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전세 잔금 및 이사날 절차 좀 질문 드립니다.

신혼집 조회수 : 16,757
작성일 : 2014-06-02 14:40:07

이번주에 신혼집 잔금 치르고 이사 들어가는 날입니다.

처음 해보니 아무것도 모르는데...

부동산에서는 선금때부터 집주인 편의만 봐주고...저희는 신경도 안쓰네요ㅠㅠ

 

오늘 연락와서 잔금 언제 입금가능하냐고 하는데..

잔금은 이사날에 넣으면 되는거 맞죠?

 

지금 자취방 전세금 빼서 보태서 잔금치뤄야 하는데요.

오전 10시-11시경에 자취방 새 세입자가 와서 잔금 치르고 열쇠 받기로 했구요.

새 세입자는 열쇠만 받고 들어오는건 이틀 있다 들어온다고 합니다.

자취방 집주인이 새 새입자가 송금해준 돈 은행에서 이체해준다고 합니다..(현재 집주인은 지방)

그럼 저는 제 통장에 돈 들어온거 확인하고 이삿짐 들고 나가야 하는건가요?

 

돈받고 용달에 이삿짐이랑 같이 이사갈 집에 가서

부동산에서 이체하고(집주인은 잔금날 안오고 부동산이 대행한대요)

그리고 새 집 열쇠 받아서 그때 짐 넣으면 되는건가요?

 

그런데 그럼...등기부 새로 떼보고 이체하고 할 동안..용달 아저씨한테는

좀 기다려달라고 해야 하는건가요?ㅠ

 

잔금 치르기 전에 집 상태 확인은 미리 안해봐도 되는건지...

 

뉴스에 집주인 국세체납 때문에 확인하라해서 계약날 부동산에 말했더니

등기부등본 깨끗하면 된다고 안해주고....ㅜ

복비도 최하 160만원은 줄 것 같은데. 어려서 그런지 부동산에서 알아서 챙겨주는게 없어요ㅠㅠ

 

잔금날 등기부등본이 깨끗해도. 확정일자가 자정부터 적용되어서

그 사이에 대출받을 수도 있다고 은행마감시간인 오후 4시에 잔금 입금하라는 말도 있던데...

그렇게는 안해도 될까요?

 

그 외에 주의사항이 있다면 좀 알려주세요-

 

 

 

IP : 1.235.xxx.144
3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14.6.2 2:53 PM (119.148.xxx.181)

    대개 하루에 잔금 받아서 연쇄적으로 잔금 치르잖아요.
    서로 받는건 빨리 받고 싶고 주는 건 좀 천천히 주고 싶어해요.
    그래도 원글님은 오전 중에 받으니까 낫네요.
    대개는 오전 중에 이사짐 다 빼고 (집주인이 확인하기도 하고) 점심때쯤 잔금 받아요.
    그리고 이동해서..(이 때 이사짐 센터는 점심 먹고 좀 쉬죠. 이때 청소나 도배 하기도 하거든요)
    새 집 짐 빠진거 확인하고, 잔금 주고, 이삿짐 들이기 시작해요.
    이 때 동사무소 가서 전입신고 하고요. 그러니 이삿짐 들이는거 지켜볼 사람 한명 더 있는게 좋아요.
    (전입신고는 잔금 영수증 없어도, 전세 계약서만 있어도 가능할껄요...잔금 치르기 전에도 할 수 있을 듯?)

    잔금을 은행 마감 직전에 하란 얘기는 저도 얼마전에 알았는데
    내 잔금 받은 집주인도 전에 살던 사람에게 또 줘야 하잖아요.
    그래서 대개 12시~1시 사이에는 줘야 해요.
    현실적으로 4시까지 안주고 버티기 힘들어요.

  • 2. ...
    '14.6.2 3:50 PM (119.148.xxx.181)

    참 부동산 복비는 이사 다 마무리하고나서 주세요. 이건 마감은 없어요.
    그러니 부동산에서 소홀히 한다 싶으면 섭섭하다고 미리 얘기하세요.
    부동산은 집주인 편이더라구요. 세입자는 뜨내기고 집주인은 동네에서 계속 거래하니까요.
    혹시 이사 들어가고 보니 집주인에게 뭐 요구할 게 있다거나..등등..그런 것 다 끝난 후에 복비주세요.

  • 3. 신혼집
    '14.6.2 4:28 PM (1.235.xxx.144)

    상세하게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신경써야 할 게 참 많아요 ㅎㅎ
    이렇게 하나하나 배워가고 경험해가면서 어른이 되는거겠죠
    감사합니다.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86413 감사원보고서 분석했던 82님의 글 5 ... 2014/06/02 1,849
386412 오늘도 잠자기전 실종자들을 불러주세요. 19 bluebe.. 2014/06/02 818
386411 아까 친정아버지 전화받고 잠이 안와 글올립니다. 131 ... 2014/06/02 21,222
386410 아래글 패스 '오늘 토론 요약이래요...' 5 오늘 토론 2014/06/02 996
386409 자기야,,우현씨 장모님 별세 6 // 2014/06/02 4,570
386408 출처가 일베라고 왜 말을 못해!!! ㅋㅋㅋ 9 1111 2014/06/02 2,677
386407 강남에서 청담 1 강남 2014/06/02 1,336
386406 토론 끝났나요? 6 토론 2014/06/02 1,480
386405 몽준님은 원순바라기~~ 2 ... 2014/06/02 1,423
386404 첫마디부터 거짓말. jpg 2 참맛 2014/06/02 2,067
386403 부정선거의 시발점은 유언비어입니다. 11 불안불안 2014/06/02 1,322
386402 손석희씨는 명사회자!! 19 .. 2014/06/02 5,150
386401 정몽준화법...음성지원 26 ... 2014/06/02 4,545
386400 인터넷 댓글 너무 공감이 됨 5 댓글 2014/06/02 1,855
386399 부정선거 알리바이 만들기 총출동 3 속지말자 2014/06/02 1,895
386398 정몽준 책상이... 6 2014/06/02 2,593
386397 저는 서울시민이 아닙니다 제발 2014/06/02 835
386396 몽씨 마무리발언 헐~입니다. 27 .. 2014/06/02 10,546
386395 몽즙 마무리 발언 대다나다.. 5 후화.. 2014/06/02 2,482
386394 박근혜를 위한 서울시장?. 14 서울시민 2014/06/02 2,659
386393 오늘 jtbc 토론.. 3 ... 2014/06/02 1,863
386392 기 승 전 원순 7 지겨워..... 2014/06/02 1,308
386391 닭하고 똑같이 구는 몽즙이 시장될것 같네요. 24 대선토론악몽.. 2014/06/02 4,584
386390 아... 질문에 답은 안하고. 계속 물어보고 싶은.. 몽!!! 왕십리멸치 2014/06/02 935
386389 오늘 토론은 정몽준이 이긴거죠.반박불가 27 .... 2014/06/02 5,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