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집도 좁은데 무조건 큰 가전제품.

... 조회수 : 3,145
작성일 : 2014-07-17 14:15:12

집이 약 20평도 안되는데 18평 아파트요..

무조건 큰 가전제품 냉장고 김치냉장고...큰 세탁기

고집하는 이유가 뭘까요?

가전제품 뿐만 아니라..

가구들 식탁이나 쇼파도...

30평대 사는 사람만큼 아니 더....큰걸 원하네요...

이런 심리가 뭘까요?

가면 앉을 자리도 없어요..

가구 가전제품 모시고 사는 분위기.....

더 큰 평수로 이사갈 꺼니까 이왕 사는거 큰거 사자?

이런 심리인지..

성향인지..

주변에 이런 사람 있나요..?

IP : 180.189.xxx.162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개인 취향
    '14.7.17 2:25 PM (175.223.xxx.187)

    어떤 사람은 명품 가방에, 또 다른 사람은 해외 여행에 집착하는 경우도 있지요.
    관심과 소비의 분야가 다른 거라고 생각해요.
    집에다 꾸미는 거지요.
    홈 어플라이언스를 빵빵하게 갖추는데서 만족감을 느끼나 봅니다.

  • 2. ....
    '14.7.17 2:26 PM (211.55.xxx.116)

    그런데요 집 좁은곳에서도 가구 커도 잘 매치해서 멋지게 사는 사람들도 많아요.
    저만해도 콘도처럼 아무것도 안나와있고 휑한 집 분위기보다
    부엌 살림이 멋드러지게 나와있는 집이 훨씬 좋거든요.

  • 3. 가전은 큰게 좋아요
    '14.7.17 2:27 PM (39.121.xxx.22)

    살림해봄 알지요
    집이 좁을수록 큰가구.가전이 필요하답니다

  • 4. 뭘 또 심리씩이나..
    '14.7.17 2:39 PM (58.140.xxx.162)

    걍 큰 거 좋아하는갑다..

  • 5. 주은정호맘
    '14.7.17 2:42 PM (112.162.xxx.61)

    제지인도 가전제품은 무조건 큰거...하다못해 보일러도 이번에 고장나서 새로샀는데 20평에 32평형으로 ㅎㅎ
    아무래도 집이 좁아보이긴 합니다

  • 6. 작은게
    '14.7.17 2:45 PM (121.140.xxx.143)

    더 비싸지 않나요?
    전 700대 냉장고도 괜찮은데 900대밖에 안팔고 700대 원하면 살수는 있는데
    가격차이도 없고..물건도 고를여지도 없고요
    왜 이렇게 크게만 만드는지..모르겠네요

  • 7. 그런심리 있어요...
    '14.7.17 2:52 PM (175.223.xxx.239)

    큰게 좋은건 맞는데, 그것도 어느정도죠
    집 크기에 어울리게 해야할듯

  • 8. 저도 별로더라구요.
    '14.7.17 2:53 PM (49.143.xxx.211)

    뭔가 가구나 가전을 이고지고 사는 느낌 들었어요.

    차라리 그 돈 아껴서 저축했다 ,큰 집에 가서 그 집에서 사는게 맞지 싶어요.

    10년전에 엔틱가구가 유행탔을때,그때 2,30평대집에서도 그 큰 가구들(이건 침대도 고풍스럽고 높고 그래요)
    을 사던데,
    가구가 집을 압도하는 느낌이,별로 좋지 않더라구요.
    엔틱가구는 좀 더 큰 평수에 어울리거든요.
    그게 풍수적으로도 안좋다고 하더라구요.나쁜기가 들어오면 빠져나가지를 못한대요.

  • 9. ...
    '14.7.17 2:56 PM (14.36.xxx.134)

    본인이 그렇단 것도 아니고;;
    좁은 집에 살면 큰 가전 좋아하면 안되나요?
    별걸 다 신경쓰고 피곤하게 사시네요 ㅋㅋㅋ

  • 10. 내면의 허함을
    '14.7.17 3:12 PM (112.173.xxx.214)

    물질로 달래는 사람들이 요즘 많아요.
    여자들 허영심도 한몫하구요.
    진짜 앉을 곳도 없이 좁은데 덩치 큰 살림살이를 모셔놓고 사는 사람들이 울 나라 사람들 같아요.

  • 11.
    '14.7.17 3:14 PM (14.52.xxx.252)

    일단 제조회사의 가격 책정이 조금만 더 보태서 기왕이면 큰걸 사도록 유도하는 측면이 있겠죠~
    크면 사용하기도 편하기도 하고
    제 취향은 생활이 좀 불편해도 집이 좁아지는 걸 싫어해서 최대한 작은 걸 골라서 사기는 해요
    그리고 특히 냉장고는 음식물쓰레기 대기 장소가 되기 쉬워서 양문형 중에서 젤 작은 걸 샀더니 보는 사람마다 한마디씩.. ^^;;;

  • 12. ....
    '14.7.17 3:20 PM (211.252.xxx.12)

    광고에서 십년은 쓴다고 더크고 성능좋은거 사라고 꼬드기잖아요
    저두 첨엔 큰게 좋은줄알고 무조건 큰거 사려다 돈도 없고 이리저리 알아보니 쉽게 선택할 수가 없었어요
    그래서 내린결론은 집에 맞게 내가 가진돈에 맞는 선에서 최선의 선책을 한다였어요

  • 13. ...
    '14.7.17 3:23 PM (218.234.xxx.119)

    집 큰 거 사기는 오래 걸리고 힘들지만 가전 큰 거 사는 건 상대적으로 쉬우니까.

  • 14. 집이
    '14.7.17 3:24 PM (175.223.xxx.232) - 삭제된댓글

    좁다고 사람까지 작지는 안잖아요.
    집이 크건 작건 한사람한테서 나오는 빨랫감이나 이불 크기는 비슷하니 세탁기가 큰게 좋겠죠. 먹는것도 비슷하니 냉장고도 큰게 좋겠죠.
    다른건 몰라도 두 개는 큰게 좋겠죠.

    부엌에 물건이 멋드러지게 나올 수 있는건 잡지 속에서나 있은법한 일이죠.
    현실은 먼지, 기름때에서 벗어나려면 기물들이 안쪽으로 다 들어가야 해요. 다른거 할 일도 많은데 그 언제 나와있는 물건 다 닦고 사이사이 닦나요...
    삭아요 삭아 사람이...

  • 15. ..
    '14.7.17 4:07 PM (220.124.xxx.28)

    혹시 혼수 준비하는 예비신부인가요??
    작은평수에 티비 댑따 큰거 넣으면 눈 아프던데;; 눈도 자꾸 큰것만 보면 나빠져요.
    냉장고는 솔직히 클수록 좋습니다. 김치냉장고는 좁은 평수일수록 스탠드형 사야할테고요.
    세탁기는 세탁기 넣는 지정자리가 있잖아요. 평수가 크던 작던 왠만한 크기는 다 들어가요. 이불빨래등 생각하고 드럼 15키로는 사는게 좋죠.

  • 16. 음...
    '14.7.17 5:05 PM (175.182.xxx.232) - 삭제된댓글

    가전제품은 집 크기보다는 식구수에 더 영향을 받죠.
    100평살아도 두식구면 큰거 필요없고
    18평 살아도 엄청 먹어대는 청소년기 아이 둘이상 있으면 냉장고 큰거 필요하고
    이불빨래라도 할려면 세탁기도 큰게 필요하죠.
    제 친구는 남편이 큰거 못사게 해서 싸우다가 결국 작은거 샀는데
    매일 열냅니다.

  • 17.
    '14.7.17 6:25 PM (124.50.xxx.70)

    저도 살림해보니까 오히려 냉장고는 어느 정도 작은 것이 더 좋다고 느끼는데요.
    냉장고가 크면 아무래도 쟁여두게 되어서;;; 시원시원하게 들어가니 넣을땐 좋은갑다 하지만
    결국 청소할때마다 버리게 되는 것이 반은 되는 듯;;
    그 쟁여둔 것을 시일맞춰 모두 이용하는 살림쟁이라면 ok이지만...
    반찬도 채소도 고기도 신선할때 그때그때 해 먹고 2-3일 보관하는 용도로 쓰면
    냉장고 큰게 필요가 없거든요. 건강에도 좋구요. 냉장고에 오래 둔 음식이 건강에 좋을리 없으니까요.
    본인이 얼마나 요리에 취미가 있을지 모르는 새댁들에게 무조건 큰 냉장고는 비효율의 극치라고 봐요.
    핵가족에 1-2인가구 늘어나는데 냉장고는 이상하게 덩치크게만 만들어 팔아재끼는 대기업의
    상술인것도 같구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4885 검찰의 선물로 보는 박영선 비대위의 앞날 4 정치의앞날 2014/08/07 1,472
404884 강동구에 가격대비 마사지 잘하는곳 소개 부탁드려요 5 2014/08/07 1,469
404883 생애최초대출 금리 질문 드려요 1 고민 2014/08/07 896
404882 첫만남에서 남녀가 동시에 첫눈에 반할 확률 17 인연 2014/08/07 17,899
404881 2014년 8월 7일 경향신문, 한겨레 만평 1 세우실 2014/08/07 957
404880 일반 부모들의 착각.. 33 베스트 글 .. 2014/08/07 15,559
404879 윤일병 비장이 파열될 정도로 맞았다는데 9 ㅇㅁ 2014/08/07 2,282
404878 사대보험 신청절차가 어떻게 되나요? 4 ... 2014/08/07 4,748
404877 오늘 동해바다 해수욕 추울까요? 6 찐감자 2014/08/07 1,531
404876 한국에서 방문한 사촌의 가족(원글 삭제하고 나중에 후기 올릴게요.. 56 Hard 2014/08/07 14,028
404875 국방위, 윤일병 사망 부대서 '단체사진' 논란 5 .... 2014/08/07 1,652
404874 세월호 피해학생 대학입학 특별전형 실시 23 ..... 2014/08/07 2,247
404873 유나의 거리 보다보니 별게 다 궁금하네요 4 콜라텍 2014/08/07 1,905
404872 새끼발가락 모두 몇 마디인가요? 12 함세보세요... 2014/08/07 3,553
404871 세상에서 논리와 놀 수 없는 부류들... 희망을접고 2014/08/07 849
404870 누가 저 찾으시던데 2 TDDFT 2014/08/07 1,799
404869 아무것도 않하고 방학이 갔네요 5 그저 2014/08/07 1,647
404868 실종자분들 이름 함께 부르는 거 어렵지 않아요 9 자기 전에 2014/08/07 710
404867 갑자기 현관 센서등이 켜지는 이유는 뭘까요? 12 뭘까! 2014/08/07 25,604
404866 결혼후 연락없는친구? 4 ..... 2014/08/07 4,354
404865 춘천가는 방법, 소양강 (닭갈비) 가는 방법요... 6 == 2014/08/07 1,674
404864 얼마나 원통할까요!!!! 다음에 내딸이.... 7 닥시러 2014/08/07 2,344
404863 세월호 사고 해역서 어선-화물선 충돌..선원 구조중(1보) 속보 2014/08/07 996
404862 아들만 둘인데요 이럴땐 어떻게 받아칠까요? 42 받아치기질문.. 2014/08/07 6,513
404861 가해자들은 합의를 요구하고 있다네요.. 37 열받네요. 2014/08/07 15,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