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어머니 인공관절 수술.. 어떻게 해야하나요?

해보자 조회수 : 2,570
작성일 : 2014-07-03 15:03:31
다리 둘다 안좋으시다네요.
한쪽을 먼저 하라고 하셨다는데.. 4일정도 병원있다가 퇴원하시고는 알아서 물리치료 받아야 한데요.
주변분들 말씀으로는 입원해야한다고 하고.. 간병인을 꼭 두라고도 하시네요.
제가 알아야 하고 주ㄴ비해야할것은 뭔지.. 조언을 구합니다.
우선은 수술비가 꽤 드네요
IP : 211.216.xxx.247
8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7.3 3:07 PM (122.32.xxx.12)

    친정엄마 하셨는데 그때 간병할 사람은 없어서 간병인 일주일 정도 썼구요...
    입원은 한달 정도 하셨는거 같기도 하구요..
    퇴원 하시고서도 한동안은 목발 집고 다니시고...
    그리곤 지금 몇년 지났는데..
    안한거 보다는 낫다고 하세요.
    무릎 수술한다고 할때 관절에 칼 대는거 아니라고 주변에서 하도 그래서 저라도 말려야 하나 했는데 친정엄마는 허리랑 무릎이랑 다 하셨는데 둘다 수술 하길 잘했다 하세요.

  • 2. ...
    '14.7.3 3:11 PM (122.32.xxx.40)

    10년전에 두달차이로 두 다리 다 하시고
    작년에 염증이 생겨서 한쪽 다리만 다시 하셨는데요.
    10년전보다 양쪽을 한번에 하시는 할머니들이 많으시던데
    아무래도 한번에 다 하는게 수술 당시는 좀 힘들어도
    마취도 한번이면 되고 입원도 한번이면 되고...
    일주일~10일 입원후에 좀더 재활을 하고 싶으면 다른 병원으로 연계도 해주니까
    한번에 하는게 여러모로 훨씬 좋은 것 같아요.
    수술할때 선택하라고 하던데 무조건 한쪽먼저 해야한다고 하셨나요?

  • 3. ..
    '14.7.3 3:17 PM (122.32.xxx.49)

    시어머니 저번주에 무릎 한쪽만 인공관절 수술하셔써용.. 저희도 4일 입원하고 바로 퇴원시키더라구요..
    병원에선 재활병원 입원 필요없고 집에서 조금씩 운동하면 된다고 하였지만 막상 닥쳐보니 집에선 좀
    힘들어서 재활병원 입원하셨어요..
    간병은 아직은 아이가 어려서 제가 못해 드리고 간병인 따로 구해서 했어요..
    간병인이 있어도 아무래도 며느리이다 보니 매일 가서 뵙고 좀 힘들었네요..
    따로 준비하실건 뭐 입원준비물 정도.. 그리고 인공관절 수술이 굉장히 아프신가봐요..
    저희 어머님은 많이 토하시고 좀 힘들어 하셨어요..

  • 4. 저희
    '14.7.3 3:19 PM (118.219.xxx.92)

    시어머님도 한 4~5년전에 하셨던거 같은데.무릎 관절수술맞죠?
    양쪽가리 다 하실것 같으면 동시에 하는게 낫더라구요.

    저희 어머님은 연세도 있으시고 해서 혹시나 치료 더딜까봐 한쪽 먼저 하시고 한쪽을 나중에 한다 하셨는데 그 연세치고는 경과가 좋아서 일주일인가 2주일만에 퇴원하셨어요(그때 70대 중후반)
    그런데도 수술후에 두려움때문에 차일피일 미루다가 나머지는 일년인지 이년전에 하셨는데 다리길이가 조금 차이나세요.
    그 일이년 사이에도 수술한 다리는 건강하고 나머지 다리는 아프시니 이미 수술한 다리만 계속 쓰셔서 지금은 양쪽이 미묘하게 길이가 다르더라구요.
    그리고 한번에 하셨으면 한번 아프고 마실걸 두번에 나눠하시니 시간 지난만큼 체력은 떨어지고 두려움은 더 커지시고(처음엔 몰라서 걍 하셨는데 두번째는 무서워 하시더라구요.마취깰때 고통때문에)
    그리고 무조건 잘하시는곳 알아보시고 하시구요.
    간병인은 꼭 쓰셔야겠더라구요.걷는데 지장이 생기니 화장실 가시고 하시는것도 일이세요.(24시간 간병인)
    병원에 있으면서 일주일인가는 계속 누워만 지내셨고 나중엔 물리치료도 좀 병해ㅙㅆ구요.
    그 후에도 통원치료도 좀 하셨던건 같아요.
    체력되시면 수술 괜찮은것 같아요.
    어머님도 지금은 만족하시는데 좀 더 젊을때 할걸 그랬다고 그 말씀하세요(회복속도나 이런것 때문에)

  • 5. 해보자
    '14.7.3 3:21 PM (211.216.xxx.247)

    신장이 안 좋으시다고 수술을 권하지는 않았는데 그냥 두면 허리까지 나빠진다는 얘기에 맘을 바꾸셨었요.
    연세는 75세. ..둘다 해도 될까요?

  • 6. 둘다
    '14.7.3 3:26 PM (61.75.xxx.222)

    거의 해야 합니다
    한쪽으로 지탱하다보면 하지않은쪽이 나중 또 힘들어집니다
    80세 넘어도 하시는 분이 계시지만 그건 전적으로 환자의 체력상태를 고려해서 수술에 들어갑니다
    전문간병사를 쓰셔야 수술후 회복 빠르시구요
    또 개인의 체력 여력에 따라 회복속도도 틀립니다
    무릎 관절은 거의 2년 지나면 완전 회복 자기 다리처럼 날라다닐듯이 된답니다

  • 7. 댁글
    '14.7.3 3:28 PM (61.75.xxx.222)

    간병사 필요하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좋은 간병사 알고있거든요

  • 8. ...
    '14.7.3 3:32 PM (121.67.xxx.188)

    인공관절 양쪽다 안좋으시면 양쪽 다 동시에 하시는게 좋아요.
    회복기간은 비슷하답니다. 해야 할정도로 연골상태가 안좋으시면 하루라도 빨리 해주시는게 좋답니다.
    수술후 며칠후면 보조기가지고 보행가능하세요.
    어느정도 다리에 근력이 있으시다면 간병인 오래 안쓰셔도 된답니다.
    무릎그대로 두면 허리까지 않좋아지시니 빨리 해드리는게 좋답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6203 일베의 침투전략과 그에 대한 대응 4 해충박멸 2014/08/06 1,025
406202 드럽게도 부모 말 안듣는 친정 4 조카들 2014/08/06 2,018
406201 제가 소시오패스 특징을 다 가진거같아요..어떻게 고칠수있나요.... 10 ... 2014/08/06 6,047
406200 인바디잘아시는분~~~ 2 뚱녀 2014/08/06 949
406199 한국 vs 호주 모유수유 4 배려 2014/08/06 2,027
406198 돼지고기 넣고 된장찌개 끓여도 되나요 16 ..... 2014/08/06 2,932
406197 제 주변에도 군대땜에 자살한 사람 있어요 4 dddd 2014/08/06 2,612
406196 태어나서 처음으로 강아지키우려하는데 두렵네요 31 궁금증 2014/08/06 2,883
406195 연이은 충격사건으로 국민은 '패닉'…사회적 트라우마 위험수위 1 세우실 2014/08/06 1,243
406194 군대 나갈 아드님을 두신 어머니들에게 혹시 도움이 될지 모르겠네.. 11 꺾은붓 2014/08/06 2,854
406193 비오는날.. 여름 밤에 들을 만한 음악 추천해줘요요~ 3 pefe 2014/08/06 985
406192 국방위소속 의원들 웃으며 단체사진 4 파밀리어 2014/08/06 1,324
406191 식기세척기 문의해요. 6 붕붕카 2014/08/06 1,113
406190 싱글)수박한통 처치 방법 11 수박 2014/08/06 3,026
406189 앞으로 엄마성을 따르는 경우가 11 많아질까요?.. 2014/08/06 2,056
406188 매일 자면서 꿈을 꿉니다. 3 하늘 2014/08/06 1,003
406187 어젯밤 살짝 서늘하지 않았나요? 2 서울 2014/08/06 917
406186 비오는날...참치회집..괜찮을까요? 10 00 2014/08/06 3,342
406185 82 일부 며느리에게 사랑받는 시어머니 되는 방법 27 ㅁㅁㄴㄴ 2014/08/06 2,598
406184 게시판 보니 아들 가진 엄마들 착각이 넘 심하네요.. 75 .. 2014/08/06 12,931
406183 남편한테 의미있는 선물하고 싶을 때 어떤 거 하세요 18 감사한 날들.. 2014/08/06 2,484
406182 지금 청소년 자녀들 뭐하고 있나요? 11 궁금 2014/08/06 1,896
406181 아유 참 남의 일에 입 좀 에지간히 대세요 3 .. 2014/08/06 1,458
406180 중요한 책 말고 버려도 상관 없겠죠...? 5 Cantab.. 2014/08/06 1,205
406179 내일 남편 생일인데 재료가 없어요 22 아들만셋 2014/08/06 2,5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