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이사람 뭐예요 ?

개고기 블로그 조회수 : 2,501
작성일 : 2014-07-27 03:06:14

http://blog.daum.net/ggdzz/7804514

임산부 보지마세요 잔인한거 나옵니다.

뭐 이런놈이 다 있데.... ㅉㅉㅉㅉ

개고기 등장합니다. 잔인한거 나와서 심장이 벌렁거리네요

 

없애버리는 방법 없을까요? 개들 너무 불쌍해여

IP : 211.202.xxx.123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희소식
    '14.7.27 3:14 AM (211.202.xxx.123)

    http://news.jtbc.joins.com/article/article.aspx?news_id=NB10534126

    모란시장 없어지고 시민공원 들어선다고 하네요....

  • 2. @@
    '14.7.27 3:27 AM (59.2.xxx.80)

    보신탕 먹는 사람들 이해할 수가 없어요. 개 잡는 것을 본 후에 정말...ㅠㅠ 어디라고 말할 수는 없지만
    야외에서 개고기 안 먹는 집은 저희 뿐이었어요. 다 큰 솥 가지고 와서 끓여먹는...보기만 해도 뻔한..;;;
    외과수술하고 의사나 가족이 권해서 정말 꼭 먹어야 하는 경우도 이해가 안 가구요. 저 개 싫어하는데
    개를 먹는 문화는 정말 말이 안되는 것 같아요. 소나 돼지하고는 다르지 않나요? 자기 집에서 개 키워서
    잡아먹는 시골문화도 정말 토나오구요. 남편들이 잘 먹는다고 사와서 요리하는 여자들 반성해야 합니다.

  • 3. ..
    '14.7.27 3:29 AM (218.209.xxx.83)

    끔찍합니다. 참 잔인해요.
    블로그운영자 그 사람 인상도 참 더럽고 혐오스럽습니다.
    아우.. 너무 잔인해서 보다 말았네요.

  • 4. 흠...
    '14.7.27 5:20 AM (180.233.xxx.24)

    잘 읽어보면 그 블로그는동물학대를 방지하자는 블로그네요.

  • 5. 다른 동물들
    '14.7.27 6:00 AM (110.45.xxx.228)

    사실 개가 주변에서 흔하게보고 그래서그렇지....
    키워지고 죽는 잔인함으로 따지면 소, 돼지, 닭도 다르지 않아요.

    그나마 대부분 개들은 그래도 식용으로 대량 사육되는 시스템이 없어서 정말 운나쁜 케이스만 아니면 그래도 살 때는 많은 경우 사랑받고 살지만.... 소, 돼지, 닭은 정말 상상초월합니다.

    저는 예전에 먹고살기 힘들 때 진짜 온갖 알바를 다했는데 그 때 그 사육장들을 모두 가봤거든요.
    그 이후로 어떤 고기도 안먹습니다. 정말 토나와요.
    우리나라 동물학대 방지법이니 이런거보면 도축할 때만 고통없이 죽여라...이런데만 관심있지 기를 때 어떻게 기르는지는 별 관여를 안하는 것 같습니다.

    개하고 사람이 친하다하는데, 돼지는 그 어떤 동물보다 사람과 유전적으로 비슷하고 개보다 똑똑합니다.
    TV에 보면 인공장기같은거 돼지 이용해서 만드는거 괜히 그러는게 아닙니다.
    생긴건 많이 달라도 굉장히 많은 부분에서 심지어 원숭이보다 더 가까운게 돼지거든요.
    단지 개만큼 애교가 없을 뿐이죠.

    돼지 사육장은 가보셨나요?
    식용 돼지는 태어나자마자 이빨을 다 뽑구요, 꼬리 잘라내고 수컷을 고환을 손으로 뜯어냅니다. 물론 마취따위는 없죠. 이 다 뽑히고 고환 뜯겨나간 돼지들 피 철철흘리는 모습보면 정말.... 할 말이 없습니다. 이유는 별 것 없습니다. 좁디좁은 우리에 몰아넣으니 돼지들이 스트레스받아서 이빨로 서로 물어뜯으니 그러는거에요. 고환 뜯어내는 것 역시 남성호르몬을 없애 폭력성을 줄이는게 목적입니다. 고기도 더 부드러워지구요.

    닭 사육장은 어떤지 아시나요?
    태어나자마자 불로 벌겋게 달군 커터로 부리부터 잘라냅니다. 사육장에서 스트레스받으면 다른 닭들 공격하고 지새끼도 부리로 쪼아 죽이거든요. 거기 들어가보면 부리와 살의 탄내가 코를 찌릅니다.

    소는 얘기 안할께요. 예전에 미국산 쇠고기 파동났을 때 많이들 보셨을테니.

    그냥 이 한마디만 하겠습니다. 소의 평균 수명이 얼마인지 아세요? 15-20년입니다. 그런데 우리가 미국산 쇠고기 나이많다고 수입한다 못한다했던 고기가 30개월인가 그랬죠. 식용을 목적으로 태어나는 소 평균 도축나이가 15~20개월입니다. 자기 수명의 1/10을 살고 도축되는거에요. 사람으로치면 7-8살이죠.

    왜 그때 죽이냐구요? 그 때가 살이 제일 부드럽고 양도 많거든요.

  • 6. 다른 동물들
    '14.7.27 6:03 AM (110.45.xxx.228)

    사람들이 개를 소, 돼지, 닭하고 다르다고 합리화시키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그냥 먹던 고기 계속 먹고싶어서 밖에는 이유가 없어요.

    게다가 소, 돼지, 닭에게는 사랑을 줘본 경험이 대부분 없거든요. 그러니 개만큼 감정 이입이 안되는거죠.

  • 7. 윗님 말씀...
    '14.7.27 8:19 AM (14.36.xxx.208) - 삭제된댓글

    마음에 와 닿네요.
    개고기 먹어 본 적도 없고 전혀 내키지도 않지만
    다른 고기 좋아라 하는 저로서는
    개를 먹는 것만이 특별히 잔인하다는 논리는 수긍이 안 가더라구요.
    게다가 사실 꼭 필요하지도 않은 모피를 위해 희생되는 동물들 생각하면...

    그냥 개가 귀엽고 우리 주변에 있으니까 심정적으로 더 불쌍한 거지
    인간이 동물들에게 정말 못할 짓을 한다는 생각 많이 듭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6063 남자들은 유부남과 상관없이 예쁘고 어린여자가 유혹하면 모두 넘어.. 17 궁금.. 2014/08/06 12,426
406062 신통방통하네요 제가 운동부족이 맞긴 했나봐요 13 이게모야 2014/08/06 4,177
406061 영애의 남자들 4 막돼먹은 2014/08/06 2,035
406060 빕스 얌스톤 시키면 같이나오는 소스 queen2.. 2014/08/06 1,016
406059 이혼하고 싶어요 20 무의미 2014/08/06 4,713
406058 정말 내가 일한 걸 알아줄까요(시댁 관련) 19 은색나무 2014/08/06 3,641
406057 아침tv에 나온 이야기 (실제) 8 병맛사탕 2014/08/06 3,054
406056 이찬희 = 이명박 11 똑같네 2014/08/06 6,154
406055 이번 군대사망사건을 보니 정말 뭐라도 해야겠어요 6 부글부글 2014/08/06 1,023
406054 지하철안에서 커피 마시는게 에티켓이 아닌건가요? 34 eryh 2014/08/06 8,757
406053 서울시 공직비리 철퇴.."1천원이라도 받으면 처벌&qu.. 3 샬랄라 2014/08/06 793
406052 약때문에 점심먹어야 하는데 무슨 메뉴가 좋을까요 8 ㅇㅇ 2014/08/06 1,269
406051 세월호 100일 국가는 없었다.. 영문자막이 나왔네요. 1 널리알리자 2014/08/06 875
406050 영화 명량에 대한 개인적 감상 3 ... 2014/08/06 1,403
406049 잠실 싱크 홀.. 잠실만의 문제인가 서울시 전체의 문제인가.. 12 싱크홀 2014/08/06 2,724
406048 어떤 치즈인지 알려주세요! 2 치즈 2014/08/06 812
406047 배꼽아래쪽에ㅣ누르면 딱딱한게 3 증상 2014/08/06 2,149
406046 친구란 뭘까요.. 5 친구...?.. 2014/08/06 1,342
406045 "십일조 안하면 암(癌)걸립니다" 20 무무 2014/08/06 3,677
406044 조갑경은 참 이쁘고 목소리도 곱고 7 .. 2014/08/06 3,537
406043 재봉틀부품이요 1 ㅇㅇ 2014/08/06 818
406042 보성여행과 그 주변 돌아볼곳,,알려주셔요~ 2 날개 2014/08/06 1,252
406041 새누리의원중에 세월호 특별법으로 돌아설 사람은 없나요 5 .. 2014/08/06 847
406040 요즘 초5 생일선물로 뭐가 좋은지요? 하나 2014/08/06 1,601
406039 황우여 '국회법' 어긴 채 변호사 활동 8 세우실 2014/08/06 1,0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