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기세 주범 찾았어요

전기세 조회수 : 12,302
작성일 : 2014-06-27 08:58:19

주범이니 잡았다고 해야 하나?^^

 

 

오늘 무지 바쁜데 혹시 도움 되실까 해서 급하게 올립니다.

30평대 주말엔 4인 평일엔 3인가구,

티비 없고 기본 가전에

전기렌지 사용하고 뚜껑식 김냉.빌트인 김냉 사용 합니다.

식기세척기는 최근 2주에 한번정도 사용

전기세가 5만원근처에서 왔다갔다 해서 무지 스트레스 받았어요.

딱히 다른 집보다 사용할 곳이 없으니까요

또 전기세에 예민해지면서부터 밥 할때나 물 끓일때

부르스타에 했기 때문에 전기렌지도 많이 사용 안했구요.

며칠 전에 주방 베란다 빌트인 김치냉장고가 고장이 나서

수리를 불렀는데 기사님왈

수리비만 28만원+출장비2만원

그러면 고치는 것보다 사는게 낫고

이 제품이 전기 무지 먹거든요~~해서 포기!!

 

그 후로 전기사용량이 확 떨어졌어요.

제가 자주 숫자를 검침하고 메모도 하고 있던 상황이라

확! 들어와요.

매일 10이나 그 이상 돌아가던 메타기가 6~7정도로 줄었어요.

그럼 한달이면 어마어마 하지요?

이게 성능도 떨어지는 주제에 전기세 먹는 하마였던 겁니다.

습관적으로 쓰던 거라 이건 전혀 의심을 안했어요.

전기렌지, 식기세척기만 원인이라 생각했고

가끔 쓰던 오쿠도 무서워서 들여놓았거든요.

 

이게 그동안 먹은 전기세를 생각하면 ㅎㅎ

암튼 집에 습관적으로 쓰는 가전들 하나씩 살펴 보세요~~~

 

IP : 182.226.xxx.230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김냉 냉매제 가스가
    '14.6.27 9:01 AM (58.143.xxx.236)

    새는 경우도 전기세 무지 많이 든다네요.

  • 2. 오홍
    '14.6.27 9:07 AM (1.241.xxx.189)

    다행히 그녀석이 적당한 시기에 고장나 문제의 주범을 찾을수 있었네요

  • 3. ...
    '14.6.27 9:15 AM (113.10.xxx.147)

    그리고 보온밥솥 보온기능 계속 켜 놓는 게 냉장고보다 더 주범이라고 하더군요.
    또한 컴터 코드도 안 뽑아놓으면 것도 전기세먹는 하마.

  • 4. 저는
    '14.6.27 9:22 AM (115.137.xxx.110)

    작년부터 전기압력밥솥을안쓰고있어요
    밥솥안쓴뒤로 전기세만만원이나줄었어요
    예전사무실에서 온정수기가전기세많이나온다해서
    문의한적있는데 그때12년전에 한달에정수기 온수기능쓸
    한달에6천원정도나온다하더라구요

  • 5. 전기압력솥은
    '14.6.27 9:27 AM (182.226.xxx.230)

    작년부터 사용을 안해요.
    컴은 하루 몇시간씩 켜지만 안 쓸땐 코드 뽑고
    심지어 와이파이도 껐지요.
    정수기는 사용 안하니..
    정말 전기세가 5만원인게 비정상이었죠.
    여름 다가오면서 더운날 어찌 견뎌야하나 벌써부터 걱정을 했어요~

  • 6. 전기
    '14.6.27 9:27 AM (183.106.xxx.178)

    빌트인 가전 정말 에너지 효율 형편없는 제품씁니다...용량은 반도 안되는것이 에너지사용량은 더 많이 나가더군요..빌트인 냉장고...그래서 사용안하니 정말 만원줄었어요....에어컨도 빌트인인데 이것도 그럴것같아서 미리 걱정이네요...럭셔리 아파트 주상복합 어쩌고 하면서 빌트인 가전 해놓았는데 그 빌트인제품들이 에너지 등급이 형편엾는 저가 제품이라는겁니다....

  • 7. ㅇㅇㅇ
    '14.6.27 9:29 AM (121.136.xxx.22)

    전기밥통 전기주전자 사용 않고 부터는 전기 신경 안쓰고 써도 만원대 많이 나오면 이만원 초반이예요. 그전엔 삼만원대였어요.

  • 8. 너 밥솥!
    '14.6.27 9:39 AM (39.118.xxx.23)

    전기압력밥솥 안쓴뒤 월 2만원 가량 요금이 줄었어요.
    두식구라 돌솥에 밥하는데 넘 맛있네요.

  • 9. ...
    '14.6.27 9:42 AM (1.252.xxx.197)

    집에 냉장고, 드럼세탁기, 전자동커피머신, 식기세척기, 전기주전자, 오븐겸전자렌지 이렇게 쓰고 있는데 한달에 전기세 12000원 나와요. 원래 25,000원 나왔는데 빌트인 김치냉장고 쓸모없어서 코드 빼고 나니까 13,000원 줄더라구요.

    원글님댁 빌트인 김치내장고도 우리집처럼 전기먹는 하마였군요.

  • 10. 밤의피크닉
    '14.6.27 1:27 PM (221.153.xxx.203)

    냉장고는 괜찮은데 김치 냉장고만 그렇게 많이 전기가 나가나요??허허 이거 의외네요;

  • 11. ..
    '14.6.27 1:28 PM (125.131.xxx.56) - 삭제된댓글

    빌트인김냉이 자수했네..ㅎㅎ

  • 12. 자수 ㅎㅎ
    '14.6.27 1:50 PM (211.36.xxx.174)

    진짜 맞는 표현이네요
    다른거 열라 감시하고 다녔는데
    숨은 복병이었죠
    근데 스팀다리미도 어마어마 하네요
    7분정도 썼는데 6이나 ㅠ
    요새 맨날 현관밖 검침기 보는게 일상이네요

  • 13.
    '14.6.27 8:06 PM (121.188.xxx.144)

    전기압력밥솥

    장난 아님

  • 14. 자끄라깡
    '14.6.27 9:22 PM (119.192.xxx.215)

    세탁기 전원 안쓸때 뽑아 놓으세요.

    집에 새는 전기 점검하시는 분이 이게 은근 전기먹는 하마랍니다.
    꼭 뽑아 놓으세요.

  • 15. 절약하려는 모습이 다들 이뻐요~
    '14.6.28 7:18 AM (125.182.xxx.63)

    http://emart.ssg.com/item/itemDtl.ssg?itemId=0000007470572&tlidSrchWd=멀티...

    이렇게 이중으로 똑딱이가 달린 멀티어답터에 전기제품을 몽땅 꽂아두삼. 그리고 사용시에만 켜 두면 됩니다. 사용안하면 딱 끄고요. 그러면~ 전기료가 40평대는 2만원선. 30평대는 1만원 선으로 나올거에욤.
    장담합니다.
    다만,,,컴퓨터가 놋북일 경우 입니다. 놋북 두대 맨날 하루죙일 돌리고있음에도 2만 7천원 나옵니다...
    전기 압력밥솥으로 맨날 받해먹고, 전기주전자로 하루 열두번씩 물 끓여 마십니다. 미니 전기오븐올 하루에도 서너번 사용하구요. 드라이어도 맨날 몇번씩 돌리구요. 벌떡서있는 김냉, 20년된 400리터 냉장고,....그리고 매일밤 전기찜질기 배에 올려놓고 잡니다.
    그럼에도 2만원 후반대를 고수하고 있어요

  • 16. 정수기
    '14.6.28 8:42 AM (119.149.xxx.2)

    정수기 찬물 기능 꺼보세요. 한달에 만원정도 덜 나옵니다.
    제가 해 봤거든요. 그래서 정수기 없앴습니다.

  • 17. 저장합니다.
    '14.6.28 9:35 AM (211.207.xxx.203)

    아, 김치 냉장고 냉매 새면 전기새 폭탄, 전기세 절약팁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400441 뒷말이 엄청 많은곳인데,어떻게 처세를 해야 하나요? 3 아줌마들만 .. 2014/07/24 2,673
400440 일상이 그립다 25 건너 마을 .. 2014/07/24 3,293
400439 (세월호 100일 53) 내일 서울 행진 5 나도야 간다.. 2014/07/24 1,075
400438 리트러버 견주와의 일을 궁금해 하는 사람만 보세요. 15 ㅋㅋㅋㅋ 2014/07/24 2,773
400437 팔을 들수 없을 정도인데 통증의학과? 정형외과? 4 질문 2014/07/24 2,546
400436 [100일입니다] 국민이 바꿔야합니다. 1 청명하늘 2014/07/24 848
400435 녹물나오는 집들 대안방법 있나요? 4 궁금이 2014/07/24 2,026
400434 박영선 “예산폭탄, 이정현이면 반대 서갑원이면 찬성” 10 탱자 2014/07/24 1,409
400433 (세월호 100일 - 51) 보고 싶다 얘들아 4 *** 2014/07/24 807
400432 (세월호 100일.50) 저도 갑니다. 4 뮤즈82 2014/07/24 687
400431 (세월호 100일-49) 한 점 의혹도 없을 때 까지 4 노란 리본 2014/07/24 746
400430 세월호 100-45) 저도 내일은 함께 하겠습니다. 4 새로운추억 2014/07/24 722
400429 세월호 100일-46 ) 잊지 않고 있습니다. 두 눈 부릅 뜨고.. 5 ... 2014/07/24 666
400428 도시의법칙 ㅁㅁ 2014/07/24 912
400427 (세월호100-47) 49재때도 비가왔었죠 6 꼭 진상규명.. 2014/07/24 759
400426 (세월호 100일-43)꽃같은 아이들아.... 5 가브리엘라 2014/07/24 573
400425 수박반통은 어케 씻어요? 16 2014/07/24 2,746
400424 큰애가 방학을 했어요 3 ㅠㅜㅡ 2014/07/23 1,646
400423 세월호 100-42), 실종자님들,내일 만나고 싶습니다 .. 12 bluebe.. 2014/07/23 1,028
400422 분당 잡월드 청소년 체험관요~~ 3 분당 2014/07/23 1,895
400421 (세월호 100일- 39) 아버님들 십자가 순례길에 동행하며 6 ㅇㅇ 2014/07/23 925
400420 (세월호100일-40?) 벌써 100일이 다 되어... ㅠㅠ 4 .... 2014/07/23 1,197
400419 이삼년 쓸 차 구입하려는데 새차? 중고차? 리스? 2 2014/07/23 1,389
400418 [세월호 100일 38] 달라진 일상 6 달빛 2014/07/23 725
400417 대만서 항공기 사고..58명 전원 '사상'(종합) 참맛 2014/07/23 2,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