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시골집 하나 사 놓는거 어떨까요?

아줌마 조회수 : 8,822
작성일 : 2014-06-08 10:09:24

부자들처럼 삐까번쩍 전원주택 별장은 안되고

그냥 사오천짜리 촌집 하나는 겨우 어찌..

그리고 이상하게 오래된 촌집이 그립기도 하구요.

그런데 어디서 듣길 애인과 전원주택은 사놓으면 그때부터

관리로 골치라는 말도 있어서 망설여지네요.

지금 생각은 제가 자연을 좋아해서 주말마다 가고 싶은데 연고가 없음 그것도 잘 안가질 것 같고

괜히 사놓고 지인들 펜션으로 이용되서 남 좋은 일만 다 시킬 것 같기도 하구요.

그런데 현대식 주택도 아니고 오래된 촌집을 사람이 살지도 않고

어쩌다 가게되면 집도 상할것 같아 걱정도 되고 그래요.

그리고 촌집은 다 방들이 작아 살림살이 놓기도 어려워

나중에 완전 귀촌을 해서 살기도 힘들것 같고

결국 주말주택밖에는 안될것 같아 이왕 살려면 현대식 주택을

사는게 맞을 것 같기도 하구요.

가서 살지 않을거면 그냥 한번씩 돈주고 펜션에 가서 놀다 오는게 더 현명하겠죠?

IP : 112.173.xxx.214
15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6.8 10:17 AM (180.228.xxx.9)

    저도 하나 사 놓고 싶은 맘은 굴뚝인데 돈이 없어서...
    저같으면 맘에 들고 값이 적당한 시골집이 잇으면 돈만 된다면 무조껀 사고 보겠어요.
    사 놓고 수시로 여기 저기 조금씩 손대고 그래서 방에 누눌 정도가 되면 주말에 가서
    하룻밤 자고 오기도 하고 딸린 텃밭에 이것 저것 심기도 하고..
    러시아 사람들은 가난하게 살아도 어느 집이나 작은 별장이 있다던데요. 다차라고..
    주말에는 거의 반드시 가서 농사 짓고 자고 온대요, 그래서 러시아는 주말이면 다짜로 향하는
    차량이 줄을 잇는대요. 우리나라도 점점 그런 방향으로 갈 것 같아요.
    그리고 시골로 이사가면 그 동네 사람들의 갈굼때문에 큰 문제라는데 아주 가서 사는 것 아니고 주말에만
    가면 그런 문제가 생길 수도 없을 것 같아요.

  • 2. 러시아식 다차
    '14.6.8 10:18 AM (112.148.xxx.27)

    땅 사서 조그만한 이동식 주택 놓으면 좋을 것 같네요.

    http://itempage3.auction.co.kr/DetailView.aspx?ItemNo=A916308300&frm3=V2

  • 3. 환상
    '14.6.8 10:26 AM (112.153.xxx.16)

    답을 알고있으면서도 자꾸 눈길이 가시나본데요.
    주말주택을 가져봤던 입장에서(과거형) 반대표 던집니다.
    매주 가리라 벼르지만 실제로 한달에 한번가게 됩니다.
    걱정돼서 매주 갈 때는 무슨 빚진것같이 부담스럽고요
    한 두주만에 가면 우선 청소 열나게 해야 되고요,
    곧 장마철인데 사람이 안살면서 문 꼭꼭 닫혀있는 집...
    곰팡내 훅~~납니다. 이불 다 널어 말려야하구요.
    갈 때마다요.
    텃밭농사요? 농작물이 한 두주만에 한번씩 들여다봐서
    되는게 아닙니다.
    그래도 꼭 한번 해보고싶다면 세를 얻어서 가져보세요.
    일년짜리로요.

  • 4. ...
    '14.6.8 10:36 AM (218.234.xxx.109)

    집도 일종의 생명체 같아요. 사람이 기거하지 않으면 온기가 없는...
    지금 자주 드나들 수 있는 형편 아니시면 그냥 땅만 사두세요.

    그리고 예전에 시골에 빈 집 버리고 그냥 이사가는 집이 많아서
    행정기관에서 하는 빈집 이어주기 사이트가 있었어요.
    (경기도처럼 서울 가까운 곳 아니고, 진짜 충남, 경북 이런 시골..)

    빈집 그냥 두면 위생상 문제도 있고, 범죄소굴(가출청소년 및 기타 은닉처)이 될 가능성이 많아서 그랬나봐요.

  • 5. 환상
    '14.6.8 10:38 AM (112.153.xxx.16)

    집이 서울이라고 할 때,
    인근 여주, 이천, 남양주 그런 쪽 시골 깊숙이 들어가 보세요. 별장 멋지게 지어놓고 안 살고 세 내놓는집 많아요.

  • 6. ~~
    '14.6.8 11:04 AM (58.140.xxx.106)

    저희 삼촌이 예전에 강원도 산골에 흙집을 하나 사셨었는데요
    몇 년 있다가 그 자리에 새로 지으셨어요.
    몰아서 일하고 몰아서 쉬는 직업이라 쉬실 때 거기 내려가 계시는데
    초대도 많이 하시고 집 빌 때는 친척들 누구든지 가서 놀다 오라고 하세요.
    그 산골짜기에 딱 두 집 있는데 이웃 분이 둘러봐 주시고 텃밭도 손봐주시고 하더군요.

  • 7. 집이
    '14.6.8 11:33 AM (117.111.xxx.135) - 삭제된댓글

    얼마나 손을.타는데요
    매주 가다시피해서 돌보고 가꿔야 사람사는집같아요.
    아는분은 매주가서 마당 풀뽑고 청소하고 그러더라구요.
    보통일이.아니에요.

  • 8. 강화쪽에..
    '14.6.8 11:43 AM (222.112.xxx.188)

    일년간 임대하는 시골집 있었어요.
    주말농장 + 이동식 주택도 일년계약하는 곳도 있었는데..
    한번 알아보고 미리 체험해보신후 결정하심이 어떨지..

  • 9. 비슷한상상
    '14.6.8 11:43 AM (219.250.xxx.189)

    제주도가 시댁인데 시댁서 자고 며칠씩있다오는게 부담스러워서
    그렇다고 자식이 고향와서 딴데서 자고가기도 그렇고해서
    시댁옆에 작은 집하나 사면어떨까하고있어요
    근데 사실돈이 없어서 상상만ㆍㆍㅋ

  • 10. 부동산 잘 아는 분이
    '14.6.8 11:45 AM (59.15.xxx.122)

    시골에 연고 없으면 시골에다가 절대 집사지 말라고 하데요.
    위에 답글 다신 분말처럼, 집이라는 것이 끊임없이 돌봐줘야 집꼴이 나는데
    단 며칠이라도 집 비워놓으면 금세 폐가처럼 되버리고
    집 건사하느라 매주 들러야 하는 것도 힘이들것 같고
    그분말이 마음에 드는 곳이 있으면 몇달이나 1년 정도 세로 살아보라고 하더라구요.
    나중에 더 나이들면 마음변할 지 몰라도 현재까지는 교통좋고 편의시설 잘 갖추어진
    아파트에 살면서 근처에 텃밭 한뙤기 분양받아 주말농사나 지을까 궁리중이네요

  • 11. 환상
    '14.6.8 12:01 PM (49.1.xxx.226)

    그냥 집도 아니고 흙집은 사람 안살면 무너져요
    보수하고 사는게 아니고 그냥 스르르 무너져요
    흙집은 사람과 같이 숨쉬고 사는 생명체예요

  • 12. 모든 게
    '14.6.8 12:02 PM (61.247.xxx.51)

    case by case 입니다.

    잘 구하면
    주변 사람들이 좋아 텃세 같은 것은 걱정하지 않아도 되고
    별로 손 대지 (수리하지) 않아도 되는 집을 구할 수 있고.

    요령을 터득하면
    그리 넓지 않은 면적(대지와 텃밭) 제초하고 채소 가꿔 먹는데
    시간 많이 걸리지 않고, 손 많이 안 대도 됩니다.

    요새는 손으로 풀을 뽑지 않습니다. 그건 너무 힘들어요.
    예초기를 돌리거나, 제초제로 박멸해 버리지요.

    예초기와 제초제로 주변을 깨끗이 정리하고,
    자주 손 안 대줘도 잘 자라는 채소(작물) 위주로 심으면 됩니다.

    채소(작물)를 아주 조금만 심고, 예쁜 꽃나무들 위주로 집 주변을 단장해 놓으면 손이 훨씬 더 적게 갑니다.
    나무의 경우엔 전지만 해주면 (거름도 줄 수 있으면 일년에 한두 번 조금 주면) 되니까요.

    집도
    도배하고, 잘 수리-정리 해 놓으면 한 달에 한 번 가도
    아무 이상 없는 경우 많습니다.
    제가 아는 분, 외국 여행으로 한 달씩 시골집 비워 놓아도 별 변화가 없더이다.
    집 주변에 주로 꽃 나무를 심어 놓고 아주 적게만 텃밭을 일궈놓은 경우지요.

    시골 집에 이불을 많이 가져다 놓을 이유 없고,
    집이 잘 수리되어 있으면 손 댈 것도 없습니다.
    지붕에 이상 없으니 비 세지 않을 것이고,
    요세는 전기 시설에 아무 이상 없고,
    수도와 난방(보일러) 시설 대부분 잘 갖춰져 있고,
    이따금 들어가서
    방이 축축하면 보일러 돌려 방안을 건조시켜 놓으면 됩니다.

    실제 시골 생활을 전혀 해보지 않았거나, 요령을 모르는 사람들이 반대를 하는 것 같은데..
    무엇이든 잘 하면, 시골집을 아주 유용하게 잘 활용할 수 있기도 하고, 전혀 할 줄 모르면 그리고 운이 없으면, 안 가진 것만 못한, 골칫덩이를 떠 앉는 경우가 될 수도 있습니다.

  • 13. 원원
    '14.6.8 1:08 PM (39.119.xxx.152)

    원글님이 원하시는 그런집 가지고 있어요~*^^*
    도시 아파트 집에서 딱 한시간 거리 시골에 시골집(구들 있는 흙집?)을 매입한지 2년차 들어갑니다.
    다 하기 나름이에요.
    주말에 한번 혹은 한달에 한두번 가지만 좋아요.
    궁금하신거 있음 메일주세요~kmrs0620@hanmail.net
    우리가족이 살고 있는 그리고 주택 매입해서 보수하고 지금 생활 하고 있는 거 알려드릴게요~

  • 14. 진홍주
    '14.6.8 1:29 PM (221.154.xxx.157)

    우리동네 아줌마가 그런 새컨하우스 가지고 계세요
    물 좋고 공기 맑은 곳에다 땅사서 정원 꾸미고
    요즘 조립식주택 이쁘게 잘 나오거든요

    조립식 3500만원 들였다는데 온가족이 다 이용한데요
    여름에는 거기서 휴가 보내고요

  • 15. ,,,
    '14.6.8 2:45 PM (203.229.xxx.62)

    저도 관심 있어서 여기 저기 알아 보다가

    도시 여자의 촌집 개조 프로젝트
    2천만원으로
    시골집 한 채 샀습니다 란 책을 구입해서 읽었어요.

    읽어 보시면 도움이 될거예요.

    시골집에 대한 로망이 있다면
    시골엔 1년이나 2년 개념으로 깔세라는게 있어요.
    100만원 선불 주고 일년 살아 보세요.
    살면서 그 동네에 익숙 할 수도 있고
    왔다 갔다 지내다 보면 그 지역을 중심으로 원글님 마음에 드시는 곳에 집을
    장만 하실수 있어요.
    덜컥 구입했다 후회하고 팔려고 내 놓으려면 잘 안 팔려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8787 잊지말자) 이해력과 암기력이 비례하네요 4 f 2014/06/10 2,377
388786 조전혁,,18원보내주기 운동해야되나여? 18 .. 2014/06/10 2,345
388785 공부해도 점수가 오르는데는 시간이 걸리네요 1 rh 2014/06/10 1,233
388784 서울대교수 등 청계광장에서 거리강연 2 멋진이들 2014/06/10 1,398
388783 우리가 원하는 건 새눌 아웃 1 단 하나 2014/06/10 837
388782 김용민의 조간브리핑 [06.10] - 13인 진보교육감, 서울대.. lowsim.. 2014/06/10 1,202
388781 김대중과 민주당의 상징자산을 훼손하는 노빠들 22 탱자 2014/06/10 1,805
388780 아빠 칠순이셔서 가까운 친척분들 모시고 식사하려고하는데 가격대 24 ... 2014/06/10 4,240
388779 한국 유아 가정 교육은 부재 상태인가요? 13 the 2014/06/10 2,502
388778 초등학생들 아침식사들 어떤것 먹고 가나요? ㅠㅠ 25 아침마다전쟁.. 2014/06/10 13,069
388777 진보교육감 13분 서울대 폐지 . 프랑스식 국립대 개혁 나선다... 5 이기대 2014/06/10 2,613
388776 '혁신학교 옆 단지' 판교 전셋값 1억 더 비싸 3 샬랄라 2014/06/10 2,405
388775 고정닉을 공격하는 이유 29 2014/06/10 1,698
388774 네덜란드항공은 적립이 안되나요 2 적립 2014/06/10 1,284
388773 뒷북일지 모르지만 생존자가 있었다고 해도 13 세월호 2014/06/10 2,537
388772 혹시 강남에 있는 수입식자재 파는 유명한곳 아시는분계세요?? 3 .. 2014/06/10 1,923
388771 축구 5 ㅇㅇ 2014/06/10 1,102
388770 대장주름 많으면 별로 안좋은가요? 3 ... 2014/06/10 3,654
388769 저는 다양성을 존중하는 '대한민국'을 꿈꿉니다. 16 2014/06/10 1,663
388768 증편만들때 공기빼주는 이유가 뭔가요 브라운 2014/06/10 1,105
388767 중앙일보 21면의 전면광고 사연 1 ... 2014/06/10 1,811
388766 '오피스텔 대치시 김하영, 노트북 파일 187개 영구삭제' 6 참맛 2014/06/10 1,670
388765 87년 6월 나는 죽고 너는 살았다 16 상기하자 2014/06/10 2,804
388764 방송에 나오는 내용을 종합해 보면 검찰이 지 잘난 체만 하는 것.. .... 2014/06/10 1,000
388763 김무성 사학비리 옹호 의혹 KBS에 “사장 해임에 이렇게…” 1 샬랄라 2014/06/10 1,5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