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학교 학과 좀 봐주세요

고3맘 조회수 : 2,420
작성일 : 2014-08-17 10:50:55

서성한 사회학과와 중경외시의 경제학과

나중 취업할 때 어디가 더 유리할까요?

저는 학교를 낮추더라도 경제학과가 더 낫다고 하는데

아이는 일단 학교 레벨에 목숨 거네요

휴~

IP : 211.58.xxx.237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근데 졸업해보니,
    '14.8.17 10:57 AM (223.64.xxx.242)

    서성한 중에 서강대 빼고는 기성세대들에게는 중경외시나 성대 한양대 다 거기서거기로 느껴지나봐요.
    아무래도 기업의 간부들은 기성세대들이니...

    근데 아이의 적성이나 관심이 중요하잖아요.
    어차피 본인인생이니...

  • 2. 저라면
    '14.8.17 11:10 AM (14.36.xxx.208) - 삭제된댓글

    중경외시 상경계 보냅니다.
    문과의 입결은 점점 상경계를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고 장기적으로는 대학보다는 과가 중요해질 듯 해요.
    이 와중에도 서울대 문과의 모든 과가 최상위에 버티고 있는 이유는 로스쿨이 있기 때문이구요.

    일단 원글님이 저렇게 질문하시는 것도 서성한 사회학과와 중경외시 경제학과가 입결에서 큰 차이가 없기 때문 아닌가요?

  • 3. 몇몇댓글
    '14.8.17 11:11 AM (121.162.xxx.143)

    생각좀 하시고 다시길...
    사회학추천 하시는분들 이해불가에요.
    사회학 입사시 원서도 못내밀어요..

  • 4.
    '14.8.17 11:17 AM (223.64.xxx.242)

    바로 윗님, 생각좀하고 댓글 달라고 하실게 아니고요.
    아이가 아무 생각없이 그저 간판하나만 보고 서성한을 미는거라면 모르겠지만,,,
    무조건 취업위주보다는, 본인 적성이 더 중요한거아닌가요?
    상경계열 공부 안맞아서 자퇴하거나 전과하는 애들도 간혹있어요.
    아이가 무슨 생각으로 사회학과를 가려하는지가 중요한거같아요.
    대학이 취업양성소로 전락하고 순수학문들이 죽어가는 나라..씁쓸하네요.

  • 5. 윗님
    '14.8.17 11:21 AM (14.36.xxx.208) - 삭제된댓글

    마음은 이해하고 공감하는데요.
    원글님의 질문이 어디가 취업이 잘 되냐를 물어보시는 거쟎아요.
    아이도 전공이 아니라 학교 레벨에 목을 맨다고 돼 있구요.
    씁쓸함은 모두들 느끼는 거지만 어쩌겠나요?

  • 6. 음님?
    '14.8.17 11:22 AM (121.162.xxx.143)

    저는 질문에 답한거에요..
    원글님은 취업시 유리한곳을 질문하셨고...
    아이는 대학레벨만 본다고 써있어요..

  • 7.
    '14.8.17 11:24 AM (223.64.xxx.242)

    적성에 안맞으면 취업 잘되는 학과라도 실패하죠.
    근데 고3이 자기적성이 무엇인지 잘 모르는경우가 대부분이긴 합니다.
    전 이곳에 묻기보다는 아이와 좀더 대화를 해보는게 중요한거같아서 댓글 그렇게 단거고요.
    의대 법대 다녀도 방황하는 대학생 많아요. 결국은 아이가 결정하도록 내비두심이...

  • 8. 고3맘
    '14.8.17 11:33 AM (211.58.xxx.237)

    좀 더 부연 설명을 드리자면 아이는 일반고에서 공부를 잘 합니다
    학교장추천도 받아서 고대를 쓸 생각이구요.
    근데 저는 중경외시까지 생각하고 있는데
    아이는 서성한까지가 마지노선이라고 생각해요
    자존심 상한다는 거죠?
    옆에 친구들이 좋은 대학갈꺼다라고 하니까
    좀 허세를 부리는 느낌..
    그리고 슬프게도 자기가 좋아하는 공부는 딱히 없어요 ㅠㅠ
    낮은 과라도 서성한 안에서 가겠다는 거죠.

  • 9. 솔직히
    '14.8.17 11:44 AM (14.36.xxx.208) - 삭제된댓글

    지금 중앙대 상경계는 한양대 사회학과보다 입결도 높아요.
    대학 레벨이라는 게 같은 과끼리 비교해야 의미가 있는 거죠.
    아직 세상을 모르는 거니 윗님 말씀대로 해 보세요.

  • 10. 아는분
    '14.8.17 11:51 AM (121.162.xxx.143)

    중대경영2학년인데 벌써대기업 인턴으로 근무하고 있어요.
    상경계 아님 취업하기 너무 힘든세상이에요.
    올해 아이 대학보냈는데 서성한 사회학과나 중대경영 비교해도 중대가 높거나 비슷했어요.
    저희도 아이 설득해서 과를 보고 대학을 선택했어요.

  • 11. tripple1
    '14.8.17 11:56 AM (39.7.xxx.32)

    문과면 학교높은것도 괜찮아요

  • 12. ㄴㄴ
    '14.8.17 12:55 PM (175.223.xxx.147)

    요새 복수전공 필수예요. 과 세탁 어느정도 가능해요.

  • 13.
    '14.8.17 1:15 PM (175.223.xxx.237) - 삭제된댓글

    문과 계열 교수이구요. 지금 언급되는 대학 중 한 곳에 재직합니다. 학생들 취업할 때 중요한 건 원전공이고 복수 전공은 안 하는 것보다는 낫지만 취업에 큰 영향은 주지 못하더라구요. 제가 보기에 그나마 대학 레벨이 작용하는 곳은 스카이까지고 서강대 정도까지는 약간의 메리트 있습니다.

    사회학과 취업은 전반적으로 암담합니다. 문사철이랑 다를 바 없어요. 이대로 가면 대학이 어디로 갈지 정말 걱정입니다.

  • 14. ..
    '14.8.17 1:55 PM (27.119.xxx.170) - 삭제된댓글

    취업하려면 중경외시 경제, 고시 준비하려면 서성한이요.요즘 상경계 아님 취직 어렵습니다. 복수전공은 안 하는 것보단 나아도 큰 도움은 안돼요. 서성한 가서 전과할 자신 있다면 서성한도 괜찮구요...

  • 15. 중경외시
    '14.8.17 4:57 PM (14.52.xxx.59)

    경영경제가
    서성한 사회학보다 입결이 특별히 낮지 않아요
    문과는 정시 기준이라면 정말 촘촘합니다
    사탐 하나로 학교가 갈리는 정도에요
    국영수 탐구 해서 5개 이상 틀린다면...중경외시 수시도 넣는게 좋아요

  • 16. 고3맘
    '14.8.17 5:46 PM (211.58.xxx.237)

    답글 달아준 분들 모두 감사드려요
    많이 도움이 되네요..
    아이하고 진지하게 얘기 해 볼게요
    어제는 욱해서 좀 큰소리가....

  • 17. ...
    '14.8.17 5:53 PM (211.117.xxx.91)

    대기업에서 상경계 모집할땐 이중전공 하면 지원자격 되는거 아닌가요? 그리고 공기업이나 고시는 더욱 학과 상관없구요. 특별히 기술을 배울거 아니면 전공보다 학교 이름이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16145 서울시 "광화문광장 천막 농성은 이미 합의 끝난 부분&.. 5 브낰 2014/09/12 1,089
416144 음식 잘 못하지만 친정아빠 생신상 한번 차려보려는데요 4 막막해요 2014/09/12 1,208
416143 담배세 이어 주민세,자동차세 100%이상 인상..서민증세 논란 6 부자감세서민.. 2014/09/12 1,165
416142 명절전날 시누이가족이 와요 16 거미 2014/09/12 5,424
416141 아이피가 같은뷴들 이 많아요 1 우앙 2014/09/12 756
416140 유럽대학은 외국인이 가도 등록금이 저렴한가요 6 ... 2014/09/12 1,840
416139 아들이 부모님제사불참시 봉투에 뭐라고 써야하나요?? .. 2014/09/12 1,497
416138 핸드폰이랑 지갑을 잃어버리는 꿈을 꾸었는데요.. 1 ... 2014/09/12 6,555
416137 남편이 상의도 없이 딸아이 스마트폰 사가지고 왔네요 3 스맛폰 2014/09/12 1,076
416136 말의 의도가 뭐라고 생각되나요? 아이문제 4 문제 2014/09/12 650
416135 82님들, 명절이나 생신때 부모님 선물 뭐하세요? 매번고민중 2014/09/12 1,000
416134 사주 보고 싶은데 생일난시가 정확치 않네요. 방법이 있을까요?.. 6 부부사이푸념.. 2014/09/12 2,993
416133 케이블에서 내마음의 풍금하는데... 4 넘우껴서 2014/09/12 821
416132 주민세 너무 많이 오르네요ㅠㅠ 21 2014/09/12 4,684
416131 인생을 바꾸고 싶은 분들 강의 2014/09/12 903
416130 한살림 다시마튀각에서 이물질이 나왔는데.. 1 ..... 2014/09/12 1,170
416129 개인에겐 선거법 유죄..국정원은 조직적 불법 댓글달아도 무죄 3 이상한판사의.. 2014/09/12 439
416128 미국 캐나다는 큰부자 아니라도 집에 수영장있잖아요. 물값 11 궁금해 2014/09/12 7,495
416127 현직 부장판사 “원세훈 선거법 무죄는 궤변” 비판 3 샬랄라 2014/09/12 722
416126 공군카페 소개해 주세요 1 예비공군엄마.. 2014/09/12 1,343
416125 이번 추석에 느낀게 많네요.. 40 현이훈이 2014/09/12 15,558
416124 스케일링을 했는데 피가 게속나와서 아무것도 못먹겠어요 ㅠㅠ 3 nn 2014/09/12 3,280
416123 영어 잘하시는 분 한문장만 번역 부탁드려요~ 절실...플리즈.... 4 eofjs8.. 2014/09/12 992
416122 미역국 어떤 고기부위로 끓이면 최고로 맛있을까요? 6 미역국 2014/09/12 3,806
416121 맞벌이의 장점 2 2014/09/12 1,6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