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도 좁은데 무조건 큰 가전제품.

... 조회수 : 3,283
작성일 : 2014-07-17 14:15:12

집이 약 20평도 안되는데 18평 아파트요..

무조건 큰 가전제품 냉장고 김치냉장고...큰 세탁기

고집하는 이유가 뭘까요?

가전제품 뿐만 아니라..

가구들 식탁이나 쇼파도...

30평대 사는 사람만큼 아니 더....큰걸 원하네요...

이런 심리가 뭘까요?

가면 앉을 자리도 없어요..

가구 가전제품 모시고 사는 분위기.....

더 큰 평수로 이사갈 꺼니까 이왕 사는거 큰거 사자?

이런 심리인지..

성향인지..

주변에 이런 사람 있나요..?

IP : 180.189.xxx.162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개인 취향
    '14.7.17 2:25 PM (175.223.xxx.187)

    어떤 사람은 명품 가방에, 또 다른 사람은 해외 여행에 집착하는 경우도 있지요.
    관심과 소비의 분야가 다른 거라고 생각해요.
    집에다 꾸미는 거지요.
    홈 어플라이언스를 빵빵하게 갖추는데서 만족감을 느끼나 봅니다.

  • 2. ....
    '14.7.17 2:26 PM (211.55.xxx.116)

    그런데요 집 좁은곳에서도 가구 커도 잘 매치해서 멋지게 사는 사람들도 많아요.
    저만해도 콘도처럼 아무것도 안나와있고 휑한 집 분위기보다
    부엌 살림이 멋드러지게 나와있는 집이 훨씬 좋거든요.

  • 3. 가전은 큰게 좋아요
    '14.7.17 2:27 PM (39.121.xxx.22)

    살림해봄 알지요
    집이 좁을수록 큰가구.가전이 필요하답니다

  • 4. 뭘 또 심리씩이나..
    '14.7.17 2:39 PM (58.140.xxx.162)

    걍 큰 거 좋아하는갑다..

  • 5. 주은정호맘
    '14.7.17 2:42 PM (112.162.xxx.61)

    제지인도 가전제품은 무조건 큰거...하다못해 보일러도 이번에 고장나서 새로샀는데 20평에 32평형으로 ㅎㅎ
    아무래도 집이 좁아보이긴 합니다

  • 6. 작은게
    '14.7.17 2:45 PM (121.140.xxx.143)

    더 비싸지 않나요?
    전 700대 냉장고도 괜찮은데 900대밖에 안팔고 700대 원하면 살수는 있는데
    가격차이도 없고..물건도 고를여지도 없고요
    왜 이렇게 크게만 만드는지..모르겠네요

  • 7. 그런심리 있어요...
    '14.7.17 2:52 PM (175.223.xxx.239)

    큰게 좋은건 맞는데, 그것도 어느정도죠
    집 크기에 어울리게 해야할듯

  • 8. 저도 별로더라구요.
    '14.7.17 2:53 PM (49.143.xxx.211)

    뭔가 가구나 가전을 이고지고 사는 느낌 들었어요.

    차라리 그 돈 아껴서 저축했다 ,큰 집에 가서 그 집에서 사는게 맞지 싶어요.

    10년전에 엔틱가구가 유행탔을때,그때 2,30평대집에서도 그 큰 가구들(이건 침대도 고풍스럽고 높고 그래요)
    을 사던데,
    가구가 집을 압도하는 느낌이,별로 좋지 않더라구요.
    엔틱가구는 좀 더 큰 평수에 어울리거든요.
    그게 풍수적으로도 안좋다고 하더라구요.나쁜기가 들어오면 빠져나가지를 못한대요.

  • 9. ...
    '14.7.17 2:56 PM (14.36.xxx.134)

    본인이 그렇단 것도 아니고;;
    좁은 집에 살면 큰 가전 좋아하면 안되나요?
    별걸 다 신경쓰고 피곤하게 사시네요 ㅋㅋㅋ

  • 10. 내면의 허함을
    '14.7.17 3:12 PM (112.173.xxx.214)

    물질로 달래는 사람들이 요즘 많아요.
    여자들 허영심도 한몫하구요.
    진짜 앉을 곳도 없이 좁은데 덩치 큰 살림살이를 모셔놓고 사는 사람들이 울 나라 사람들 같아요.

  • 11.
    '14.7.17 3:14 PM (14.52.xxx.252)

    일단 제조회사의 가격 책정이 조금만 더 보태서 기왕이면 큰걸 사도록 유도하는 측면이 있겠죠~
    크면 사용하기도 편하기도 하고
    제 취향은 생활이 좀 불편해도 집이 좁아지는 걸 싫어해서 최대한 작은 걸 골라서 사기는 해요
    그리고 특히 냉장고는 음식물쓰레기 대기 장소가 되기 쉬워서 양문형 중에서 젤 작은 걸 샀더니 보는 사람마다 한마디씩.. ^^;;;

  • 12. ....
    '14.7.17 3:20 PM (211.252.xxx.12)

    광고에서 십년은 쓴다고 더크고 성능좋은거 사라고 꼬드기잖아요
    저두 첨엔 큰게 좋은줄알고 무조건 큰거 사려다 돈도 없고 이리저리 알아보니 쉽게 선택할 수가 없었어요
    그래서 내린결론은 집에 맞게 내가 가진돈에 맞는 선에서 최선의 선책을 한다였어요

  • 13. ...
    '14.7.17 3:23 PM (218.234.xxx.119)

    집 큰 거 사기는 오래 걸리고 힘들지만 가전 큰 거 사는 건 상대적으로 쉬우니까.

  • 14. 집이
    '14.7.17 3:24 PM (175.223.xxx.232) - 삭제된댓글

    좁다고 사람까지 작지는 안잖아요.
    집이 크건 작건 한사람한테서 나오는 빨랫감이나 이불 크기는 비슷하니 세탁기가 큰게 좋겠죠. 먹는것도 비슷하니 냉장고도 큰게 좋겠죠.
    다른건 몰라도 두 개는 큰게 좋겠죠.

    부엌에 물건이 멋드러지게 나올 수 있는건 잡지 속에서나 있은법한 일이죠.
    현실은 먼지, 기름때에서 벗어나려면 기물들이 안쪽으로 다 들어가야 해요. 다른거 할 일도 많은데 그 언제 나와있는 물건 다 닦고 사이사이 닦나요...
    삭아요 삭아 사람이...

  • 15. ..
    '14.7.17 4:07 PM (220.124.xxx.28)

    혹시 혼수 준비하는 예비신부인가요??
    작은평수에 티비 댑따 큰거 넣으면 눈 아프던데;; 눈도 자꾸 큰것만 보면 나빠져요.
    냉장고는 솔직히 클수록 좋습니다. 김치냉장고는 좁은 평수일수록 스탠드형 사야할테고요.
    세탁기는 세탁기 넣는 지정자리가 있잖아요. 평수가 크던 작던 왠만한 크기는 다 들어가요. 이불빨래등 생각하고 드럼 15키로는 사는게 좋죠.

  • 16. 음...
    '14.7.17 5:05 PM (175.182.xxx.232) - 삭제된댓글

    가전제품은 집 크기보다는 식구수에 더 영향을 받죠.
    100평살아도 두식구면 큰거 필요없고
    18평 살아도 엄청 먹어대는 청소년기 아이 둘이상 있으면 냉장고 큰거 필요하고
    이불빨래라도 할려면 세탁기도 큰게 필요하죠.
    제 친구는 남편이 큰거 못사게 해서 싸우다가 결국 작은거 샀는데
    매일 열냅니다.

  • 17.
    '14.7.17 6:25 PM (124.50.xxx.70)

    저도 살림해보니까 오히려 냉장고는 어느 정도 작은 것이 더 좋다고 느끼는데요.
    냉장고가 크면 아무래도 쟁여두게 되어서;;; 시원시원하게 들어가니 넣을땐 좋은갑다 하지만
    결국 청소할때마다 버리게 되는 것이 반은 되는 듯;;
    그 쟁여둔 것을 시일맞춰 모두 이용하는 살림쟁이라면 ok이지만...
    반찬도 채소도 고기도 신선할때 그때그때 해 먹고 2-3일 보관하는 용도로 쓰면
    냉장고 큰게 필요가 없거든요. 건강에도 좋구요. 냉장고에 오래 둔 음식이 건강에 좋을리 없으니까요.
    본인이 얼마나 요리에 취미가 있을지 모르는 새댁들에게 무조건 큰 냉장고는 비효율의 극치라고 봐요.
    핵가족에 1-2인가구 늘어나는데 냉장고는 이상하게 덩치크게만 만들어 팔아재끼는 대기업의
    상술인것도 같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0641 미국이 미쳤나 부다 24 호박덩쿨 2014/07/20 10,942
400640 EQ의 천재들 낱권으로 살 수 있는 곳 있을까요? 3 ... 2014/07/20 1,626
400639 동물농장) 개장수에게 잡혀 탈출한 길개 몰골 보셨나요 5 .. 2014/07/20 2,030
400638 전세계약시 집주인이 외국에 거주할경우 2 ... 2014/07/20 2,234
400637 펜션 예약 안 하고 가는 것이 더 쌀까요? 3 휴가 2014/07/20 2,300
400636 김해 롯데워터파크 가보신 분 앉는 자리 질문... 5 휴가좋아 2014/07/20 2,638
400635 겨울동치미 먹어도되나요? 3 점두개 2014/07/20 1,320
400634 국물멸치를 버려야할까요?? 1 멸치 2014/07/20 1,934
400633 청량리 롯데 잘 아시는분~~ 3 샐러드 바.. 2014/07/20 1,545
400632 주옥순은 대구대와 어떠한 관련도 없으며 사칭이라고 합니다. 7 방금트윗 2014/07/20 2,489
400631 상가투자 처음인데 꼭대기층에 교회가 ㅠ 5 2014/07/20 2,428
400630 잘 사는 집 자식 잘 못 사는 집 자식 차이가 나나봐요. 32 .... 2014/07/20 18,830
400629 치커리가 많이 생겼어요 3 일반인 2014/07/20 1,433
400628 뉴슈가 넣으면 노랗게 되는거에요?? 2 옥수수 2014/07/20 1,388
400627 유자식 조민희네봄 이상적인 가정을 보는거같네요 8 .. 2014/07/20 6,415
400626 [100일입니다] 잊지않겠다던 약속, 행동하겠다던 약속 48 청명하늘 2014/07/20 4,132
400625 안산에 계시는 페이스북친구 유족들이 원하는 특별법 아주 간결하게.. 2 아마 2014/07/20 1,618
400624 벌이 꽃을 따는 행동을 뭐라고 하나요? 4 꿀벌 2014/07/20 1,939
400623 혹시 대구분 계세요? 11 사투리질문 2014/07/20 2,500
400622 혹성탈출 보신분? 13 피서 2014/07/20 3,808
400621 삼계탕에 전복넣을때 껍질째 넣어도 되나요?? 4 전복 2014/07/20 2,588
400620 서울 중국식재료(해삼,멍텅구리)파는 곳 질문 3 중국식재료 2014/07/20 2,790
400619 82쿡 컬쳐쇼크가 도우미인게 정말 맞는거 같아요 38 .... 2014/07/20 13,634
400618 대장쪽은 무조건 내시경 해야 되나요 2 00 2014/07/20 1,773
400617 위로받고 싶어 끄적거립니다. 21 2014/07/20 5,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