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가르쳐야 할 건 언제 어디서든 새로운 걸 배우고 익히고 옳은 판단을 하게 하는 것

~~ 조회수 : 762
작성일 : 2014-07-09 19:12:13

저는 대학에서 강의를 합니다.

보따리 강사지요. 아마 명문대 글 쓰신 분보다 제가  나이나 학번으로 위일듯 하네요.

네. 저도 그 대학에서 박사했고 연구교수 하다하다 때려쳤다 이젠 강의합니다.

교양과목 주로 하는데 이 아이들 과학 영역의 교양 들어야 졸업되는 탓에

고등학교때 듣도 보도 안했던 이상한 내용 수업한다고 싫어라 합니다.

요즘 문과아이들은 과학을 1학년때 조금 하다 만다고 하네요.

 

그럼 저는 학생들을 슬슬 꼬시죠.

학생여러분~ 

앞으로 여러분들이 살 세상은 내가 살아온 세상과 달라서

어떤 지식 그 자체를 쓰게 될 일은 전혀 없다.

내가 지금 가르치는 이 내용은 5년만되어도 구닥다리가 되어있을 거야.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걸 처음 발견하고 알아냈던 방법을 이해하면

너도 새로운 거 나와도  이해하고 더 나아가 그걸 쓸 수 있게 된단다.

그러면서 우리 세상에 이런거  만드는 멋진 사람들이 있고 이런 연구를 하는 사람들이 있고,

우리 생활과는 이렇게 연결되어 있단다.

요딴 소리를 하죠.

 

심지어는 니가 이런쪽 사업을 하는게 니가 아는 쪽만 가지고 사업하는 것보다 낫지 않겠니?

혹은 이런쪽과 연결된 문과쪽 학문을 이야기하며

이상한 융합을 외치기도 합니다.

 

실은  진심입니다. 세상은 변해서 대학때 배우는 지식으로 평생을 살 수 있던 시대가 아닌 시대를 살고 있고

앞으로 우리 애들은 더 그런 변화앞에 놓여지게 될겁니다.

 

지금 명문대생들이 요구하는 프리미엄은 예전처럼 변화가 적던 시절에  얹어줄 수 있는 거였어요.

스카이가 내 앞길을 보장해주는 줄 알고 공부를 하고 대학을 갔다면 그것자체가 잘못이였다는 거죠.

 

대학에서 강의를 다녀봄 전공수준은 대학에서 다시 새로운 출발선입니다.

아주 어려운 천재나 해야하는 전공들은 모르겠으나,

제가 하는 쪽은 열심히 공부하는 게 장땡인 분야여서 더 그런지도 모르겠습니다.

평균적으로 학부가 좋을 경우  더 잘할 가능성이 높긴 하지만 한 과에서 얼마나 실력이 천차만별이었는지 기억하시죠?

제가 수업하는 한 클래스의 학생들도 본인이 어떤 한학기를 보냈느냐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하물며 대학 4년은요? 아니 인생에서의 10년은요?

 

흔히들 중학교때 성적이 고등성적이 아니라고 하면서, 왜 고등성적이 대학성적이 아니고, 대학성적이 인생 성적이 아니라는 생각은 하지 않을까요?

 

지긋지긋하게 고등학교때까지의 성적가지고 평생을 논하는 이전의 프리미엄은 우리 모두 내려놓고

걍 심플하게 저 사람은 고등학교때 열심히 한사람,

대학학부가 별로지만 성공한 사람은 걍 심플하게 저 사람은 대학이후 노력한 사람

이렇게 봐주는 게 맞지 않나 합니다.

이건 아마도 회사도 마찬가지일듯요. 회사일이 공부일과 얼마나 연관되어 있으려나요?

업무가 프리젠테이션을 요하면 그걸 잘하는 사람, 새로운 아이템을 잘 찾아야한다면 그것으로 다시 평가받아야 하는 거죠.

 

저도 두 아이의 엄마고, 내일이 마지막 기말고사인 우리애들

꼭 명문대 sky가야 하냐고  묻진 않아요. 애들도 가고 싶어 합니다.

제가 애들 학교에서 상담선생님(오지랖도 넓지요)도 해봐서 아는데 아이들 전교 1등부터 꼴등까지 공부가 가장 큰 스트레스인게 대한민국 학생들입니다. 눈물날 만큼 다 잘하고 싶어합니다.

좋은 대학에 안가도 걱정없을 만큼 부자인 엄마 아빠가 아니여서 미안하다고 말은 해줍니다.

 

무슨 얘기를 하려다 이 지경이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프리미엄이 없어진 시대니 보낼 필요없다 하는 얘기에 주저리주저리 했습니다.

프리미엄이 없어지는 게 맞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선의 공정한 방식으로

올바른 교육현장에서, 바른 가치관을 가진 아이들이 성장하기를 바래봅니다.

 

 

 

 

 

 

IP : 14.52.xxx.152
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7.9 7:16 PM (59.10.xxx.225)

    동감합니다.

  • 2. 공감해요.
    '14.7.9 7:19 PM (58.140.xxx.162)

    키워드 '유연성'

  • 3. 공감해요.
    '14.7.9 7:20 PM (58.140.xxx.162)

    '판단력'도요.

  • 4. 추천과 감사
    '14.7.9 10:06 PM (220.76.xxx.234)

    좋은 글이라 댓글 많이 달릴 줄 있는데
    그게 아니었네요
    저도 백배 동감이구요
    이런 글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5. 필독
    '14.7.10 12:32 AM (218.48.xxx.96)

    훌륭한 글 고맙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9933 대학생 여자가방 브랜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3 가방 2014/07/22 2,168
399932 대형마트의 모기매트가격? 쿠이 2014/07/22 757
399931 밉상 시누이가 있다면 소화와전쟁보고 한번 웃어보아요^^ 2 공엄마 2014/07/22 1,212
399930 닭발 추천해주세요 쪼잉시 2014/07/22 794
399929 잊지마..세월호) 82에서 이런 메시지가 2014/07/22 907
399928 제습기 사람 앞에 틀어도... 4 2014/07/22 1,642
399927 중1 아이 영어 레벨테스트 너무 안나왔어요. 19 영어 2014/07/22 12,079
399926 박빙인 경우 거의 새누리가 먹는거... 4 부정선거 2014/07/22 747
399925 계란하고 마요네즈 못먹는 아이 인데. 9 간식 2014/07/22 1,922
399924 침대 매트리스 생리혈.. 10 ㅠㅠ 2014/07/22 6,406
399923 박그네... 1년 4개월 만의 비서관 대면보고 5 무려1년4개.. 2014/07/22 1,563
399922 글 좀 찾아주세요 ㄱㄴ 2014/07/22 1,140
399921 잡무줄여주면 학교폭력해결하는데 도움될까요 학교교사 2014/07/22 627
399920 이라크 파병문제.... rafale.. 2014/07/22 581
399919 중학교 들어가서 멘붕 안오려면 영어독해실력은 최소 얼마나 20 돼야 하나요.. 2014/07/22 2,887
399918 보관 단호박 2014/07/22 812
399917 DKNY 싱글 노처자들 컴온 9 싱글이 2014/07/22 1,574
399916 일안 리플렉스 디카 질문이에요 6 무식 2014/07/22 809
399915 일이너무 커지는거 같아요 속보 9 게으름뱅이 2014/07/22 5,093
399914 33살과 37살 외모 차이 클까요? 29 .. 2014/07/22 12,050
399913 결혼 5년만에 시어머니 첫 생신상 도전합니다. 메뉴 추천좀 해.. 8 워킹맘 2014/07/22 1,809
399912 장터 글은 못 지우나요? 2 ,,,,, 2014/07/22 791
399911 냉동실 비용은 누가? 궁금녀 2014/07/22 1,069
399910 10개월 아가데리고 북유럽 여행..무리겠죠? 6 ㅎㅎ 2014/07/22 1,938
399909 시신 덮은 천 37 궁금증(유병.. 2014/07/22 13,3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