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2030세대, 평생 나라에 낼 돈이 받을 돈보다 1억원 많다

기성세대가 잘못 조회수 : 1,059
작성일 : 2014-07-28 11:15:28
http://m.media.daum.net/m/media/economic/newsview/20140728084308346?RIGHT_REP...

정부의 재정ㆍ공공연금ㆍ보험 지출 구조가 지금 상태를 유지하면 현재의 20∼30대 연령층은 평생 자신이 공공부문에서
받는 혜택보다 1인당 평균 1억원 이상을 초과 부담(순부담)해야 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이에 비해 60대는 공공부문에서 받는 혜택이 자신들이 낸 돈보다 1인당 4000만원 이상 많은 것으로 분석됐다. 부담보다
혜택이 더 큰 '초과혜택(순혜택)'은 50대 후반 연령대부터다.

28일 김명철 한국은행 통화정책국 정책분석팀 차장과 김영각 일본 센슈대 교수 등 3명이 함께 작성한 '인구구조 변화가
재정정책의 지속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세대 회계' 기법으로 추정한 연령대별 순부담액이 이처럼 큰
차이를 보였다.

세대 회계는 연령층별로 세금 등 순부담액을 현재의 화폐가치로 추정하는 통계 기법이다. 이번 추정에서는 2011년 현재
가격으로 각종 공공연금ㆍ보험, 세금, 정부와 공기업의 지출까지 포괄했다.

5세 단위로 추정한 결과, 2011년 현재 만 20∼25세 미만 연령층의 순부담액은 1인당 1억1000만원, 25∼30세 미만은
1억700만원, 30∼35세 미만은 1억1200만원, 35∼40세 미만은 1억600만원이다. 이어 40∼50세 미만은 9700만원, 45∼5
0세 미만은 7200만원, 50∼55세 미만은 3600만원 등으로 연령대가 높아질수록 순부담액이 줄었다.

50대 후반부터는 순부담액이 마이너스(순혜택)로 돌아섰다. 국민ㆍ공무원ㆍ사학ㆍ기초노령연금, 건강ㆍ장기요양ㆍ
실업보험 등을 통해 받는 혜택이 공공부문 지출을 위해 자신들이 부담하는 세금이나 보험료 등보다 많다.

만약 2011년 현재의 제도가 그대로 유지되고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가 맞아떨어진다면 2012년 이후 태어난 미래세대의
1인당 순부담액은 평균 3억9600만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됐다.

김명철 차장은 "잃어버린 20년을 겪은 일본이 세금이 아닌 빚(국채발행)으로 재정을 꾸리는 상황에 처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가 고령화"라며 "현 추세라면 한국도 일본처럼 고령화로 복지지출이 늘면서 재정건전성이 악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성장잠재력 확충 등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IP : 218.209.xxx.163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글쎄....
    '14.7.28 11:20 AM (175.212.xxx.66) - 삭제된댓글

    다 키워놓은 자식들도 이런 저런 모습으로 죽여버리는 사회에서 애를 낳으면 뭐하노???참, 답답한 일입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3434 부내나는 여자들 특징이 뭘까요? 63 오드리햅번 2014/07/29 36,004
403433 집에 쟁여놓고 있지 않으면 불안한게 뭐 있으세요? 25 오직한마음 2014/07/29 4,823
403432 DDP 뭐뭐 있는 곳인가요? 2 갈려도요 2014/07/29 1,235
403431 질문 두가지) 대한민국 살기와 포탈라궁 1 . 2014/07/29 741
403430 세월호 특별법에 대학입학 특례 조건을 넣자고 제안한 5 궁금 2014/07/29 980
403429 김용민의 조간브리핑[07.29] "수원병(팔달) 새누리.. lowsim.. 2014/07/29 1,004
403428 무릎연골주사. 4 ^^ 2014/07/29 3,434
403427 휴대폰 밧데리가 부풀었는데 무상으로 교체가 되나요? 6 .. 2014/07/29 1,876
403426 대구 교정 잘하는 곳 추천 좀 부탁합니다. 2 2014/07/29 1,135
403425 콩국물에 국수말고 뭐 넣어먹으면 맛있나요? 9 노랑 2014/07/29 2,553
403424 안에 친구들 많이 있다는데도 해경은 바라보기만 했어요 8 샬랄라 2014/07/29 2,051
403423 글 삭제합니다. 43 에휴 2014/07/29 7,300
403422 방학하니 역시 식비가 많이 드네요 5 2014/07/29 2,384
403421 세무회계사 사무소 가야하는데 어디를 가야할지... 10 질문 2014/07/29 1,978
403420 시사통 김종배입니다[07/29am] 이번에는 병사 자살...도대.. 1 lowsim.. 2014/07/29 804
403419 학교에 칫솔 가져오라고 야단인 아이 18 알아서 2014/07/29 2,642
403418 팔찌가 끊어졌는데요. **^^**.. 2014/07/29 1,167
403417 옷장에 선반을 놓아 칸을 가르고 싶은데요....무슨 방법 없을까.. 3 정리 2014/07/29 1,434
403416 사위 생일에 콩국수는 좀.... 119 네모네모 2014/07/29 14,186
403415 박대통령 때문에 업계와 교육계가 산으로.. 7 증말 2014/07/29 2,061
403414 심리치료에 대해 잘 아시는 분 조언 부탁드립니다 3 ... 2014/07/29 1,561
403413 2014년 7월 29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세우실 2014/07/29 857
403412 75세 이상 틀니. 부분틀니 50프로 정부 보조 맞나요? 5 질문 2014/07/29 2,835
403411 지금 제평 세일하나요? 2 2014/07/29 2,013
403410 새야, 새야 파랑새야! 2 꺾은붓 2014/07/29 1,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