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초등 1학년의 고집

조회수 : 2,487
작성일 : 2014-06-10 09:42:50

여덟살된 손녀를 보살피는 할머니입니다

자식을 키워본것도 까마득하지만 그저 순하게 큰 어려움없이 삼남매를 키워온터라  이런

어려움에 봉착하리라곤 예상을 못해선지 손녀딸이 고집을 부릴때면 그저 가슴이 답답해

지네요

이곳은 지금 그 나이 또래 아이를 키우시는 분이나 아님 전문가 분도 있을거라 생각되어

조언을 구하고자 글을 씁니다

평소엔 모르는 사람 앞에선 수줍고 약간 내성적인듯 하지만  집에선  그 또래 애들처럼 까불고

명랑하고 잘 웃는 귀여운 손녀딸입니다

외동이다보니  어리광이 좀 있고  평소엔 할머니도 좋아하지만  그 나이 아이들이 그렇듯 엄마!

엄마! 하는 편이구요

제 딸은 아이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교과서적인 편입니다

사랑을 듬뿍 주려고하고 어느면에선 제가 보기에 너무 엄격하지않나 싶을 때도 있구요

어느때 고집을 피울때도 야단치기 보다는 말로 이해시키려고하고...

옆에서 사위는 '내가 그랬어 내가 그랬어' 자기 닮아 그런거라고 우릴 위로하지만 오늘 아침같은

상황에선 저도 제어가 안되더라구요

아침 일어날때부터 더 자고 싶어 징징거리다 엄마 출근하는데 가지 말라고 또 징징 그러다 엄마가

출근하고나니 방 한 구석에서 안 나오길래 몇번 달래다 내버려뒀습니다

한참을 그러다 제가 마음이 급해서 셋 셀동안 안나오면 학교 가지말라그랬죠

나오면서 하는말이 엄마는 열을 세는데 할머닌 왜 셋 밖에 안세냐고  그러다 교복을 입다 또 징징

머리를 빗기는데 또 본인이 원하는 머리를 안해준다고 징징

그러다보니 스쿨버스 시간이 넘을것 같아 기사님께 전활 드렸죠 그냥 가시라고,

이젠 스쿨버스 타고 싶다고 대성통곡, 다른 친구들이 너 때문에 다 늦을 수 없으니 할머니가 데려다

준대도 스쿨버스 타고 싶다고 징징.

아무튼 아침에 일어나서 학교 갈 때까지 1시간 반정도를 저러고나니 정말 지치네요

제가 어떻게 대처를 해야하는지?

제 성격도 단호한 편이라 손녀지만 예뻐할땐 예뻐해도 해선 안되는것엔 단호한데 정말 대략난감입니다

현명하신 분들의 조언 부탁드릴께요^^

IP : 115.140.xxx.16
1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ㅎㅇ
    '14.6.10 9:56 AM (218.52.xxx.186)

    제 딸이 그래요.. 하루도 등원길, 등교길 오전에 안싸운적이 없어요. 매일매일이 징징거림 까탈피우기
    트집잡기 억지부리기가 일상이었네요.. 머리빗을때도 가만있다가 묶어주면 풀고 갈건데 묶었다고
    난리 풀어주면 핀색깔이 맘에 안든다고 난리 밥을먹이면 숟가락이 크다고 난리 다음날 작은걸로 주면
    큰걸로 안줬다고 난리 ... 치마입히면 바지 입을건데 치마줬다고 난리..
    대충 까탈피우는 통계가 나올겁니다.. 미리 선택의 기회를 주세요. 본인이 선택한것엔 쿨하게
    대처하시구요. 본인의 의지가 어느정도 반영이 되었으니 좀 나아질겁니다.
    아이 부모와도 충분히 대화하시구요. 제 아이도 제손을 빌리는 어릴땐 그리 애를 먹이고 달달볶더니
    제손으로 하고 부터는 조용합니다..

  • 2. 멋진할머니
    '14.6.10 9:58 AM (121.168.xxx.64)

    저는 아직 유치원다니는 아이를 키우는지라 조언까지는 못해드리지만..
    할머니 진짜 고생많으시네요
    젊은 사람들도 애보는게 얼마나 힘들고 체력이 딸리는데
    글만봐도 마음쓰시는게 보여요..
    정말 고생많으십니다..
    저는 아이가 계속 징징거릴땐 조금 차가워져요
    화내거나 언성을 높히는게 아니고
    아 그러니? 정도만 대꾸하고 챙겨줄것만 묵묵히 해줘요
    그럼 애들도 눈치라는게 있어서 어? 엄마가 좀 다르네
    하고 신경쓰면서 자기할일 하더라구요..
    애들마다 다르니 손녀분은 어떨지 모르겠지만요

  • 3. 힘드시죠
    '14.6.10 10:03 AM (220.73.xxx.200)

    손녀라서 더 힘드신 마음 이해합니다.

    자식이라면 단호하게 안돼하고 혼낼 것은 혼내고 딱 끊을 것은 끊고 할 수 있을텐데요.
    손녀니까 자식 눈치도 봐야하고 할미가 혼내면 섭섭해할 것 같기도 하고 그럴거 같아요.

    우선 따님하고 계속 이러면 안될 것 같다고 단호한 조치가 필요할 것 같다고 상의하세요.
    아이가 여덟살이니까 엄마는 출근해야하고 너는 학교가는 것이 네 일이라고 잘 설명을 해주시고요.
    늦으면 그냥 지각을 시키고 선생님께는 미리 말씀을 드리고 좀 단호하게 혼내주셔달라고 말씀드려 보세요.

    그리고 짧은 글이라 제가 잘 판단할 수는 없지만.
    엄마가 집에 있는 시간 동안만은 아이를 좀 너그럽게 포용해주고 함께 하는 시간을 많이 가지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4. 아후
    '14.6.10 10:11 AM (74.242.xxx.229)

    혹시 아이가 엄마 휴가인 날에도 엄마한테 그리 짜증을 내나요? 아니면 할머니한테만 유독 짜증을 내는지요
    할머니께만 그런다면 아동심리 전문가와 상담을 하시고 가능하면 따님과 상의하셔서 육아휴직 (초 2까지 가능) 을 쓰는 것도 고려해보세요.
    엄마가 회살 관뒀으면 좋겠는데 내맘대로 안되니 아깃장 놓겠다는 심리도 약간 있는것 같아서요.
    그런게 전혀 아니라면 (엄미의 직장생활로 인해 아이 맘에 한맺힌게 전혀 없는 상태라면) 할머니한테 버릇없게 구는 점에 대해 엄마로부터 맴매 좀 맞아야될것 같네요

  • 5. 아후
    '14.6.10 10:12 AM (74.242.xxx.229)

    아깃장이 아니고 어깃장 오타입니다

  • 6. ...
    '14.6.10 10:26 AM (182.215.xxx.17)

    오후에 집에 돌아오면 맛있는 간식 주시면서 아침 시간에 해야할 일에 대해
    찬찬히 얘기나눠 보세요 아니면 잠들기 전에 내일 아침일에 대해 조곤조곤 대화 나누시다보면
    잘 알아들을꺼에요 1학년 요때쯤 지나면 또 사람되요^^

  • 7. 흠.
    '14.6.10 10:32 AM (219.251.xxx.135)

    엄마에게 매달려서 회사 가지 말라고 하는 부분은, 엄마(딸)와 손녀가 해결해야 하는 문제인 것 같습니다.
    이성적으로 설득시키는 것도, 감정적으로 공감해주는 것도 전적으로 둘의 문제죠.
    그건 할머니가 해결해줄 수 있는 부분이 아닌 것 같아요.
    퇴근 후.. 둘이 잘 얘기해서 해결해놓으라고 하세요. 아침에 그럴 일이 없도록요.

    아침에 징징거리면.. 무시하면 안 될까요?
    받아주니까 징징거린다는 느낌이 많이 듭니다.
    (초5, 초3 아들.. 키워요 ^ ^;;)

    징징대느라 지각을 한다거나 하면, 그 불이익을 그대로 아이가 받게 하는 거죠.
    지각해서 혼나는 것도 아이 몫.. 그럼 아이도 아침 시간에 감정낭비 하지 말고 서둘러야 한다는 걸 알게 됩니다.
    (스쿨버스를 타는 상황이라서 이 부분이 좀 애매하기는 하네요.
    도보로 가는 아이들은, 보통 몇 번 지각해서 학교에서 혼나면 아침에 덜 꾸물거려요. 덜 징징대고요..
    학교에서 내 아이 혼나는 것을 못 보는 엄마들 속은 타겠지만요 ^ ^;;)

    할머니께서 많이 속상하시겠네요.
    딸도 걱정되고 손녀도 걱정되고.. 걱정되시는 마음은 알겠지만,
    징징대는 걸 다 받아주면.. 셋 모두에게 해롭습니다.
    초1이면 어리지 않아요. 다 압니다. 감정적으로나 이성적으로나요.

    아이에게 짜증을 내지 말고, 차라리 화를 내라고 가르치세요.
    짜증은 짜증으로만 끝나지만, 화는 개선을 가져온다고요.
    정당하게 낼 수 있는 화라면 아이도 화를 냅니다.
    그럼에도 '짜증'으로 표현하는 건, 본인이 느끼는 감정이.. 정당히 표출할 수 있는 감정이 아닌 걸 본인도 알기 때문이에요.
    (또는, 양육자들이 모든 감정을 '짜증'으로 표현하면 아이도 그렇게 되기는 합니다.. ;;)

    감정을 분화시키는 법을 가르치시고
    엄마와의 문제는, 퇴근 후 엄마와 잘 해결하라고 하세요.

  • 8. 흠.
    '14.6.10 10:36 AM (219.251.xxx.135)

    아, 머리 문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해요.
    스쿨버스를 8시에 타야 한다면, 7시 반까지 할머니 앞에 앉지 않으면 머리 안 묶어준다고 하세요.
    아이와 싸우지 마시고, 시계와 싸우세요.
    들어줄 수 있는 시간의 한계를 정하고, 그 이후에는 아무것도 해주지 마세요.

    아침밥 먹는 시간에 안 나오면 먹이지 마시고,
    머리 묶는 시간에 그 자리에 안 나오면 묶어주지 마세요.
    헤어스타일도 묶기 전에 얘기하지 않으면, 해주지 마시고요.
    선택권을 주되, 한계(시간적 한계)를 정하는 거죠.
    이게 몇 번 반복되면, 아이도 '패턴화'가 돼서.. 아침시간이 순조로우실 거예요 ^ ^

  • 9. minss007
    '14.6.10 11:16 AM (223.62.xxx.41)

    흠님 말씀에 동의 합니다.

  • 10. 도움
    '14.6.10 11:29 AM (115.140.xxx.16)

    위로와 도움글 고맙습니다^^
    손녀딸 오는 시간 맞춰 맛있는거 해놓고 기다리다 대화로 풀겠습니다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는게 관건일것 같네요
    우리때는 안 그랬어 하는건 통하지 않고,
    지 엄마도 나름 노력하는데 주말이면 여기저기 데리고 체험하고 일년에 서너번
    여행하고 또 뭘 어떻게 더해야하는지,
    님들의 의견 참고해 풀어나가는데 노력할께요
    감사합니다^^

  • 11. 아이가 힘든가봐요.
    '14.6.10 3:35 PM (211.205.xxx.42)

    짜증내고 징징거릴 엄마가 필요한 모양이에요.

    저는 아이 학교 문제로 직장을 쉬고 있어요.
    일단 사립은 스쿨버스를 타야해서 아이에게 아침준비가 이른 것도 맞아요. 아침형 아이가 아니면 체력적으로 힘들거에요.

    엄마가 퇴근 후 집안 일은 다 버려두고 아이랑 뒹굴 시간이 필요해보여요. 집에 널부러져 있더라도 여느 모녀처럼 엄마한테 혼도나고 장난도 치고 할 시간이 부족해서 그러는 것 같아요. 저희 아이도 제가 직장다닐때는 주변사람들에게 이유없는 꼬투리와 짜증을 냈는데, 제가 집에 있는 동안은 쏙 들어갔어요. 달리 잘 해주는 것도 없고 되려 엄마가 집에 오래 있어서 더 잔소리만 듣고 있는 중이거든요.

  • 12. 도움
    '14.6.10 5:08 PM (115.140.xxx.16)

    윗님 말씀이 맞는거 같네요
    제 딸이 퇴근이 워낙 늦어요, 자기전에 오는게 많아야 일주일에 두번.
    아침에 일어나서 한 시간 남짓이고 주말이나 같이 보내거든요
    그래서 남의 손 빌리는건 더 엄두를 못내고 친정엄마인 제가 돌보는데
    참 정답이 없네요
    말만 좋아 대기업이지 사람 엄청 부려먹고 요즘 사내엔 명퇴바람이 불어 초상집 분위기니
    휴직 말 꺼내기도 조심스러운 상황이래니 세상사 만만치가 않아요
    이리 어려운 세상에 제가 도울 수 있는건 손주 건사라도 하는건데 어쩌겠어요
    조금전 버스에서 내린 손녀는 언제 그랬냐는듯이 즐거워요
    제가 맛있는 반찬 해놨다고 그러면서 아침에 고집 피우고가서 할머니 너무 속상했어
    눈물도 쪼금났었노라 그러니 담부턴 그러지 말아달라하니 그러겠다고 끄덕이는데
    아침일 언제냐싶듯이 이말도 다 믿을순없겠지요?^^
    여러분들 말씀 참고해 더욱 노력해야겠습니다 우리가 어른이니까^^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9086 말빨 좋으신 분들...시누땜에 열받네요 42 짜증 2014/06/11 9,712
389085 친구가 수학만(아들이) 잘하면 소원이 없겠데요. 3 2014/06/11 2,623
389084 40대남성 기본티셔츠 3 추천바랍니다.. 2014/06/11 1,846
389083 열무김치가 있는데 냉면해먹는법 좀 알려주세요~ 4 냉면냉면 2014/06/11 1,988
389082 간이 과세자 오피스텔 포괄양도 양수 5 오피스텔 2014/06/11 2,543
389081 참 답답한 사람~ 3 mind s.. 2014/06/11 1,543
389080 빌려준돈을 못받고 있는데 좀더 기다릴까요 아님소송 바로 들어갈까.. 16 전자소송 2014/06/11 3,433
389079 6/19 재개봉하는 '반딧불이의 묘', 아이들과 보지마세요! 11 생활의기술 2014/06/11 3,606
389078 관악구 분들, 마을리더 아카데미 신청하세요 구청주최 무.. 2014/06/11 1,690
389077 아이패드에어 사신분 만족하세요? 6 수지미 2014/06/11 2,045
389076 " 밀양 송전탑 없어도 송전에 지장 없다 ".. 5 미친세상 2014/06/11 1,676
389075 예전에 이대 수준 어느정도 였나요? 39 엘살라도 2014/06/11 11,095
389074 김용민의 조간브리핑[06.11] - '대통령에 직언할 사람, 문.. lowsim.. 2014/06/11 1,328
389073 '대선개입-북풍공작' 이병기 가 국정원장이라니.. 4 안기부 2014/06/11 1,459
389072 아이허브 배송관련 질문 저도... 2014/06/11 1,688
389071 폐지 가져가는 할머니가 계신데 냄비같은 것도 밖에 내놔도 될까요.. 26 주택가 2014/06/11 3,864
389070 저만 그런가요? 25 이 시국에 .. 2014/06/11 3,952
389069 밀양 송전탑 문제요... 12 밀양 2014/06/11 2,019
389068 전기가 왜 모자라는지 찾아봤어요. 2 송전탑 반대.. 2014/06/11 1,655
389067 인시디어스 보신분 계신가요?(결말 궁금) 4 공포영화 2014/06/11 1,437
389066 무서운이야기 (낚시주의) 2 .. 2014/06/11 2,017
389065 추적 60분 시청 후...사학법 개혁과 미개한 학부모 17 블루라군 2014/06/11 2,646
389064 문창극, 박근혜 당선되자 ”신의 개입” 外 2 세우실 2014/06/11 2,306
389063 속보 사진속 알몸저항 할매... 밀양 동영상의 한옥순 할매시네요.. 10 용서못해 2014/06/11 3,679
389062 사랑하는 대한민국 곧 망할거 같아여.... 16 ㅁㄴㅇ 2014/06/11 3,8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