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6/19 재개봉하는 '반딧불이의 묘', 아이들과 보지마세요!

생활의기술 조회수 : 3,117
작성일 : 2014-06-11 10:00:44

 

이미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1945년 8월 15일 우리가 일본으로부터 해방되던 해를 배경으로...

 

일본인들이 전쟁의 피해자인양 묘사된 '감동적인' 애니메이션 걸작입니다.

 

이런 저질 애니메이션이 왜 재개봉하는지 이해할 수가 없는데...

 

자칭 보수라는 우익들이 의도가 있는게 아닌지 의심스럽네요.

 

자세한 건 리뷰를 참고해보세요.

 

http://happynetwork.kr/220017674847

 

 

IP : 121.138.xxx.188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저도
    '14.6.11 10:03 AM (175.113.xxx.9)

    미래소년 코난같은.. TV에서 해주던 만화 말고...
    감동적이라는 말에 이끌려 예전에 그 애니메이션을 봤습니다
    그리고 기분이 확 나빠졌어요. 피해자 코스프레라니...
    그 이후 일드, 일애니 안봅니다.

    무슨 생각으로 이런 내용의 애니를 재개봉까지 하는지 모르겠네요.

  • 2. 일본 만화..
    '14.6.11 10:11 AM (218.234.xxx.109)

    일본 만화 중에 의외로 그런 거 많더라고요.. 순정만화 중에도...
    일본은 군인을 상대로 싸웠지, 민간인을 대상으로는 안했다,
    히로시마 원폭은 민간 일본인을 살상한 것이라 나쁘다...

    에라이 이 썩을 것들... 일본군이 한국인 민간인한테 한 짓은 뭐냐?

  • 3.
    '14.6.11 10:21 AM (175.119.xxx.154) - 삭제된댓글

    저 예전에 본 기억으로는 반전영화로 생각하고
    아주 슬픈 기억으로 남아 있어서
    이번에 초등 아들과 보려고 했는데ᆞᆢ

  • 4. 역사인식의 부재
    '14.6.11 10:22 AM (114.203.xxx.29)

    보통,일반적인, 착한,평범한 일본인들의 한계
    교육이 그렇게 만든거고 이런 애니가 또 그리 만들겠죠
    저 대학때 처음보고서 눈물 콧물 뽑으면서 욕했던 하야오의 반딧불
    제3자의 입장에서 역사를 빼고 작품만으로 본다면 전쟁의 최대 피해자는 어린이
    휴머니즘의 감동이 밀려오겠지만 우리는 직접 피해자이고 절대 그리 보이진 않는 작품인데
    이걸 이 시기에 정식으로 개봉할 필요가 뭘까요

  • 5. 원글님 동감입니다.
    '14.6.11 10:22 AM (112.146.xxx.158)

    일본인의 피해자 코스프레 맞아요.

  • 6. 몰랐는데
    '14.6.11 10:26 AM (203.247.xxx.210)

    정보 감사합니다^^

  • 7.  
    '14.6.11 10:31 AM (1.233.xxx.88)

    주인공 아이들이 장교 아이들인데 무슨 반전영화겠어요.
    게다가 전쟁통에 그 아이들이 어찌나 호강스러운 투정이나 하고 자빠졌는지.....

  • 8. 덧붙이면
    '14.6.11 10:36 AM (114.203.xxx.29)

    저라면 어린 아이보다는 중고생 자녀와 보고서 토론 한다면 좋을듯해요
    당시 우리나라 상황을 설명하고 비교하면서
    왜 일본인들 하고는 말이 안통하는가
    왜 이다지 역사인식이 꽝인가...이런걸로요

  • 9. 이걸
    '14.6.11 10:43 AM (1.227.xxx.83)

    재재봉 한다고요? 왜?

  • 10. ...
    '14.6.11 10:44 AM (58.233.xxx.160)

    저는 그거보면서 가해자인 일본은 이렇게도 자신이 피해받은 것처럼 근사하게 보이는 얘기를 만들어 내는데 왜 우리나라는 그런 작품이 없는지 안타까웠어요 무조건 피할것이 아니라 덧붙이면 님 말씀처럼 아이들과 보면서 되려 이런 부분을 일깨워줘야할것 같아요

  • 11. ㄹㄹ
    '14.6.11 12:28 PM (218.52.xxx.186)

    저는 모르고 그거 아이들과 같이 보고 너무나 열받아서 적나라하게 얘기 다했어요. 저시절 우리나라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데
    학살자, 강도, 강간범과 같은 나라가 피해자인척 불쌍한척하냐고.. 위안부 문제 난징대학살 강제징용
    수탈의 역사 강제합병 민비시해(민비라 부르고싶네요) 등등등 적나라하게 다 말해줬습니다.
    모르면 몰랐지 알고는 가만히 못있죠. 그 남매애비가 731부대원인지 독립군잡던 앞잡이였는지
    난징대학살때 장검휘둘러 민간인 목베기 베틀뛰던 개종자였을 수도 있죠.

  • 12. ...
    '14.6.11 2:36 PM (49.1.xxx.141)

    음, 전 그렇게 생각안했는데요.
    전쟁이란건 어떤나라건 피폐하게 만드는건 사실이니깐 그냥 반전영화라고 생각하고 봤어요.
    주인공 남자애가 일본이 질리가 없다고 울부짖는 장면에서는 저 시대의 한계라고 생각했구요.
    지금도 비난받아야할건 일본이지 일본사람은 아니니깐요. 역사개념이 부족한것도 국가가 일부러 제대로
    숨기고 교육안시키는것도 있구요. 위안부문제보면 열받긴하는데 그렇다고 일본사람 하나하나 붙잡고 멱살잡이하면서 상대할 문제가 아니니깐.
    작품자체로만 보면 잘 만들었죠. 그냥 전쟁때문에 고통받는건 늘 아이, 노인, 여자같은 약자뿐이라는걸 말하고싶었다고 생각해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6043 간장 원래 싼 식재료인가요? 2 ㅇㅇ 2014/07/10 1,064
396042 김용민의 조간브리핑[07.10] 자위대 60년 서울행사하니 생각.. lowsim.. 2014/07/10 777
396041 근저당권 설정 관련해 질문 드립니다. 2 등기부등본 2014/07/10 834
396040 아 정말 오늘따라 헤딩이 하고 싶네요 1 투딸 2014/07/10 654
396039 '多자녀에 세금 추가부과'에서 '출산장려금'까지 3 세우실 2014/07/10 1,054
396038 외국속담인데.. .. 2014/07/10 997
396037 중학영문법 3800제 유료네요? 3 ebs 인강.. 2014/07/10 2,575
396036 자녀들, 날 안닮아서 참 다행이다 싶은점 있나요? 10 별걸다 2014/07/10 1,386
396035 시계 무브먼트(?) 교체 수리해 보셨어요? 넘 비싸네요. 1 이팝나무 2014/07/10 3,341
396034 페이스북이 안 열려요 곰녀 2014/07/10 1,120
396033 발레학원비, 발레콩쿨비가 원래 이정도 인가요? 13 ,,, 2014/07/10 25,482
396032 브라질이 독일에게 대패한 이유가 25 ㅇㅇ 2014/07/10 8,147
396031 지적이고 고급영어를 말하고 쓰는데 제 나이 마흔한살이 늦은걸까요.. 15 다시시작 2014/07/10 3,715
396030 이과 과학 선행은 필수인가요? 5 도움 2014/07/10 2,836
396029 착하게 생기고 분위기가 착하다.. 7 정말8 2014/07/10 2,501
396028 카톡프로필 세월호 사진보고 친구가... 12 ㅇㅇㅇ 2014/07/10 2,707
396027 스마트폰 사진 촬영 찰칵 소리 없앨 수 없나요? 13 갤럭시노트 2014/07/10 7,482
396026 생수 딸때 훅하고 올라오는 역한 플라스틱냄새 3 생수 2014/07/10 2,021
396025 중2 홍삼. 지금 신청하려해요. 4 아이 2014/07/10 1,261
396024 시사통 김종배입니다[07/10am] 김명수는 끝났다 lowsim.. 2014/07/10 1,056
396023 국어 성적이 잘 안나오는 아이 8 중딩 2014/07/10 2,307
396022 질문))음의 대치현상은? 2 꼬마천사맘 2014/07/10 764
396021 (닥아웃) 82쿡님 일상글 앞머리에 저 비슷한 문구 다시... .. 4 .... 2014/07/10 615
396020 어휴!! 진짜..! 현직 은행원들이 해명을 해주셔야 할것 같아요.. 29 그지같은나라.. 2014/07/10 13,239
396019 스마트폰 와이파이 사용시 요금 문의...? 10 통신비비싸... 2014/07/10 1,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