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컴퓨터도 비싼게 좋을까요?

궁금궁금 조회수 : 1,775
작성일 : 2014-07-15 10:03:10

선풍기 비싼거 좋다는 대문에 걸린글 보고 문의 드려요

남편은 컴퓨터를 꼭 매번 조립형을 삽니다

전자상가가서 부품 이거저거 주문해서 조립 의뢰하는거요

저는 삼성이나 이런 완제품을 샀으면 좋겠는데

가격대비 이게 훨 낫다며서 고집이네요

문제는 잊을만하면 컴퓨터가 말썽을 일으켜요

남편이 이분야 좀 안다고 대충 손봐서 고쳐놓긴하는데 완벽수리가 아니고

뭘 모르는 제가 봐도 그저 임시방편이에요

본체에서 얼마전엔 컴 사용이 짜증날 정도로 완전 탱크 굴러가는 소리가 났는데

이것도 조금 소음 줄여놓더니 더이상은 안된다고

그러다가 저절로 소음 없어지고...

집에서 재택근무하는것도 아니지만

다른건몰라도 컴퓨터는 좀 좋은거 사야하는게 맞지 않나 싶어서요

3-4년에 한번은 프로그램 다 지우고 새로 깔고 하는데

저장해놓은거 날리고 미치겠어요

 

IP : 183.109.xxx.150
20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7.15 10:09 AM (180.70.xxx.149)

    대기업 컴퓨터를 사는 이유는 AS 때문인듯요. 컴퓨터 구조를 전혀 몰라서 대처하기 힘들때.
    어차피 여기 저기 다른 회사들 부품 조립해서 내놓는건데
    좀 안다면 쓰임새 맞게 조립해 쓰는게 경제적이고 사용 만족감도 높겠지요~

  • 2. ..
    '14.7.15 10:10 AM (180.70.xxx.149)

    중요한 자료 같은거는 외장하드 하나 장만 하셔서 수시로 백업해 놓으세요~

  • 3.
    '14.7.15 10:12 AM (221.155.xxx.76)

    전 제가 조립형 부품 하나하나 따져보고 사는데요
    삼성이나 이런 완제품에서 좋은 컴퓨터는...
    예를들어 일반인이 인터넷하고 게임정도하기에 빠르고 좋으려면 저장용량 크고, 사람으로 따지면 뇌부분에 해당하는 cpu가 좋으면 장땡이거든요
    근데 대기업 아주좋은 컴은 설계하는 사람들이나 쓸법한 기능 이런 불필요한 부분까지 풀세트로 해서 가격을 쓸데없이 많이 받는 게 있죠
    이게 너무나 아까워요 쓰지도 않는 기능에 돈쓰느니 그 돈으로 그래픽카드를 좋은걸 쓰거나
    눈에띄게 차이나는 빠르기에 그 돈을 쓰고 싶어요
    예를들어 부팅이 1-2초만에 금방되는 부분이요
    저는 요런거 다 공부해서 조립식으로 70만원 정도에 샀는데 비슷한 사양으로 삼성컴 보니 135정도 하더라구요
    저도 주부니까 원글님 맘도 충분히 이해해요 ㅠㅠ
    근데 자주 고장나는 부분은 왜그런지 알수가 없네요
    싸게 조립하는것도 좋지만 제대로 알고 좋은 판매자를 만나야하는것도 중요한거같아요

  • 4. 오선생오셨수
    '14.7.15 10:12 AM (218.147.xxx.56)

    OS 다시 깔기 서비스 하지 않는한 대기업 서비스 받아도 임시 방편인건 마찬가지고요. 3~4년에 한번씩 설치하는거면 거의 안하시는거네요. 소음문제는 애초에 부품들의 궁합이 안맞는걸 잘못 사신거고 고칠려면 부품 교체해야해요. 자료백업은 어느 제품이건 사용자 몫이지요.

  • 5. 원글
    '14.7.15 10:12 AM (183.109.xxx.150)

    백업은 해놓고 있어요
    그냥 귀찮기도하고 비싼건 이런 번거로움이 없지않나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 6. ㅇㄹ
    '14.7.15 10:13 AM (211.237.xxx.35)

    근데 대기업 피씨가 (엘지나 삼성등등 )모든 부품을 자체생산하는게 아니고
    부품은 하청을 주고 조립만 해서 파는거래요.
    그러니 컴에 대해서 잘 아는 사람이면 더 좋은 부품을 더 저렴한 가격에 자신이 원하는 사양에 맞게
    조립하는게 낫긴 하겠죠.
    대기업 피씨가 좋은 이유는 딱 한가지에요. AS가 비교적 간편하다.
    돈을 지불하기만 하면 부르면 온다 이건데요. 또는 프로그램의 문제일경우 원격 AS를 해준다 정도에요.
    저 엘지 노트북 쓰는데 AS맡겼더니 오히려 딱 자기네 기준에만 맞는 AS해주더군요.
    그 해당회사 AS센터 말고도 다른 피씨(피씨닥터 뭐 이런 업체들) 수리업체도 비슷한 가격에
    더 좋은 AS해주더군요.
    그거 보니 뭐 꼭 대기업 피씨 필요 없는듯..
    대기업 비싼 피씨도 말썽 일으켜요.

  • 7. 원글
    '14.7.15 10:14 AM (183.109.xxx.150)

    답변주신분들 다들 감사합니다
    선풍기 글 보고 더 예민한 기기인 컴퓨터는 오죽하랴 싶었는데
    아닌가보네요
    그냥 남편말 들어야겠어요 ㅎㅎ

  • 8. 지나가는사람2
    '14.7.15 10:16 AM (210.104.xxx.130)

    꼭 조립PC가 더 않좋고 대기업PC가 좋다는 것은 아니구요. 어떤 부품(메인보드, 파워, 그래픽, 등등)을 썼느냐가 중요하지요.

    오히려 대기업PC는 이윤때문에 가까스로 품질한계에 맞춘 부품이나 저가형을 쓰는 경우가 많아요. 물론 AS문제도 있긴 한데 그래봤자 1년이지요.

    제 경험상 좋은(=비싼) 부품으로 조립한 PC는 4~5년은 너끈히 갑니다. 물론 SW문제는 별개지요.

  • 9. 존심
    '14.7.15 10:20 AM (175.210.xxx.133)

    일반 가정용으로는 완제품이 더 낫습니다.
    아무리 하청을 받아도 부품간의 버그는 잡혀있습니다. 하지만 조립품은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습니다.
    즉 좋은 부품이라도 서로 맞지 않는 경우도 있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비싼 것이 좋으냐는 대체로 비싼것이 좋은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용도에 따른 컴퓨터의 선택이 낭비를 막는 것이지요.
    컴퓨터 사양을 가장 많이 따지는 것이 게임입니다. 게임마니아라면 당연히 비싼 컴퓨터를 선택해야 합니다.
    그러나 82하고 서핑 그리고 유투브정도의 동영상이라면 굳이 비싼 고사양의 컴퓨터를 살 필요가 없지요.

  • 10. 지나가는 사람 3
    '14.7.15 10:21 AM (1.215.xxx.84)

    남편분이 스스로 조립하여 사용하실 정도면,
    가격대비 성능비 가장 우수한 것으로 사용하고 계시는 것입니다.
    윈도우 다시 깔고 하는 것은 대기업 것도 마찬가지이니 논외 (이건 사용자의 문제입니다)

  • 11. 공부하는아빠
    '14.7.15 10:25 AM (118.32.xxx.103)

    대기업 PC도 똑같이 고장납니다. 근데 가격은 훨씬 비싸죠. 쓰이는 부품도 가격대비 좋은 부품 안씁니다. 특히 요즘 나오는 일체형 PC는 이쁘긴한데 집에서 수리하려면 난감한 경우 많습니다.

    대기업 PC는 애초에 공략하는 마켓이 컴맹 사용자 + 기업 납품입니다. 왜냐면 AS가 편하거든요. 근데 컴퓨터를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들은 그 가격 거품이 어느정도인지 알기 때문에 친구한테 술한번 사주고 조립 부탁할지언정 대기업 제품 잘 안씁니다.;;

  • 12. qas
    '14.7.15 10:39 AM (112.163.xxx.151)

    대기업 컴퓨터 부품 보면 쓰레기입니다.
    컴퓨터는 부품 따져서 조립하는 게 훨씬 나아요.

  • 13. 안알랴줌
    '14.7.15 10:40 AM (125.7.xxx.6)

    좋긴 좋은거 같더라고요...

    지난 해 1월에 여기저기 알아봐서 최고사양으로만 조립을 하던데 아직까지도 별문제없이
    게임을 열씸히 하는 것을 보면... ㅎㅎ

  • 14. qas
    '14.7.15 10:41 AM (112.163.xxx.151)

    3~4년에 한 번 포맷하는 거면 매우 양호한 수준이구요,
    3~4년에 한 번 포뱃하는 걸로 짜증나시면 컴퓨터는 매우 오래 사용중이신데,
    컴퓨터는 냉장고나 세탁기처럼 10년~20년 사용하는 제품이 아니예요.

  • 15. 탱자
    '14.7.15 10:45 AM (61.81.xxx.37)

    컴퓨터에서 탱크 굴러가는 소리나는 경우는 팬에 먼지가 많이 끼어서 그럴겁니다.

    특히 그래픽카드의 팬에 먼지가 끼면 소음이 커지죠. 이런 경우 케이스를 열고 가는 철사 또는 젖가락으로 팬에 낀 먼지를 제거해주면 소음이 작아지거나 사라집니다.

    참고로 저는 일년에 한 번 씩 이렇게 청소해줍니다.

  • 16. 자취남
    '14.7.15 11:02 AM (133.54.xxx.231)

    최고사양으로 조립해도 고장나는것은 마찬가지입니다.

    최고사양이면 무거운 프로그램이 잘 돌아가는것이고 고장과는 별개입니다.

    대기업제품은 가격대비성능은 최하급입니다.

    그 가성비가 심해도 너무 심해서 한성 등 중소기업은

    대기업제품과 유사한 사양으로 조립하여 저가 완제품을 판매합니다.

    기본적인 컴퓨터수리를 본인이 한다면 대기업제품은 전혀 필요없다고 봅니다.

    대기업 AS속도보다 본인이 AS하는게 더 빠릅니다.

    3년 지나면 구닥다리되는 컴퓨터라는 제품특성상 더 그렇습니다.

  • 17. 선풍기와는 달라요
    '14.7.15 11:46 AM (175.212.xxx.66) - 삭제된댓글

    동급의 성능이라면 싼 것일 수록 가격대비성능(가성비)이 좋은 것이죠. 예를 들어 똑같은 cpu를 채용했는데 대기업 pc는 1백만원, 조립이 50만원이라면 어느 것이 더 좋은 것이겠어요?

    게다가 메인보드,그래픽카드 등 개별 부품에서도 선택의 여지가 없는 대기업 제품보다 조립품은 좋은 부품만 골라 쓸 수 있는 장점까지 있어 여러모로 봤을 때 훨씬 더 경제적인 셈이죠.^^

    남편 분의 선택이 옳습니다. 저장해 놓은 것 날리는 것은 pc성능과는 전혀, 전혀 관계없는 사안이에요. 컴퓨터를 잘 다루냐, 그렇지 않느냐는 pc운영에 관한 문제기 때문에 같이 생각해서는 안돼죠.

  • 18. ...
    '14.7.15 12:47 PM (211.253.xxx.57)

    LG노트북 일년 좀 넘게 썼는데 모니터액정이 나갔어요. 무상수리 해주는거보고. 역쉬.. 했어요. A/S 생각하면 메이커가 낫지요.

  • 19. 근데..
    '14.7.15 1:21 PM (210.219.xxx.192)

    컴퓨터 한번 사면 어지간해선 돌아가실 때까지 AS 받을 일은 없던데요.
    저는 조립컴 쓰고 있느데 만족해요.

  • 20. 흠....
    '14.7.21 6:05 PM (180.233.xxx.186)

    통상적으로 메이커 컴퓨터보다 조립컴퓨터가 더 싸고 좋은것은 사실입니다.같은 가격대라면 조립이 성능은 월등합니다.단 컴을 관리해줄 능력이 조금 필요하겠지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1425 日은 위안부 유엔권고 거부, 朴은 도쿄지사 면담 ‘쇼’? light7.. 2014/07/27 614
401424 사골국 끓일 때 마늘 넣나요? 4 아줌마 2014/07/27 3,299
401423 서정희씨 관련 처음이자 마지막글 하나 적을께요 24 .. 2014/07/27 18,210
401422 점심 뭐 드시나요 8 2014/07/27 1,661
401421 장조림 할때 맛간장 쓰면 안되나요? 설탕 넣지 말라길래.. 7 -- 2014/07/27 2,138
401420 이 증상 뭘까요? 6 dma 2014/07/27 1,272
401419 . 40 고민 2014/07/27 16,533
401418 나이들 수록 다이어트 진짜 힘드네요 6 ... 2014/07/27 3,385
401417 이탈리아 사시는 분 계세요? ... 2014/07/27 725
401416 왜 나를 그리 빤히 쳐다보는걸까 7 마트 2014/07/27 3,721
401415 배가 너무 빨리 고파요 2 2014/07/27 1,623
401414 맛있는 들기름은 어디서 사야 하나요? 4 ... 2014/07/27 1,894
401413 이수역 주변 중학교 좀 알려주세요 4 미세스김 2014/07/27 1,486
401412 슈퍼맨이 돌아왔다에서 세쌍둥이요 18 2014/07/27 13,520
401411 세상에나.. 이런 일이.. 진짜 2014/07/27 1,294
401410 국민연금 이나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일하시는 분 있으신가요?? 3 ㅇㅇ 2014/07/27 1,862
401409 수산물 부페 어디가 최강인가요? 7 추천부탁 2014/07/27 2,672
401408 요가하다 골반근육이 충격받아서 아픈분 계신가요? 7 달이 2014/07/27 2,332
401407 시카고피자 맛있나요? 1 홍대 2014/07/27 1,739
401406 오사카.2박3일.중, 중간 하루 자유여행... 15 첫.일본여행.. 2014/07/27 2,905
401405 장사는 이렇게 하는 것입니다. 2 꺾은붓 2014/07/27 3,104
401404 치질 증상, 눈이나 잇몸 통증 동반하나요? 2 --- 2014/07/27 1,207
401403 요새 젊은 부부들은 sns 때문에 .. 49 라면 2014/07/27 19,038
401402 대상포진 증상이 있는데,, 오늘 일욜이라 낼 가도 될까요? 9 .. 2014/07/27 5,050
401401 속바지 혹은 속치마 어디서 사야해요? 3 원피스 안에.. 2014/07/27 1,9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