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cook.com을 즐겨찾기에 추가
login form

자유게시판

드러낼 수 없는 고민을 풀어보는 속풀이방

현재는 보수와 진보의 싸움이 아니라 "사이비보수"와 싸움이다

2014041608 조회수 : 984
작성일 : 2014-05-24 23:02:42

예전에 올린글 요약해서 다시 끌어올립니다

미국에서 먼저 시작하고
한국의 새누리당이 이명박과 박근혜 정부에서 추진하는
정책들이 너무도 닮아있습니다

미국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보면 대한민국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너무나도 똑같음을 알수 있습니다

우리가 알고있는 보수와 진보의 싸움이 아니라,
자칭 보수를 참칭하면서 자신들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사이비보수"와의 전쟁을 치뤄야할 때입니다

-------------

1부 기업이 지배하는 세상

기업 이 돈을 많이 벌려면 규제가 적어야 하고 규제가 적을수록 수익을 많이 내서 낙수효과로 국민들의 삶의 질이 좋아지 고 수익이 늘어나며 실업율이 줄어든다고 말하고 있습니 다.

하지만 지난 아들 부시가 지배했던 8년 동안 낙수효과는 없었습니다. 기업들은 부를 쌓을수록 꽉 움쳐쥐고 있지 그 수익을 재투자하고 사업을 확장하지 않았습니다.

1부의 챕터2인 '보수는 왜 중산층을 표적으로 삼는가'였습니다.

중산층이 강화 된다는 것은 똑똑한 사람들 이 많아 진다는 것입니다. 똑똑한 사람들이 즉 학력수준이 올라간다는 것은 비판의식이 높다는 것이고 자의식도 강 해진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보수는 중산층을 흔들고 무너트려서 저소득층으로 만들고 하루벌어 하루먹고 살게 해야 정치에 관심도 없고 있어도 보수적인 시선을 가지게 됩니다

'2부 민주주의 없이 중산층도 없다

생략


3부 '물러설 수 없는 전쟁'

민영화에 대한 비판 을 가득 담고 있습니다. 오늘도 한국이나 미국의 보수들은 모든 공공서비스를 민 영화를 하고자 혈안이 되어 있습니다. 그들의 논리는 한결 같습니다. 경쟁을 통해서 서비스의 질적 향상과 요금이나 재화가 품질이 좋아진다는 솔깃한 말을 합니다. 얼핏 들으 면 일리가 있는 말이긴 하죠. 하지만 실제로 민영화로 인 한 요금인하나 서비스의 품질은 좋아지지 않습니다.

그 이유는 민영화를 하면 이익을 재투자가 아닌 기업의 이 익으로 돌아가고 그 이익은 주주들에게 돌아가기 때문입 니다 .
인권이요? 돈 안되는 모든 가치는 모두 쓰레기로 취급할 뿐이죠. 이렇게 이익에 혈안이고 이익을 낸 돈은 우리 사회에 재투자 되거나 그 서비스에 재투자 되는 것이 아닌 주주들의 주머니로 들어갑니다. 따라서 경쟁으로 수 익을 많이 낸다고 공공요금이나 민영화된 서비스의 요금 이나 질적 향상은 일어나지 않습니다.

이건 마치 싼 인건비를 위해서 중국에 공장을 세웠지만 정 작 제품의 가격은 하락하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물론 저가의 브랜드 제품 같이 가격경쟁력이 유일한 경쟁 력인 제품들은 중국에 공장을 세워서 제품 가격 하락을 유 도하지만 나이키나 유명 의류브랜드나 유명회사의 제품들 은 가격 하락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공공서비스 민영화를 통해서 보수는 뒷주머니를 두둑하게 채웁니다. 이런 모습은 미국과 함께 한국의 현재 모습이기 도 합니다. 국민들이 눈을 부릅뜨고 지켜보고 있기에 겨우 겨우 막아내지만 언젠가 한국에 영리 목적의 병원에 세워 지고 돈이 없어서 병원도 못가고 죽는 시대가 올 수도 있 습니다


http://www.82cook.com/entiz/read.php?bn=15&num=1808799


IP : 175.251.xxx.111
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1. . . . .
    '14.5.24 11:08 PM (125.185.xxx.138)

    잘봤습니다. 감사합니다.

  • 2. 보수
    '14.5.24 11:12 PM (182.216.xxx.123)

    라는 말을 쓰는 인간들이 지키는 것은 나라가 아니라 자신의 안위와 자신의 부와 자신의 미래 뿐이라는 것이
    계속 보여집니다. 심지어 그들은 나라가 어떻게 되는지 관심이 없습니다.
    나라를 망쳐서라도 자신의 부를 축적합니다.
    보수라는 말을 바로 잡아야합니다.

  • 3. 뭐야
    '14.5.24 11:16 PM (223.62.xxx.110)

    제목을 바꿔라.
    사이비 좌파라고

  • 4. 2014041608
    '14.5.24 11:19 PM (175.251.xxx.111)

    // 뭐야 '14.5.24 11:16 PM (223.62.xxx.110)
    제목을 바꿔라.
    사이비 좌파라고
    -------------------

    왜?

  • 5. ㅇㅇ
    '14.5.24 11:21 PM (211.36.xxx.64) - 삭제된댓글

    정곡을 찔렀네요

  • 6. ...
    '14.5.24 11:32 PM (64.132.xxx.114)

    미국에 살고 있는데, 한국 보수는 더 심각한 문제가 많습니다.
    일단, 박근혜 대통령 공약보면 보수라고 하기 힘들구요. 진보를 무조껀 종북이라고 모는 건 우리나라 민주주의를 바로서지 못하게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미국 민주주의보다 아주 일그러져 있지요.

  • 7. 2014041608
    '14.5.24 11:39 PM (175.251.xxx.111)

    미국보수보다 더 일그러진 한국의 그들을
    뭐라 부르는게 적당할까요?

    뭔가 적당한 명칭이 있으면 좋겠는데요
    합리적인보수층과 차별화되면서 종북놀이하는
    적당한 이름은 뭘까요?

☞ 로그인 후 의견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입력 작성자 :

N

번호 제목 작성자 날짜 조회
390551 키톡에 즐겨보던 레시피인데 아무리 찾아도 없어요ㅠ 5 라푼 2014/06/16 1,735
390550 대다나다! 불교까지 열받게 만들다니! 2 참맛 2014/06/16 2,703
390549 연습용 비올라 사려고 하는대요~ 4 감사 2014/06/16 1,998
390548 조계종 "문창극 물러나고 朴대통령 사과하라" 5 샬랄라 2014/06/16 2,742
390547 7,8월 마카오 여행 비추인가요? 5 떠나고싶다 2014/06/16 24,204
390546 혹시 의사분들계시나요 ?? 7 ㅇㅇ 2014/06/16 3,974
390545 처가에 전화안하는 남편이 저에게 시댁에 전화하길 요구하는데요.... 44 답답 2014/06/16 13,527
390544 암보험 선택시 가장 중요한 기준은 뭔가요?- 댓글 부탁~~ 11 첫보험 2014/06/16 4,083
390543 가스렌지 화구 2개짜리 크기가 다 같은가요? 2 가스렌지 2014/06/16 3,460
390542 이스트는 어디에 파나요? 5 어디에? 2014/06/16 2,173
390541 시아버지 49제 참여 28 근로기준법은.. 2014/06/16 7,508
390540 문창극, 이병기, 김명수, 송광용.. 인사 직후 박근혜 출국 5 무능정부 2014/06/16 1,867
390539 남자노인들은 혼자 살면 안될 이유라도 있 13 안그러니 2014/06/16 4,268
390538 국회의원에게 문참극 건으로 전화를.. 2 .. 2014/06/16 1,455
390537 영화_ 그레이트뷰티,리스본행야간열차,경주_이중에 보신분 계세요?.. 7 백년만의 휴.. 2014/06/16 1,949
390536 시사통 김종배입니다[06/16pm]담론통-문창극, 공부 좀 해라.. lowsim.. 2014/06/16 1,458
390535 인*파크 이북 비스킷 구매 후에? Corian.. 2014/06/16 1,237
390534 시부모님이 아픈 경우 병원비 부담을 어떤식으로 하시는지요? 17 병원비고민 2014/06/16 6,724
390533 초간단 반찬 정리 383 8282 2014/06/16 44,165
390532 문창극 워싱턴 특파원 시절 10 포기NO 2014/06/16 3,297
390531 명품가방 어떤게 좋을까요? 1 .... 2014/06/16 1,710
390530 코슷코 카드 안빌려주고 싶은데 뭐라고 하는게 좋을까요? 41 머리아퍼 2014/06/16 15,539
390529 시청률의제왕 보다가 빵 터진 장면 1 118D 2014/06/16 2,216
390528 인색하고 달달볶고 변덕심하고 고집세고 7 조언부탁드립.. 2014/06/16 2,298
390527 자주 언급되는 돈,물질 얘기들... 11 산유국공주 2014/06/16 2,465