 안됩니다.


    부모가 목표를 위해 참아야 합니다.

    당연히 아이 앞에선 심각하고 진지한 표정으로....

    아이도 점점 식사에 대해 진지해집니다. 장난치고 안 먹으면 상 치우는 건 진리인 듯.


    부모 떠나서 아이 혼자 살 때 세상이 아이가 밥 다 먹을 때까지 기다려 주지 않습니다.
    학교도 그렇고, 어린이집도 그렇고, 유치원도 그렇고...

    특히 5세 반에 가면 어린이집 반 정원도 2배로 늘어나서 대부분의 기본 활동은 아이가 혼자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밥먹고, 자고 일어나고 이빨 닦고 선생님 말 듣고 지시 따라 움직이고.....이런 활동들이 아이 혼자 할 수 있으면 됩니다.

  • 4. 이론과 현실
    '14.8.20 8:52 PM (175.197.xxx.67)

    울 애도 집에선 밥 먹는 게 시원찮았는데
    어린이집에서는 많이 먹는다고 선생님이 그랬어요.

    선생님 말이 참인지 거짓인지 구별할 방법은 없지만 어느 정도는 아이가 어린이집에서는 집에서보다 유독 많이 먹은 듯. 그 단체 분위기에 고무되어서....ㅎㅎ

    어린이집에서 땡깡 피우지 않는 듯 하여 집에서도 그냥 먹는대로 놔두고 안 먹으면 치우고
    놀고 오면 간식 간단히 하는 정도로....엄마도 아이도 기분좋게 보낼 필요는 확실히 있어요.

    아이의 식습관에 별도 스트레스없이 행복한 나날 되세요.

  • 5. 제가
    '14.8.20 10:30 PM (115.22.xxx.16)

    경험한 바로는
    어린이집의 분위기도 문제가 있을지 모른다입니다
    서로 밥먹는데 경쟁 붙이고
    칭찬하고
    아이들이 식사를 무슨 경쟁하듯이 하더라구요

    집에선 하이체어 내려오는 순간 한번 더 이야기 하고 바로 식탁 치워요
    이게 정말 어려운데
    딱 3일만 해보세요
    식사예절 정말 중요해요

  • 6. ....
    '14.8.20 11:40 PM (183.98.xxx.7)

    저는 좀 다른 말씀 드릴께요.
    아이 성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두돌 정도의 아이들은 훈육이 효과내기 참어려운거 같아요.
    전두엽이 발달이 덜되서 행동 통제가 어렵다고 들었고요.
    저희 아이를 키우면서 보면 언어 발달과도 관계가 깊은거 같아요.
    두돌 무렵에 죽도록 얘기해도 안되던거.. 세돌 무렵이 되니 너무 쉽게 되더라고요.
    우리 아이는 adhd 아닌가 걱정될 정도로 한시도 가만히 있지 않는 아이였는데요.
    두돌 무렵에는 앉혀서 밥먹기가 너무 힘들어서 포기하고 따라다니면서 먹이곤 했었어요.
    어디 데리고 나가면 사방팔방으로 뛰어다녀서 미친듯이 잡으러 뛰어다녀야 했고...
    근데 30개월 무렵 말문 트여서 의사소통이 원활하게 되면서
    몇마디 설득으로
    밥은 식탁에 앉아서 먹는거.
    골목이나 기타 장소에서 위험하게 뛰어다니지 않는거.
    다 해결이 됐어요.
    지금 생각하면 때되면 쉽게 되는걸 왜그리 기운을 뺐을까 싶기도 해요.
    뭐.. 우리 아이에게만 해당되는 사례일수도 있으니 참고만 하시구요. ^^;

  • 7.
    '14.8.21 12:21 AM (112.153.xxx.90)

    제 상전도 집에선 가뭄에 콩나듯 먹는데 어린이집에선 대식가래요 =.=;;
    전 밥상에 식판놓고 먹이는데 이놈도 가만히 있질 못하고 제 무릎위에 오르락내리락하면서 먹어요
    제 주변에서 얼쩡대며 놀면 떠먹이는데 좀 떨어져 놀면 치울거라고 말하고 안줘요
    집에선 망나니여도 식당에선 얌전히 한시간가량 버티길래 크게 혼내지않고 잘하면 좋아하는 간식주니까 요샌 망나니보단 얌전하게 먹는 회수가 늘더라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8139 차량 교류발전기(얼터네이터, 제너레이터) 고장 문의 드려요. 공업소 추천.. 2014/09/18 1,176
418138 못된 마음 들킬까봐 불안해요. 16 마음 2014/09/18 4,125
418137 24개월아기가 청포도 사탕을 삼켰어요. 11 Honeyh.. 2014/09/18 10,546
418136 한국어 맞춤법 검사기가 안열리네요 3 늘 사용하던.. 2014/09/18 833
418135 세월호 에코백 판매 시작됐네요...^^ ... 2014/09/18 1,744
418134 산본 잘 아시는 분, 이사 조언 좀.. 10 이사 2014/09/18 2,224
418133 편도염으로 고생인데 목근육이 심하게 아프네요 1 편도앓이 2014/09/18 1,152
418132 이정권 얼마나 더 두고봐야 되는지 아시는분 없나요 10 한숨이~ 2014/09/18 1,445
418131 정자역 가까운 맥주집 추천해 주세요~ 2 여유 2014/09/18 1,019
418130 여자 혼자 1박 2일 여행 간다면 어느지역 가고 싶으세요? 국내.. 21 ㅡㅡ 2014/09/18 11,273
418129 찜질기 어떤 제품이 좋은가요? 1 ... 2014/09/18 1,081
418128 아이폰 파손보험 들어야 할까요? 3 ... 2014/09/18 994
418127 후배가 이혼하려는데 돈을 빌려달라고 합니다..ㅜ.ㅜ 45 ㅜ.ㅜ 2014/09/18 15,251
418126 혈압이 90/52 입니다. 18 어지럽다 2014/09/18 7,410
418125 자작극 ? 치아 6개 부러졌다는 사람이 멀쩡하게 담배를 피움 17 ... 2014/09/18 2,681
418124 소설속 장면 따라한적 있으세요? 웃어봐요 2014/09/18 545
418123 서울역 커피숍 외국인이 찾아오기 쉬운곳 추천해주세요 3 길바보 2014/09/18 1,668
418122 공항 출퇴근 편한 동네 추천바랍니다. 2 진기 2014/09/18 675
418121 문 꽝꽝 두드리는 택배기사님 16 ... 2014/09/18 2,552
418120 모임이나 학원에서 50대 전후 되시는 분들 불편해요 33 무서워요 2014/09/18 7,045
418119 생리를 또 하네요.. 무플절망이에요.. 6 어쩌나요.... 2014/09/18 2,641
418118 임신중 이혼 12 음... 2014/09/18 6,322
418117 [끌어올림] 82님들의장터+모금안내 입니다. 3 불굴 2014/09/18 555
418116 건강검진 내시경요금실비청구할수있나요 3 모모 2014/09/18 2,273
418115 아파트 사시는분들 상하수도 요금 얼마정도 나오세요? 5 수도 2014/09/18 1,5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