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여자로써 직업적으로 최고가 되려면요

여자 조회수 : 3,330
작성일 : 2014-07-17 03:57:05
김빛내리교수님처럼 여자임에도 자기 분야에서 최고인 분들 있잖아요
힐러리 장관이나 라가르드 IMF총재나 옐렌 미국연방은행 총재 처럼요
한국에서 자기 직업군에서 최고의 위치에 오르면서
가정생활을 병행하는 것이 가능한가요?
82에는 다양한 분들이 계시니까 
자기 직업군에서 최고가 되기 위해
노력하시는 분들이 계실 것 같은데요
나이가 들수록 직업에서 성공하고 싶다는 마음이 줄어들고
현실과 타협하고 싶고 가정생활에 충실하고 싶고 그래요
지금까지 고생한게 아까워서 버티고 있기는 하지만
아기도 갖고 싶고 남자들과 경쟁하지 않고 편하게 살고 싶기도 하고요
어떻게 사는게 맞는지 모르겠어요..

IP : 130.132.xxx.84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7.17 4:00 AM (182.227.xxx.119)

    힘들것같아요.
    집안 일 신경 안 쓸수있게 전적으로 서포트해주는 사람이 있을거라고 생각해요.

  • 2. 공부하는아빠
    '14.7.17 4:18 AM (118.32.xxx.103)

    한국에서 그렇게 성공한 경우는 자녀들이 할머니 손에서 큰 경우가 대부분 이더라구요.
    아니면 기혼이든 비혼이든 아예 무자식이거나....

    미국은 모르겠고 제가 아는 분 중에 프랑스 여자분인데 굉장히 유명한 학자 분이 있어요. 예나 지금이나 왕성하게 연구활동 하구요. 근데 그 분은 자녀가 무려 7명이고 손수 키우셨다고 하시더라구요.

    어떻게 그게 가능한가 여쭤본 적이 있는데 프랑스니까 가능한 것이더라구요. 거기는 애가 태어나면 국가가 키운다는 마인드로 여러 지원을 하는 나라라.... 남편들도 우리나라보단 육아에 훨씬 적극적이구요.

    아 그러고보니 제 사촌누나 중에 누나는 유학갔다온 대학 교수인데 매형은 그냥 회사원 생활하다가 지금은 시골내려가서 농사짓는 분 있어요. 매형은 여자가 더 잘나가는 것에 대해 열등감없고 집안일이 체질에 맞는 분이고, 사촌누나 역시 남편 직업이나 사회적 지위에 연연하지 않는 분이니 가능한 상황이겠죠.

  • 3. 가정적인 부분에서
    '14.7.17 6:19 AM (175.223.xxx.75)

    어느 정도 본인도, 기족들도 쿨한 경우 가능한 듯 해요. 지금은 떠나온 업계인데 그분은 일적으로는 굉장히 완벽주의자면서 가정사에는 쿨해요. 난 원래 살림 잘 못하니까 이정도면 대단해..하면서요. 아들 둘 훌륭히 키우고 시어머니 돌아가실 때까지 잘 모셨고 개신교인데도 제사 다 지내고 맏며느리라 아랫동서들 지휘(?) 잘하셨구요. 그냥 말만 들어서는 불가능같은데 그분 성격이나 평소 사시는거 보면 가늠이 되더라구요. 뭐 정말 어마어마한 분들은 직접 보지 못해서 모르겠고 제 주변에는 그렇네요.

  • 4. 제 분야에서...
    '14.7.17 8:52 AM (14.36.xxx.208) - 삭제된댓글

    제일 잘 나가는 여성들 보면 독신이시거나 아이를 완전히 할머니 한 분이 키워 주세요. 유학할 때부터 아이는 한국으로 보내서 시댁이나 친정에서 키우게 하더라구요. 아이들 둘 데리고 미국에서 한국에서 지지고 볶다 보니 최고가 되기는 어느 새 포기하게 됐네요. 그래도 저는 제 아이들 제 손으로 키운 게 더 가치롭게 느껴져요.

  • 5. 가치관차이죠
    '14.7.17 9:02 AM (1.240.xxx.189)

    성공한 여자치고 애 줄줄이 많은여잔 드물더라고요..아무래도 애가 많음 밖활동이 어렵긴해요.

    집에서 애키우는게 좋은여자가 있듯 밖에서 큰세상을 누비며 성공하고픈 여자가 있듯이..

    전 후자쪽이 좋아요...나이들어서 어차피 자식은 다 떠납니다.

  • 6. 윗님 말씀처럼...
    '14.7.17 9:14 AM (14.36.xxx.208) - 삭제된댓글

    꼭 둘 중의 하나를 택하는 문제는 아닌 거 같구요. 제 주변의 의사 교수 변호사 등등 여성으로서는 가장 괜찮은 직업군의 분들 중에도 아이들을 중심에 놓고 사시는 분들 많아요. 절대적으로 같이 보내는 시간 얘기가 아니라 삶의 무게가 가정으로 많이 기울어 있다는 의미에서요. 저도 그 중 한 사람이구요. 그런데... 그 정도에서 만족하지 않고 그 분야에서 최고가 되기 위한 야심이 큰 사람들은 가정을 갖지 않거나 아이를 삶에서 많이 지우고 사는 거 같애요.

  • 7. ...
    '14.7.17 9:23 AM (218.234.xxx.119)

    다 그런 건 아니겠지만 아예 빨리 결혼해서 아이를 일찍 갖는 게 방법일 수도 있어요.
    저 아는 외국계 기업체 여자 이사님이 그런 케이스.
    (제가 아는 외국계 근무하는 나이 많은 여자분들은 대부분 결혼 늦게 하고 아이도 늦게 갖는 편인데
    이 분은 반대)

    25세에 결혼해서 아이 하나 낳았는데 그때는 친정엄마도 50 정도 이시니 애 봐주시는 데 체력적으로 덜 힘듬.
    아이가 중학교 들어가면서부터가 직장생활에서는 본격적으로 경쟁 시작되는 30대 중반..

    대부분은 직장이나 학업(교수들) 때문에 결혼을 늦게 하는데, 애매하게 늦게 해서는 경쟁 심한
    30대 중후반에 육아 때문에 일에 전념할 수 없는데 이 분은 외려 반대..
    아이가 중고등학교 들어가니 어차피 자녀가 집에 늦게 들어오니 야근도 불사.

    이 이사님이 지금 연세가 50이신데 지금 자녀가 대학교 졸업하고,
    3세대 모녀(친정엄마.자기.딸)이 같이 여행 다니고 놀러다닌다고..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7089 비율 ??? 3 drawer.. 2014/08/13 1,202
407088 자게 히트 영어공부 경험자 -라니님 보세요~ 19 점셋 2014/08/13 3,734
407087 맛있는 쿠키가 너무 먹고 싶어요 9 ... 2014/08/13 2,744
407086 세월호2-20) 점점 객실도 무너진다는데., 얼른 돌아와주세요!.. 27 bluebe.. 2014/08/13 1,489
407085 조선총잡이 견디다못해 컴퓨터 방으로 왔어요. 4 아이고 2014/08/13 2,347
407084 교황님이 세월호에 관심 많으시고 구조작업첵크하신답니다 28 .... 2014/08/13 2,931
407083 초등아이가 쓸만한 고데기~ 5 고데기 2014/08/13 1,086
407082 부재자,거소투표는 나경원이 완전 왕!!이네요... 12 신기해요^^.. 2014/08/13 1,638
407081 40넘어가니 연예인도자기나이로보이네요 13 ㄴㄴ 2014/08/13 4,495
407080 괜찮아 사랑이야 조인성 형의 정체 대체 뭡니까? 2 왜저랴 2014/08/13 3,170
407079 70학번 정도 되는 학번이면 이대도 돈만 있으면 갔나요? 40 궁금.. 2014/08/13 5,606
407078 믹서기 추천 좀 해주세요. 2 say 부자.. 2014/08/13 1,315
407077 해무 봤습니다(약스포) 22 우리 2014/08/13 4,699
407076 낡은 장비 때문에 다치고 돌아가시는 소방관님들을 도와주세요 3 ... 2014/08/13 601
407075 시어머님 첫생신상 메뉴 좀 추천해주세요~ 6 무화과 2014/08/13 1,436
407074 여자 둘이 가는 9월 국내 여행 7 친구 2014/08/13 3,150
407073 문정현,문규현 신부님 형제예요? 1 .. 2014/08/13 1,521
407072 Jtbc뉴스는 sbs뉴스와 비교해도 차원이 다르네요. 5 기자정신 2014/08/13 1,641
407071 수입과자점 창업 빠질때 인가요? 창업 2014/08/13 2,139
407070 시어머니랑 사우나 가보셨나요? 9 2014/08/13 2,731
407069 고구마줄기 자주색 초록색 다른점 뭘까요? 3 // 2014/08/13 2,067
407068 다음클라우드 자료요~~ 1 82쿡스 2014/08/13 566
407067 건강검진결과 종양지수가 정상보다 높게나왔어요 5 건강검진 2014/08/13 2,770
407066 바이올린 한번 더 여쭤봐요 8 --- 2014/08/13 1,746
407065 1년 사이에 키 확 큰 자녀 두신분들 무슨 특징이 있나요? 29 . 2014/08/13 7,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